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700402
한자 富峯寺石造菩薩立像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물/불상
지역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금암리 산 7-1[금사로 141-37]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정연승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불상
제작시기/일시 고려
제작지역 충청남도 천안시 병천면 봉황리
재질 화강암
높이 145㎝
소장처 부봉사 지도보기
소장처 주소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금암리 산 7-1[금사로 141-37]
소유자 부봉사

[정의]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금암리 부봉사에 있는 고려시대 불상.

[형태]

1979년 부봉사를 창건한 뒤 그 무렵에 충청남도 천안시 병천면 봉황리에서 옮겨 와 보수를 거쳐 복원한 것으로 보인다. 불상의 높이는 145㎝이며 광배와 대좌가 결실되어 근래에 만든 이층 연화대좌 위에 안치되어 있다. 얼굴과 머리 위의 삼층 보관도 근래에 조성한 것으로 위층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형태이다. 목, 허리, 무릎의 세 부분이 절단된 것을 접합하여 복원하였다.

석조보살입상은 얼굴 부분만 심하게 마멸되었을 뿐 다른 부분의 조각은 비교적 잘 남아 있다. 얼굴은 둥근 형태로 살이 오른 모습으로 양감이 느껴지며, 머리 부분의 육계나 나발의 모양은 보개를 얹어서 확인할 수 없다.

양 어깨를 덮고 흘러내린 법의는 배 부분에서 교차되어 양 다리 옆으로 흘러내리고 허리 아래에는 군의를 입고 있다. 허리는 잘록하고, 두 손은 가슴 부분에서 합장하고 있다. 목걸이를 하고 있으며, 양 팔뚝과 팔목에 장식이 있다. 조성 시기는 고려시대로 추정된다.

[특징]

대부분의 석불이 앞면에만 조각이 되어 있는 데 비하여 부봉사 석조보살입상은 뒷면에도 조각이 되어 있다. 다른 불상들에 비해 불신이 홀쭉한 편이며, 조각은 부드러운 편이다. 불두의 보관이 삼층으로 되어 있는 점도 다른 불상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징이다.

[의의와 평가]

부봉사 석조보살입상은 진천 지역의 다른 불상과는 차이점을 보이는데, 그 까닭은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조성된 것을 옮겨 왔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충청남도 지역이 진천과 가까운 곳이기는 하지만 두 지역의 불상 조성 수법이 같지는 않다. 둘의 차이점을 비교해 보는 것도 불교 유적의 변천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듯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