콘텐츠목차

「방개 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701465
이칭/별칭 「논매기 소리」,「방아 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
집필자 이창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토속민요|노동요
기능구분 농업 노동요
형식구분 독창|합창|장절 형식
박자구조 3분박 4박자 중중모리장단
가창자/시연자 방종길[백곡면 구수리]

[정의]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방아를 찧으면서 부르던 노래.

[개설]

「방개 소리」백곡면 구수리에서 논을 김매기하면서 부르는 「논매기 소리」의 일종인 토속민요이다. 우리나라 전역에서는 논농사와 관련된 노동요가 많이 채집된다.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는 「논매기 소리」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며, 「방아 소리」가 그 중 하나인데, 「방개 소리」는 이것의 변형이다.

추수한 곡식을 방아 찧으면서 부르는 「방개 소리」는 주로 부녀자들이 부르는 노래이다. 따라서 사설에는 집안 살림이나 시집살이와 연관된 애환이 녹아 있다. 음악적 구조는 3분박 4박자의 중중모리 장단으로 되어 있다. 「논매기 소리」를 「방아 소리」로 부르는 사례는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마수리 농요에서 찾아볼 수 있다.

[채록/수집상황]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 주민 방종길[여, 미상]이 부르는 노래를 채록하였다.

[구성 및 형식]

3분박 4박자의 장절 형식이며, 노래의 속도가 ‘느리게 - 빠르게’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내용]

딸카당 딸카당 찧는방아/ 어서다 찧고 밤마실가세/ 아방을 언제다찧고 밤마실가나/ 딸카당 딸카당 찧는방아/ 딸카당 딸카당 찧는방아/ 어서다 찧고 밤마실가나/ 이방아를 언제나 찧고 밤마실가서/ 임을만내 만단사연을 해볼까.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방개 소리」는 농업노동요 중의 하나인 「논매기 소리」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방아 찧으면서 부르는 「방아 타령」은 서울·경기 지역에서는 대중적으로 많이 불리는 통속민요에 해당한다. 이런 「방아 타령」은 방아를 찧는 행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다만 후렴 사설의 ‘에에 에헤야 에라 우겨라 방아로구나’에서 ‘방아’를 차용한 것뿐이다.

「방아 타령」의 기원에 대하여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째, 신라 자비왕(慈悲王) 때 가야고[가야금]를 잘 타는 백결(百結) 선생이 연주하던 음악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옷을 수 없이 기워 입었기 때문에 ‘백결’이란 별명을 얻을 정도로 살림이 궁핍한 백결 선생은 세모(歲暮)가 다가오자 집안 살림에 힘겨워 하는 부인을 위로하기 위하여 가야금으로 「방아 소리」를 연주하였다고 한다. 둘째, 고종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노래하던 「경복궁 타령」의 사설 가운데 ‘경복궁 짓는데 회방아 소리라’는 가사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근거는 희박하다.

이외에 판소리 「심청전」에서 심봉사가 한양으로 가던 도중 익살스럽게 부르는「방아 타령」이 있고, 판소리의 대가인 신재효(申在孝)[1812~1884]가 지은 총 9장으로 구성된 사설도 「방애 타령」으로 명명되고 있다.

[현황]

충청북도 진천 지역의 「방개 소리」 혹은 「논매기 소리」는 근근이 그 명맥만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농요의 일종인 「방아 타령」은 통속민요화 되어 현재도 많은 사람들이 부르고 있다.

[의의와 평가]

「방개 소리」는 토속민요로서 진천군 일대에서 불리며, 제한된 지역에서만 노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토속민요가 통속민요화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요로 탈바꿈되는 것은 전통문화의 형성 과정을 볼 수 있는 일반적인 형태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지역의 토속민요는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뿌리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