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송두리에 있는 하수관 파이프 제조업체. (주)초원의 주요 취급 품목 중의 하나인 폴리에틸렌 이중벽구조 하수도관은 엔지니어링(Engineering) 구조로 되어 있어 외토압 강도가 높고 제품의 경량성·내충격성이 우수하며, 경량성이므로 방수 시트·발포 시트·연결 소켓을 이용하여 완벽하게 수밀된다. 동일한 외압 강도를 제공하는 기존 제품과 비...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에서 가리섬과 배넘이고개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의 두타산(頭陀山)은 해발 598m로 그리 높은 산은 아니지만, 주변에 높은 지대가 없어 상대적으로 두드러져 보인다. 두타산은 지형과 관련하여 가리섬, 배넘이고개, 두타산 등 다양한 명칭을 가지고 있다.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가마타기놀이를 하면서 부르던 노래. 1993년 10월 17일 백곡면 구수리에 사는 방종길[여, 85세]이 부른 것을 서영숙이 채록하여 『진천군지』에 수록하였다. 1행 4음보로 이루어져 있으며, 독창 또는 합창으로 부른다. 진천 지역에서 전해 오는 「가마타기 노래」는 여자아이들이 그리는 혼인에 대한 기대를 담고 있는 유희요이다....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가마타기놀이를 하면서 부르던 노래. 1993년 10월 17일 백곡면 구수리에 사는 방종길[여, 85세]이 부른 것을 서영숙이 채록하여 『진천군지』에 수록하였다. 1행 4음보로 이루어져 있으며, 독창 또는 합창으로 부른다. 진천 지역에서 전해 오는 「가마타기 노래」는 여자아이들이 그리는 혼인에 대한 기대를 담고 있는 유희요이다....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각설이들이 남의 집 대문 앞이나 장터에서 구걸할 때 부르던 타령조 노래. 「각설이 타령」은 진천 지역에서 전승되는 유희요로 「품바 타령」 혹은 「장타령」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걸인[각설이]들이 집집마다 밥을 얻으러 다니면서 부르거나 장터에서 호객을 하며 부르던 노래였으나, 걸인이나 걸립패가 사라지면서 유희요로 변하였다. 「품바...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송두리에서 고성이씨의 선대 묘소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간좌 해복형 산소 이야기」는 진천군 진천읍 성석리 새터마을에 송두리 내동마을에 살던 고성이씨의 선대 묘가 간방(艮方)[정동과 정북 사이의 한가운데]을 등지고 앉은 자리가 게가 엎드려 있는 형국[蟹伏形局]이라는 풍수설화이다. 묏자리의 지형이 해복형국인 고성이씨의 선대 묘소...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용몽리에서 갈마음수형 명당자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갈마음수형 명당 이야기」는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덕산읍 용몽리에 사는 조용철[남, 74]에게서 채록한 것으로, 1997년 편찬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대대로 천석이 난다는 갈마음수형(渴馬飮水形) 자리를 알고 있는 명풍(名風), 곧 지관이 있었다. 노씨라...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 강선암에 소장되어 있던 개항기 아미타불 탱화. 「강선암 아미타불 탱화」는 크기 141×158.8㎝로 지권인을 한 불상의 뒤에 걸려 있다. 탱화에 ‘동치구년정월일상단안우진천두산영수사(同治九年正月日上檀安于鎭川頭山靈水寺)’라는 화기(畵記)가 적혀 있어 본래 영수사에서 제작된 불화임을 알 수 있었다. 아미타불은 모든 중생을 제도하여 부처...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에서 사랑을 주제로 하여 엮어 나가고 있는 노래. 「개성 난봉가」는 광혜원면 대막거리에서 개성의 명승을 주제로 사랑을 노래한 토속민요이다. 이를 「박연 폭포」라고도 한다. 경기도 민요로 분류되기도 하는 「박연 폭포」는 이 노래의 첫 구절 “박연 폭포가 흘러 흘러서 법사정으로 가구서”에서 따온 것이다. 사설은 세월이 흐르고 나이가 들기 전...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은혜 갚은 개 이야기. 「개의 보은 이야기」는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문백면 평산리에 사는 조용철(남, 74)에게서 채록한 것으로, 1997년 편찬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 한 늙은이가 지자[비자나무]를 캐러 갔다가 어느 집에 갔는데, 그 집에는 첩하고 본마누라가 같이 살고 있었다. 그런데...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정월 대보름이나 추석 때 거북놀이를 하면서 부르던 노래. 1993년 10월 29일 덕산읍 구산리에 사는 이식[여, 59세]이 부른 것을 서영숙이 채록하여 『진천군지』에 수록하였다. 채록된 내용이 매우 단편적이어서 구성 및 형식을 확실하게 짐작하기는 어렵다. 단 2구절이긴 하지만, 대부분의 노동요들이 1행 4음보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죽현리 사동부락에서 거북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여송(李如松)[?~1598]은 명나라 장수로 자는 자무(子茂), 호는 앙성(仰城)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4만 명의 원군을 이끌고 조선에 와서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일본군을 격파하여 전세를 역전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벽제관(碧蹄館)...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에서 탈곡한 곡식을 키질하면서 부르던 노래. 「키질하는 소리」는 탈곡한 곡식에서 티끌이나 검불 등을 골라내기 위해 키질을 하면서 부르던 노동요이다. 농사의 거의 마무리인 수확의 단계에서 불리며, 지역에 따라 「키질 소리」, 「나비질 소리」, 「검불 날리는 소리」라고도 부른다. 진천읍 문봉리에 사는 김재희[남, 85세]가...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동제나 고사를 지내면서 부르던 노래. 지역에 따라 「고사반(告祀盤)」 또는 「비나리」라고도 하는 「고사 소리」는 정월 초에서 대보름 사이 마을 제사를 지낼 때 지신밟기를 하거나 시월상달에 고사를 지내면서 부르는 세시의식요이다. 진천읍 읍내리에 사는 이철우[남, 76세]가 부른 노래가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1행 4음...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동제나 고사를 지내면서 부르던 노래. 지역에 따라 「고사반(告祀盤)」 또는 「비나리」라고도 하는 「고사 소리」는 정월 초에서 대보름 사이 마을 제사를 지낼 때 지신밟기를 하거나 시월상달에 고사를 지내면서 부르는 세시의식요이다. 진천읍 읍내리에 사는 이철우[남, 76세]가 부른 노래가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1행 4음...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계리에서 과부어머니와 아들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계리 주민 남창우(남, 82)가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97년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출간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하였다. 옛날에 과부가 아들을 낳았다. 과부는 글선생 두 명을 들여 아들에게 글을 가르쳤다. 그러나 아들은 하늘 천(天), 땅 지...
-
조선 후기 유수응(柳秀應)이 충청북도 진천에서 관촌(管村)의 저녁 안개를 묘사한 칠언절구의 한시. 산수가 수려한 곳에는 ‘팔경’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관촌석연(管村夕烟)」 역시 진천 지역의 아름다운 풍광을 그린 벽오팔경(碧梧八景)의 하나이다. 현재 벽오팔경(碧梧八景)을 노래한 시는 4편만 전해지는데, 제1경은 「상산모운(常山暮雲)」, 제2경은 「관촌석연(管村夕烟)」,...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광혜원리에서 뱃사공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광혜원리 뱃사공 이야기」는 충청도[현 충청북도]와 경기도의 접경지대인 강을 사이에 두고 생겼던 신임 관찰사와 예절 바르고 마음씨 착한 어느 뱃사공에 대한 교훈담이다. 이를 「어느 뱃사공의 이야기」라고도 한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에서 마을 명칭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구곡리 전설」은 왜구들이 거북선을 활용한 전법으로 이순신 장군에게 참패한 임진왜란 당시의 기억을 조금이라도 지우려고 일제강점기에 구산동(龜山洞)이라는 마을 명칭을 거북 구(龜)에서 아홉 구(九)로 바꾸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진천군지』에 수록...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에서 김유신 장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길상사 이야기」는 김유신 장군 위패와 영정을 모신 진천 길상사 터와 사당에 관한 유래담이다. 진천 길상사는 진천 도당산에 있는 삼국통일의 위업을 완수한 흥무대왕 김유신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으로 충청북도 기념물 제1호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신라시대부터 김유신...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에서 구만리 장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구말 유래와 기황후 설화」는 원세조와 기황후가 혼인을 하게 된 내력과 혼인 예식을 행하였다는 혼인담과 관련하여 ‘구만리’와 ‘구례동’이라는 지명이 생겼다는 지명유래담이다. 2004년 진천상산고적회에서 간행한 『진천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있다. 진천군 덕산읍의 구만리 장터는...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에서 구정승 벼루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 주민 최상주[남, 56]가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97년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출간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하였다.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에 구정승 벼루라는 곳이 있다. 진암리에는 우뚝 솟은 9개의 산봉우리가 있는데, 이곳에...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에서 구정승 벼루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 주민 최상주[남, 56]가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97년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출간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하였다.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에 구정승 벼루라는 곳이 있다. 진암리에는 우뚝 솟은 9개의 산봉우리가 있는데, 이곳에...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에서 궁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2004년 충청북도에서 출간한 『이야기 충북』에 수록되어 있다. 원나라 세조(世祖) 홀필렬(忽必烈)[쿠빌라이칸]은 중국에서 황후감을 찾다가 끝내 찾지 못하고 고려의 한 지역에 아름다운 서기(瑞氣)가 어려 있는 것을 보게 되었다. 홀필렬이 이상히 여겨 측근에게 물어보니 귀인이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술을 권하며 부르는 유희요. 「권주가」는 술을 대작할 때 흥을 돋우기 위해 부르는 노래로서, 진천군 문백면에서 채집된 「권주가」는 구가(舊歌)와 현행가(現行歌)의 두 종류가 있다. 특히 진천군에서 전승되는 「권주가」는 “잡으시오 잡으시오 이 술 한잔 잡으시면 천만년이나 사오리다.”류의 사설을 가지고 있어서 현행가에 속한다. 충...
-
조선 후기 이후연이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에 있던 금계양유에서 관찰사를 맞이하며 지은 칠언율시의 한시. 만오(晩梧) 이후연(李厚淵)[1798~1863]은 광평대군(廣平大君)의 14세손으로, 아버지는 이의수(李義守)이다. 그는 학자로서도 명망이 있었지만, 특히 문학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효행이 지극하였다고 전해진다. 유고집으로 『만오집(晩梧集)』이 전한다. 만승면[현...
-
이윤종과 김진환이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광혜원리 금계의 풍경을 읊은 한시. 「금계완사」는 국농 이윤종과 화오 김진환이 광혜원면 광혜원리 금계 물가에서 빨래하는 풍경을 읊은 시로 창작 연대는 미상이다. 1982년 진천문화원에서 간행한 『내 고장 전통 가꾸기』의 ‘제영’편에 기록되어 있다. 본래 ‘금계완사(錦溪浣紗)’는 평사낙안(平沙落雁), 우담제월(牛潭霽月)...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계산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자 이야기. 「금덩이 얻은 효자 이야기」는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문백면 계산리에 사는 최원서(남, 74)에게서 채록한 것으로, 1997년 편찬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외딴집에 어머니 한 분을 모시고 사는 아들이 있었다. 살림은 넉넉지 않았으나 아들은 매일 밥과 과일을 빠뜨리지 않고 어머니께...
-
조선 후기 한원진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 통산마을의 봉서암과 장암, 별학암을 노래한 칠언절구의 한시. 한원진(韓元震)[1682~1751]의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덕소(德昭), 호는 남당(南塘)이다. 송시열(宋時烈)과 권상하(權尙夏)의 학통을 이어 정통 주자학의 입장을 충실히 계승·발전시켰으며, 권상하 문하의 강문8학사(江門八學士) 중 한 사람으로 호락논...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에서 허적의 별장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금천 전설」은 허적(許積)[1610~1680]이 별장을 지을 때 우물을 파면서 다른 우물들처럼 돌로 만들지 않고 쇠[金]를 이용하였다고 붙여진 지명유래담이다. 금천(金泉)은 당시에 귀했던 쇠를 사용해서 우물을 만들었으니 호화로운 마을이라는 뜻의 의미를 담고 있다. 1994년 진천군지편...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에서 허적의 별장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금천 전설」은 허적(許積)[1610~1680]이 별장을 지을 때 우물을 파면서 다른 우물들처럼 돌로 만들지 않고 쇠[金]를 이용하였다고 붙여진 지명유래담이다. 금천(金泉)은 당시에 귀했던 쇠를 사용해서 우물을 만들었으니 호화로운 마을이라는 뜻의 의미를 담고 있다. 1994년 진천군지편...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기생이 신세를 한탄하며 부르는 유희요. 「기생 노래」는 진천군 문백면에서 전승되는 소리로서, 기생 자신의 처지에도 불구하고 여자로서의 굳은 절개를 강조하며 신세타령을 하는 토속민요이다. 장구 장단은 잦은 타령으로 빠른 템포로 노래하는데, 3분박 4박자의 리듬형을 보이고 있다. 「기생 노래」의 사설은 비록 기생일지라도 그 절개는 성벽처럼...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에서 김유신 장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길상사 이야기」는 김유신 장군 위패와 영정을 모신 진천 길상사 터와 사당에 관한 유래담이다. 진천 길상사는 진천 도당산에 있는 삼국통일의 위업을 완수한 흥무대왕 김유신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으로 충청북도 기념물 제1호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신라시대부터 김유신...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회안리와 백곡면 구수리에서 김을 매면서 부르던 노래. 작물의 생장을 방해하는 쓸데없는 잡초를 손이나 연장으로 뽑아버리거나 흙에 묻어 없애는 일을 ‘김매다’라고 하며, 매는 곳에 따라서 ‘논매다’ 또는 ‘밭매다’라고 한다. 「김매기 노래」에는 「논매기 소리」와 「밭매기 소리」의 두 가지가 있다. 광혜원면 회안리와 백곡면 구수리에서 전승되고 있는 「...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회안리와 백곡면 구수리에서 김을 매면서 부르던 노래. 작물의 생장을 방해하는 쓸데없는 잡초를 손이나 연장으로 뽑아버리거나 흙에 묻어 없애는 일을 ‘김매다’라고 하며, 매는 곳에 따라서 ‘논매다’ 또는 ‘밭매다’라고 한다. 「김매기 노래」에는 「논매기 소리」와 「밭매기 소리」의 두 가지가 있다. 광혜원면 회안리와 백곡면 구수리에서 전승되고 있는 「...
-
1921년 7월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조명희가 발표한 희곡. 「김영일의 사」는 1921년 7월에 발표된 작품으로, 동경에 유학 중인 가난한 학생 김영일의 참담한 삶과 죽음, 즉 일제식민지 치하의 우리나라 젊은이들의 고통과 저항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발표 후 동우회 순회연극단이 공연하여 호평을 받았으며, 1923년 2월 동양서원에서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총 3막으로...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 계양마을에서 김유신 장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김유신 장군의 태몽과 탄생 설화」는 김서현 장군이 품속으로 별이 들어오는 꿈을 꾸고, 만명 부인은 금빛 갑옷을 입은 동자가 품에 안기는 꿈을 꾼 뒤 태기가 있었다는 태몽담이다. 또한 평범한 인물보다 10개월이 많은 20개월 후에 김유신 장군이 태어났다는 탄생담이다. 20...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에서 말이나 소에게 먹일 풀을 베면서 부르던 노래. 꼴은 말과 소에 먹일 풀을 말한다. 진천 지역에서 채록된 「꼴베는 노래」는 꼴베는 총각을 주제로 한 노래로 남녀의 사랑을 묘사하는 토속 민요이자 노동요이다. 또한 지역의 사투리가 잘 나타나고 있다. 지역에 따라 「꼴베는 총각노래」라고도 부른다. 진천읍 문봉리에 사는 김재희[남, 8...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나무하러 다니거나 쉬면서 부르던 노래. 「나무꾼 소리」는 나무꾼들이 산을 오르내리면서 지게 목발로 지게를 두드리면서 부르는 벌채노동요이다. 나무를 하는 신세에 대한 한탄이 많이 나오므로 흔히 「나무꾼 신세타령」이라고도 한다. 그 외에도 지역에 따라 「나무꾼 신세한탄 소리」, 「나무꾼 신세한탄 노래」, 「꼴베는 소리」, 「나무하...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에서 말이나 소에게 먹일 풀을 베면서 부르던 노래. 꼴은 말과 소에 먹일 풀을 말한다. 진천 지역에서 채록된 「꼴베는 노래」는 꼴베는 총각을 주제로 한 노래로 남녀의 사랑을 묘사하는 토속 민요이자 노동요이다. 또한 지역의 사투리가 잘 나타나고 있다. 지역에 따라 「꼴베는 총각노래」라고도 부른다. 진천읍 문봉리에 사는 김재희[남, 8...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구산리에서 어린아이들이 잠자리를 잡으면서 부르던 노래. 「잠자리 노래」는 덕산면 구산리에서 어린이들이 잠자리를 잡을 때 부르던 동요이다. 사설의 첫머리인 ‘나마리동동 싸리[파리]동동’에서 ‘나마리’를 차용하여 「나마리 노래」라고도 한다. 예전의 어린이들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여러 동물들을 놀이의 대상으로 삼았다. 낮게 날아다니면서 주위...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나무꾼이 땔감으로 쓸 나무를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나무하러 가면서 부른 노래」는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나무꾼들이 땔감을 구하기 위해 산으로 가거나 풀을 베면서 부르는 임산노동요이다. 진천 지역에서 들을 수 있는 「나무하러 가면서 부른 노래」는 「초부가(樵夫歌)」라고도 한다. 협의로는 나무꾼들이 땔나무를 하며 부르는 소리를 뜻하고...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나무하러 다니거나 쉬면서 부르던 노래. 「나무꾼 소리」는 나무꾼들이 산을 오르내리면서 지게 목발로 지게를 두드리면서 부르는 벌채노동요이다. 나무를 하는 신세에 대한 한탄이 많이 나오므로 흔히 「나무꾼 신세타령」이라고도 한다. 그 외에도 지역에 따라 「나무꾼 신세한탄 소리」, 「나무꾼 신세한탄 노래」, 「꼴베는 소리」, 「나무하...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나무하러 다니거나 쉬면서 부르던 노래. 「나무꾼 소리」는 나무꾼들이 산을 오르내리면서 지게 목발로 지게를 두드리면서 부르는 벌채노동요이다. 나무를 하는 신세에 대한 한탄이 많이 나오므로 흔히 「나무꾼 신세타령」이라고도 한다. 그 외에도 지역에 따라 「나무꾼 신세한탄 소리」, 「나무꾼 신세한탄 노래」, 「꼴베는 소리」, 「나무하...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나무하러 다니거나 쉬면서 부르던 노래. 「나무꾼 소리」는 나무꾼들이 산을 오르내리면서 지게 목발로 지게를 두드리면서 부르는 벌채노동요이다. 나무를 하는 신세에 대한 한탄이 많이 나오므로 흔히 「나무꾼 신세타령」이라고도 한다. 그 외에도 지역에 따라 「나무꾼 신세한탄 소리」, 「나무꾼 신세한탄 노래」, 「꼴베는 소리」, 「나무하...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나무하러 다니거나 쉬면서 부르던 노래. 「나무꾼 소리」는 나무꾼들이 산을 오르내리면서 지게 목발로 지게를 두드리면서 부르는 벌채노동요이다. 나무를 하는 신세에 대한 한탄이 많이 나오므로 흔히 「나무꾼 신세타령」이라고도 한다. 그 외에도 지역에 따라 「나무꾼 신세한탄 소리」, 「나무꾼 신세한탄 노래」, 「꼴베는 소리」, 「나무하...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서 나무꾼이 쉬는 명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나무꾼이 쉬는 명당 이야기」는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서 채록하였으나, 내용 중에 관련 지역이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다. 풍수지리담이면서도 특정 지역과 관련되어 있지 않아 지역성을 탈피한 일반화된 설화의 양상을 띤다고 할 수 있다. 충청북도 진천군 초...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나무하러 다니거나 쉬면서 부르던 노래. 「나무꾼 소리」는 나무꾼들이 산을 오르내리면서 지게 목발로 지게를 두드리면서 부르는 벌채노동요이다. 나무를 하는 신세에 대한 한탄이 많이 나오므로 흔히 「나무꾼 신세타령」이라고도 한다. 그 외에도 지역에 따라 「나무꾼 신세한탄 소리」, 「나무꾼 신세한탄 노래」, 「꼴베는 소리」, 「나무하...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나무꾼이 땔감으로 쓸 나무를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나무하러 가면서 부른 노래」는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나무꾼들이 땔감을 구하기 위해 산으로 가거나 풀을 베면서 부르는 임산노동요이다. 진천 지역에서 들을 수 있는 「나무하러 가면서 부른 노래」는 「초부가(樵夫歌)」라고도 한다. 협의로는 나무꾼들이 땔나무를 하며 부르는 소리를 뜻하고...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여자들이 나물을 캐거나 뜯으면서 부르던 노래. 「나물 캐는 소리」는 진천 지역에서 아직 혼인을 하지 않은 큰애기, 곧 처녀들이나 젊은 여인들이 나물을 캐면서 부르던 채취노동요이다. 사설에 각종 나물의 이름이 다양하게 열거되어 있어서 「나물 노래」, 「나물 뜯는 노래」, 「나물 뜯는 소리」라고도 한다. 1993년 백곡면 구수리에...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여자들이 나물을 캐거나 뜯으면서 부르던 노래. 「나물 캐는 소리」는 진천 지역에서 아직 혼인을 하지 않은 큰애기, 곧 처녀들이나 젊은 여인들이 나물을 캐면서 부르던 채취노동요이다. 사설에 각종 나물의 이름이 다양하게 열거되어 있어서 「나물 노래」, 「나물 뜯는 노래」, 「나물 뜯는 소리」라고도 한다. 1993년 백곡면 구수리에...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여자들이 나물을 캐거나 뜯으면서 부르던 노래. 「나물 캐는 소리」는 진천 지역에서 아직 혼인을 하지 않은 큰애기, 곧 처녀들이나 젊은 여인들이 나물을 캐면서 부르던 채취노동요이다. 사설에 각종 나물의 이름이 다양하게 열거되어 있어서 「나물 노래」, 「나물 뜯는 노래」, 「나물 뜯는 소리」라고도 한다. 1993년 백곡면 구수리에...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여자들이 나물을 캐거나 뜯으면서 부르던 노래. 「나물 캐는 소리」는 진천 지역에서 아직 혼인을 하지 않은 큰애기, 곧 처녀들이나 젊은 여인들이 나물을 캐면서 부르던 채취노동요이다. 사설에 각종 나물의 이름이 다양하게 열거되어 있어서 「나물 노래」, 「나물 뜯는 노래」, 「나물 뜯는 소리」라고도 한다. 1993년 백곡면 구수리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에서 탈곡한 곡식을 키질하면서 부르던 노래. 「키질하는 소리」는 탈곡한 곡식에서 티끌이나 검불 등을 골라내기 위해 키질을 하면서 부르던 노동요이다. 농사의 거의 마무리인 수확의 단계에서 불리며, 지역에 따라 「키질 소리」, 「나비질 소리」, 「검불 날리는 소리」라고도 부른다. 진천읍 문봉리에 사는 김재희[남, 85세]가...
-
1927년 7월 1일에 조명희가 펴낸 소설. 「낙동강」은 충청북도 진천읍 벽암리 숫말에서 태어난 시인이자 소설가인 포석(抱石) 조명희(趙明熙)[1894~1938]가 『조선지광』에 발표한 소설이다. 1927년 7월 1일에 발표하였고, 그 후에 동명의 소설집도 발간하였다. 주인공 박성운은 가난한 농부의 아들이며, 부모가 고생한 결과로 농업학교를 마치게 된다. 3·1운동과 함...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남 흉보기 좋아하는 여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남 흉보기 좋아하는 부인 이야기」는 대감 댁 부인 넷이 남이 들으면 그 사람의 단점이 될 이야기를 했는데, 이를 들으면서 아무 말도 하지 않던 황대감 부인이 자신은 남의 이야기 하는 것을 좋아한다는 비밀을 밝히고 있는 재담(才談)이자 소화담(笑話談)이다. 2004년 진천상산고적...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장월리에서 맺힌 한을 물에 띄워 보내고픈 심정을 읊은 노래. 「노들강변」은 일제강점기에 새로이 창작된 유희적 성격이 강한 신민요로서 2절로 되어 있다. ‘에헤요 봄버들도 못잊을까 하노라’라는 후렴구가 각 절의 끝에서 반복되며, 3절로 되어 있는 서울·경기 지역의 「노들강변」보다도 후렴구가 짧다. 즉 진천 지역의 「노들강변」은 서울·경기...
-
본래 시조시를 얹어부르는 경기 민요의 하나로,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불린 노래. 「노랫가락」은 원래 무당들이 굿을 할 때에 굿청에 강림한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무르던 무가였다. 그러던 것이 세속화하여 민요로 불리기 시작하면서 사설이 길지 않고 함축적인 내용으로 되어 있어 누구나 쉽게 부를 수 있는 노래의 한 종류가 되었다. 시조의 구성과 같아 시조...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가산리에서 용비석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노비의 이야기. 「노비가 만들었다는 용비석」은 이대감의 병간호를 지극정성으로 하던 젊은 노비 부부가 주인과 같이 순장을 당하고 싶지 않아서 용비석을 만들었으나 대감의 욕심으로 인하여 죽음을 모면하지 못하고 실패했다는 이야기이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
조선 후기 신정기가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 논실마을에 있던 노은정 주변의 아름다움을 읊은 칠언율시의 한시. 이월면 노원리에 있는 논실마을은 1606년 개성유수를 끝으로 관직에서 물러난 독송재(獨松齋) 신잡(申磼)이 머물던 곳이다. 그 경치가 얼마나 빼어났던지 신잡은 이 마을 뒷산에 고색창연한 사당을 지어 노은영당(老隱影堂)이라 칭하고, 그 주변에 노은정(老隱亭)을...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와 문백면 구곡리·계산리에서 논매기를 하면서 부르던 노래. 지역에 따라 「논뜯는 소리」, 「논매기 소리」로도 불리는 「논매는 소리」는 논의 잡초를 호미로 매거나 손으로 뜯으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로, 소리의 종류도 다양할 뿐만 아니라 사설도 풍부하여 흔히 노동요의 꽃이라 불리기도 한다. 논매기는 지질과 기후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와 문백면 구곡리·계산리에서 논매기를 하면서 부르던 노래. 지역에 따라 「논뜯는 소리」, 「논매기 소리」로도 불리는 「논매는 소리」는 논의 잡초를 호미로 매거나 손으로 뜯으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로, 소리의 종류도 다양할 뿐만 아니라 사설도 풍부하여 흔히 노동요의 꽃이라 불리기도 한다. 논매기는 지질과 기후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방아를 찧으면서 부르던 노래. 「방개 소리」는 백곡면 구수리에서 논을 김매기하면서 부르는 「논매기 소리」의 일종인 토속민요이다. 우리나라 전역에서는 논농사와 관련된 노동요가 많이 채집된다.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는 「논매기 소리」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며, 「방아 소리」가 그 중 하나인데, 「방개 소리」는 이것의 변형이다...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와 문백면 구곡리·계산리에서 논매기를 하면서 부르던 노래. 지역에 따라 「논뜯는 소리」, 「논매기 소리」로도 불리는 「논매는 소리」는 논의 잡초를 호미로 매거나 손으로 뜯으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로, 소리의 종류도 다양할 뿐만 아니라 사설도 풍부하여 흔히 노동요의 꽃이라 불리기도 한다. 논매기는 지질과 기후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에서 농다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농다리 전설」은 고려시대 임연이 효녀를 위해 일시에 농다리를 만들었다는 전설이다. 1982년 진천문화원에서 출간한 『내 고장 전통 가꾸기』와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진천군지』, 그리고 1995년 경기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에서 출간한 『한국문학연구』 제4집에 실린 이영옥...
-
조선 후기 한원진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농다리 위에 쌓인 설경을 읊은 칠언절구의 한시. 한원진(韓元震)[1682~1751]의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덕소(德昭), 호는 남당(南塘)이다. 송시열(宋時烈)과 권상하(權尙夏)의 학통을 이어 정통 주자학의 입장을 충실히 계승·발전시켰으며, 권상하 문하의 강문8학사(江門八學士) 중 한 사람으로 호락논쟁(湖洛論爭)...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뇌성윤씨와 강릉김씨의 8대에 걸친 갈등 이야기. 「뇌성윤씨와 강릉김씨 이야기」는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이월면 신계리에 사는 남창우[남, 82]에게서 채록한 것으로, 1997년 편찬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뇌성윤씨와 강릉김씨는 8대조부터 원수 사이였다고 한다. 그런데 강릉김씨가 강릉현...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송림리에서 늙은 노파의 지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송림리 주민 이준길(남, 83)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97년 서원대학교 호소문화연구소에서 출간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하였다. 옛날 늙은 노파가 산골로 나물을 뜯으러 갔는데, 호랑이가 큰 동구나무 옆에 앉아 있었다. 노파는 호랑이를 보고는 꼼짝없이...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송림리에서 늙은 노파의 지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송림리 주민 이준길(남, 83)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97년 서원대학교 호소문화연구소에서 출간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하였다. 옛날 늙은 노파가 산골로 나물을 뜯으러 갔는데, 호랑이가 큰 동구나무 옆에 앉아 있었다. 노파는 호랑이를 보고는 꼼짝없이...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와 문백면 장월리에서 남녀 간의 사랑을 노래한 잡가의 하나. 후렴구에 ‘사랑아’란 말이 있어 「사랑가」로 불린다. 민요나 잡가에는 남녀의 사랑을 그린 노래가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황해도의 「난봉가」, 함경도의 「어랑 타령」, 전라도의 「등가 타령」, 경기도의 「한강수 타령」 등이 대표적이다. 지역에 따라 「사랑요」, 「님 생각」, 「처녀 총...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갈월리에서 어른이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어르면서 부르는 민요. 「아이 어르는 소리」는 어른이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어르면서 부르던 육아노동요이다. 이를 「달강달강」, 「둥기둥기 둥기야」, 「둥기 소리」 등이라고도 한다. 육아노동요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가 「아이 재우는 소리(자장가)」라고 한다면 다른 하나가 이 「아이 어르는 소리...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에서 매달의 절후나 행사를 가사체 형식으로 읊은 노래. 「월령가」는 경기잡가의 하나로 지역에 따라 「월령체가(月令體歌)」·「달거리」·「달거리요」라고도 한다. 1년 12달의 차례에 따라 다달이 펼쳐지는 세시풍속이나 절기의 변화에 의한 화자의 심정을 담아 부른다. 원래는 부녀자들에 의해 구비전승되던 민요였으나, 근대에 와서 전문 가객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에서 매달의 절후나 행사를 가사체 형식으로 읊은 노래. 「월령가」는 경기잡가의 하나로 지역에 따라 「월령체가(月令體歌)」·「달거리」·「달거리요」라고도 한다. 1년 12달의 차례에 따라 다달이 펼쳐지는 세시풍속이나 절기의 변화에 의한 화자의 심정을 담아 부른다. 원래는 부녀자들에 의해 구비전승되던 민요였으나, 근대에 와서 전문 가객에...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회안리에서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던 노래. 「달구질 노래」는 집터를 다지거나 말박기를 할 때에 부르는 토건노동요이며, 무덤을 조성하면서 하관 후 관 주변에 흙 또는 회를 넣고 다질 때에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이를 「달구 소리」라고도 하는데, 특히 무덤을 만들 때는 흙에 회를 섞어서 다지기 때문에 「회다지 소리」, 「회방아 소리」라고도...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회안리에서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던 노래. 「달구질 노래」는 집터를 다지거나 말박기를 할 때에 부르는 토건노동요이며, 무덤을 조성하면서 하관 후 관 주변에 흙 또는 회를 넣고 다질 때에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이를 「달구 소리」라고도 하는데, 특히 무덤을 만들 때는 흙에 회를 섞어서 다지기 때문에 「회다지 소리」, 「회방아 소리」라고도...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달을 팔려고 한 이방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 주민 이춘석[남, 66]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83년 충청북도에서 출간한 『민담민요지』에 수록하였다. 옛날 어느 고을에 원님이 새로 왔는데, 육방 관속(六房官屬)들이 가만히 살펴보니 원님이 바보였다. 그래서 육방 관속들이 제멋대로 일을...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장월리에서 담배를 소재로 과부의 힘든 생활을 읊은 노래. 「담배 노래」는 담배를 소재로 하고 있으며, 사설은 과부의 힘든 생활을 묘사한 신세타령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담바귀 타령」이라고도 한다. 「담배 노래」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나타나는데, 특히 경상북도 안동에서 전승되고 있는 노래의 길이는 매우 길다. 진천의 「담배 노래」는 사...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장월리에서 담배를 소재로 과부의 힘든 생활을 읊은 노래. 「담배 노래」는 담배를 소재로 하고 있으며, 사설은 과부의 힘든 생활을 묘사한 신세타령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담바귀 타령」이라고도 한다. 「담배 노래」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나타나는데, 특히 경상북도 안동에서 전승되고 있는 노래의 길이는 매우 길다. 진천의 「담배 노래」는 사...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사양리 호암·중리마을에 있는 드라마 촬영지. 진천군 문백면사무소 못 미처 300m 전쯤에서 충청북도 학생종합수련원 쪽으로 가다 보면 진천읍과 야영장으로 향하는 삼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진천읍 방향으로 가다 보면 호암·중리마을 진입로 표시가 나온다. 진천군 문백면 사양리 호암마을은 범이 바위에 엎드린 형국이라 하여 호암마을이라고 불리는 곳...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가산리 가암마을에서 효자 덕온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더니바위 전설」은 아버지가 돌아가신 충격으로 어머니가 몸져눕게 되자 스님에게 간청한 끝에 약초를 구해 왔지만 이미 임종하신 어머니의 소식을 듣고 슬픔에 겨워 바위로 변했다는 효행담이다. 이를 「바위가 된 효자 덕온」이라고도 한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에서 덕문이 방죽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덕문이 방죽 이야기」는 진천군 덕산읍 방골마을의 덕문이 방죽에 얽힌 장자못 전설이다. 덕문이 방죽은 조선시대 역적으로 몰린 임꺽정의 집터를 방죽으로 조성하였다는 이야기이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의 방골마을에...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에서 박문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도둑처럼 행세하기」는 박문수가 살인범을 잡기 위해 허름한 옷을 입고 다니며 도둑처럼 행세하다가 진범을 잡아서 노인의 누명을 벗겨 준다는 재치담이다. 「도둑처럼 행세하기」는 유부녀 겁탈과 살인을 저지르는 타락한 중들의 행패를 고발하고 있다. 2004년 진천상산고적회에서 간행한 『진천의 구비문학...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불리던 경기민요의 하나. 진천읍 읍내리에 사는 이철우[남, 76세]가 부른 노래가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도라지 타령」은 다양한 사설로 이루어진 앞소리를 메기면 일정한 후렴으로 받는 선후창 형식으로, 세마치장단으로 경쾌하게 부른다. 앞소리는 모두 “도라지 도라지 도라지”로 시작하며 1행 4음보 형식으로...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삼덕리에서 독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독바위 전설」은 후덕한 마음씨의 착한 가족이 거지에게 은혜를 베풀고, 그 공덕으로 인하여 우연히 얻은 독바위가 마을 입구에 서 있는 항아리처럼 생겼다는 암석전설이다. 이를 「삼덕리 옹암(瓮岩) 전설」이라고도 한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진천군지』와 2004년 충북학...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장월리에서 부족한 돈에 대한 심정을 읊은 노래. 「돈타령」은 문백면 장월리에서 돈을 주제로 하여 돈이 없다고 푸념을 늘어놓는 민요이다. 「돈타령」은 어려운 농촌 생활에서 부족한 돈에 대한 집착이 강하게 표현된 노래이며, 이를 통하여 진천 지역 농민들의 힘든 생활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 판소리 「흥부가」에 「돈타령」이 나오며, 이를 차용...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에서 동자 명지관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경로당에서 들은 것을 채록하여 1997년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출간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하였다. 옛날 너무나도 가난한 집에 한 부부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남자가 마실을 갔다 오니 아내가 큰소리로 울고 있는 것이었다. 남자가 “무슨 일로 그렇게 울고 있...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어린아이들이 모래를 가지고 놀면서 부르던 노래. 「두꺼비 노래」는 모래밭에서 모래를 가지고 두꺼비집짓기 놀이를 할 때에 부르던 아동유희요이다. 「두꺼비 노래」는 덕산읍 구산리에서 채집되었지만 인근 지역에서도 볼 수 있으며,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을 정도로 일반화되어 있다. 두꺼비집짓기 놀이는 혼자서 하는 경우는 드물고, 여러...
-
조선시대 정우섭과 김진환이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화산리 두타산에 울려 퍼지는 종소리의 정취를 읊은 칠언율시의 한시. 「두타모종」은 초평면 화산리 두타산에 있는 옛 절 영수암에서 저녁놀이 질 때 치는 종소리의 정취를 한시로 읊은 작품들이다. 진천군에서 펴낸 『내 고장 전통 가꾸기』 ‘제영’ 편에 수록되어 있다. 「두타모종」 -정우섭 외로운 암자는 푸른 산 동편...
-
조선 후기 김득신이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에 있는 두타산을 배경으로 읊은 오언절구의 한시. 백곡(栢谷) 김득신(金得臣)[1604~1684]은 조선 후기의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작품 「두타산(頭陀山)」은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과 괴산군 도안면의 경계에 있는 두타산의 다양한 모습과 나그네의 현재의 지친 마음을 그리고 있다. 가도가도 길은 한량이 없는데[行行路不盡] 이물 저...
-
조선 후기 한원진이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에 있는 두타산의 아름다움과 신비함을 노래한 칠언절구의 한시. 한원진(韓元震)[1682~1751]의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덕소(德昭), 호는 남당(南塘)이다. 송시열(宋時烈)과 권상하(權尙夏)의 학통을 이어 정통 주자학의 입장을 충실히 계승·발전시켰으며, 권상하 문하의 강문8학사(江門八學士) 중 한 사람으로 호락논쟁(湖洛...
-
조선 후기 유수응(柳秀應)이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에 있는 두타산의 새벽안개를 읊은 칠언절구의 한시. 산수가 수려한 곳에는 ‘팔경’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두타효무(頭陀曉霧)」 역시 진천 지역의 아름다운 풍광을 그린 벽오팔경(碧梧八景)의 하나이다. 현재 벽오팔경(碧梧八景)을 노래한 시는 4편만 전해지는데, 제1경은 「상산모운(常山暮雲)」, 제2경은 「관촌석연(管村夕烟)」...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갈월리에서 어른이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어르면서 부르는 민요. 「아이 어르는 소리」는 어른이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어르면서 부르던 육아노동요이다. 이를 「달강달강」, 「둥기둥기 둥기야」, 「둥기 소리」 등이라고도 한다. 육아노동요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가 「아이 재우는 소리(자장가)」라고 한다면 다른 하나가 이 「아이 어르는 소리...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갈월리에서 어른이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어르면서 부르는 민요. 「아이 어르는 소리」는 어른이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어르면서 부르던 육아노동요이다. 이를 「달강달강」, 「둥기둥기 둥기야」, 「둥기 소리」 등이라고도 한다. 육아노동요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가 「아이 재우는 소리(자장가)」라고 한다면 다른 하나가 이 「아이 어르는 소리...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디딜방아를 찧으며 부르던 노래. 「방아 찧는 소리」는 노동요 중 제분노동요에 속한다. 디딜방아는 여러 사람이 함께 보조를 맞추며 곡식을 찧어야 하기 때문에 노래가 필요했다. 디딜방아를 찧는 작업은 주로 여성들의 일이었기 때문에 여성들의 삶에 대한 애환이 솔직하게 나타나 있는 것이 특징이다. 1993년 10월 17일 백곡면 구수...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디딜방아를 찧으며 부르던 노래. 「방아 찧는 소리」는 노동요 중 제분노동요에 속한다. 디딜방아는 여러 사람이 함께 보조를 맞추며 곡식을 찧어야 하기 때문에 노래가 필요했다. 디딜방아를 찧는 작업은 주로 여성들의 일이었기 때문에 여성들의 삶에 대한 애환이 솔직하게 나타나 있는 것이 특징이다. 1993년 10월 17일 백곡면 구수...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디딜방아를 찧으며 부르던 노래. 「방아 찧는 소리」는 노동요 중 제분노동요에 속한다. 디딜방아는 여러 사람이 함께 보조를 맞추며 곡식을 찧어야 하기 때문에 노래가 필요했다. 디딜방아를 찧는 작업은 주로 여성들의 일이었기 때문에 여성들의 삶에 대한 애환이 솔직하게 나타나 있는 것이 특징이다. 1993년 10월 17일 백곡면 구수...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와 덕산면 구산리에서 땅을 다질 때 부르던 노래. 「디딤이」는 집터를 다질 때나 말 박기를 할 때 부르는 토목노동요의 하나이다. 지역에 따라 「집터 다지는 노래」, 「땅 다지기」로도 불린다. 진천읍 문봉리에 사는 김재희[남, 85세]와 덕산면 구산리에 사는 주광식 외 2명이 부른 노래가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던 노래. 「집터 다지는 소리」는 집을 짓기 위한 땅을 잘 다지기 위해 부르는 토목노동요로서, 여러 사람이 무거운 돌덩이나 통나무를 줄에 묶어 함께 들어 올렸다 내려뜨리면서 부른다. 그러므로 「집터 다지는 소리」는 여러 사람이 함께 힘을 모아 동작을 통일하기 위한 신호의 기능을 가진다. 지역에 따라 「땅 다...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던 노래. 「집터 다지는 소리」는 집을 짓기 위한 땅을 잘 다지기 위해 부르는 토목노동요로서, 여러 사람이 무거운 돌덩이나 통나무를 줄에 묶어 함께 들어 올렸다 내려뜨리면서 부른다. 그러므로 「집터 다지는 소리」는 여러 사람이 함께 힘을 모아 동작을 통일하기 위한 신호의 기능을 가진다. 지역에 따라 「땅 다...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던 노래. 「집터 다지는 소리」는 집을 짓기 위한 땅을 잘 다지기 위해 부르는 토목노동요로서, 여러 사람이 무거운 돌덩이나 통나무를 줄에 묶어 함께 들어 올렸다 내려뜨리면서 부른다. 그러므로 「집터 다지는 소리」는 여러 사람이 함께 힘을 모아 동작을 통일하기 위한 신호의 기능을 가진다. 지역에 따라 「땅 다...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던 노래. 「집터 다지는 소리」는 집을 짓기 위한 땅을 잘 다지기 위해 부르는 토목노동요로서, 여러 사람이 무거운 돌덩이나 통나무를 줄에 묶어 함께 들어 올렸다 내려뜨리면서 부른다. 그러므로 「집터 다지는 소리」는 여러 사람이 함께 힘을 모아 동작을 통일하기 위한 신호의 기능을 가진다. 지역에 따라 「땅 다...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와 덕산면 구산리에서 땅을 다질 때 부르던 노래. 「디딤이」는 집터를 다질 때나 말 박기를 할 때 부르는 토목노동요의 하나이다. 지역에 따라 「집터 다지는 노래」, 「땅 다지기」로도 불린다. 진천읍 문봉리에 사는 김재희[남, 85세]와 덕산면 구산리에 사는 주광식 외 2명이 부른 노래가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회안리에서 상여를 메고 가며 부르는 의식요. 「상여 소리」는 상례(喪禮)할 때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혹은 상두꾼으로 불리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상여 소리」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지역에 따라 「만가(輓歌)」·「향도가」·「회심곡」·「향두가」·「행상 소리」·「옥설개」·「설소리」 등으로도 불리고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에서 명승지를 유람하며 즐겁게 살자는 내용을 읊은 노래. 「만고강산(萬古江山)」은 아주 오랜 세월 동안 변함이 없는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산천경개(山川景槪)라는 뜻이다. 이 노래는 우리나라의 금강산·지리산·한라산 등을 중국의 삼신산(三神山)과 비유하고 있다. 내용은 이른 봄에 삼신산을 찾아 나선 작가가 유명한 명승지와 풍취를 찬양...
-
조선 후기 이운해(李運海)가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대문리에 있는 만뢰산에 얽힌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지은 칠언율시의 한시. 만뢰산(萬賴山)은 진천군의 주봉(主峰)으로, 백곡면 대문리와 진천읍 연곡리를 경계로 하여 진천군 내 하천 분포의 일대 분수령을 이루고 있는 산이다. 신라시대 김유신(金庾信)의 아버지인 김서현(金舒玄)이 만노군의 태수로서 북쪽으로는 고구려군과 또...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만명의 혼사장애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만명 소저 유폐와 탈출 이야기」는 만노태수로 임명을 받은 김서현(金舒玄) 장군을 따라가려던 만명(萬明) 부인이 아버지 숙흘종(肅訖宗)의 반대에 부딪쳐 외딴 방에 갇히게 되었으나 천우신조로 탈출하여 김서현 장군과 함께 만노로 떠났고 숙흘종도 두 사람 사이를 인정하게 되었다는 혼사장애 극복...
-
조선시대 남동희가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에 있는 만암폭포를 보고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 만암폭포(蔓巖瀑布)는 문백면 평산리에 있는 양천산(凉泉山)을 중심으로 골짜기마다 흐르는 99곡수(谷水)가 동쪽으로 흘러서 폭포가 되었다고 한다. 아픈 사람이 이 폭포에서 목욕을 하면 병이 나았다고 전해져 약수탕이란 별칭까지 붙었다고 한다. 하당(荷糖) 남동희는 이러한 전설과 장...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오갑리에서 말머리마을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말머리마을 이야기」는 공연한 내기를 하여 애마를 죽였다는 장사에 관한 전설이다. 1982년 진천문화원에서 출간한 『내 고장 전통 가꾸기』와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에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오갑리 말머리마을[마두마을]에 이방조와...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에서 탈곡한 벼를 담으면서 부르던 노래. 「말질하는 소리」는 추수를 하고 난 후 탈곡한 벼를 가마니나 섬에 말로 되어 담으면서 부르던 노동요이다. 보통 가마니에는 열 말을, 섬에는 스무 말을 되어 담는데, 「말질하는 소리」를 부르면서 담아야 양이 틀리지 않게 담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된 일을 흥겹고 신명나게 할 수 있었다....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에서 탈곡한 벼를 담으면서 부르던 노래. 「말질하는 소리」는 추수를 하고 난 후 탈곡한 벼를 가마니나 섬에 말로 되어 담으면서 부르던 노동요이다. 보통 가마니에는 열 말을, 섬에는 스무 말을 되어 담는데, 「말질하는 소리」를 부르면서 담아야 양이 틀리지 않게 담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된 일을 흥겹고 신명나게 할 수 있었다....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중산리 돌여울마을에서 명관 이범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명관 이범조 이야기」는 간부와 짜고 본부를 모살한 살인 사건을 명관 이범조가 기지로 해결하였다는 공안담이다. 1982년 진천문화원에서 출간한 『내 고장 전통 가꾸기』와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진천현감 이범조가 민정 시찰차...
-
조선 전기 김안국이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에 있는 진천향교 명륜당에서 읊은 칠언절구의 한시. 「명륜당(明倫堂)」은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1478~1543]이 지은 한시로, 진천향교의 명륜당에 기록되어 있는 『소학(小學)』의 뜻을 새겨 올바른 유자(儒者)로서 태평성대를 이룩하도록 힘써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진천향교는 조선 전기에 창건된 교육기관으로,...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 「물레질 소리」는 백곡면 일대에서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는 길쌈노동요이다. 이를 「물레질 노래」, 「물레 노래」, 「물레 소리」, 「명잣는 소리」, 「명잣는 노래」 등이라고도 한다. 물레질은 실을 자아내기 위해 손으로 물레를 돌리는 작업으로, 일정한 동작을 오랜 시간 반복적으로 하기 때문에 일의 고...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 「물레질 소리」는 백곡면 일대에서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는 길쌈노동요이다. 이를 「물레질 노래」, 「물레 노래」, 「물레 소리」, 「명잣는 소리」, 「명잣는 노래」 등이라고도 한다. 물레질은 실을 자아내기 위해 손으로 물레를 돌리는 작업으로, 일정한 동작을 오랜 시간 반복적으로 하기 때문에 일의 고...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에서 명지관 박상의 동생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선조와 광해군 때 명풍수로 이름을 날린 박상의(朴尙義)와 관련된 이야기로서 지술(地術)을 전혀 모르는 동생이 박상의 행세를 하고 다니며 묏자리를 써 주었는데 마치 박상의가 써 준 것처럼 명당자리를 잘 잡아 주었다는 이야기이다.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 주민...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계산리에서 명지관 짚신 할아버지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계산리 주민 최원서[남, 74]가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97년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출간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하였다. 옛날에 한 부부가 살았는데 슬하에는 아들을 하나 두었다. 아버지는 나이가 많이 들어 죽게 되자 “나 죽거든 저 건너...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계리에서 형과 아우의 우애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경로당에서 들은 것을 채록하여 1997년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출간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하였다. 아우는 밭을 갈고 형은 한문 공부를 하였다. 아우는 이제 살림을 차려 경제적으로 살기가 좀 괜찮아졌으나, 형은 여전히 가난하게 살았다. 그러던 어...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에서 명풍수 도선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명풍수 도선 이야기」는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초평면 금곡리에 사는 김학수[남, 80]에게서 채록한 것으로, 1997년 편찬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에 도선(道先)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풍수에서는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일인자였다. 이 도선이 중국에 가서...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 문백면 계산리,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모를 심으면서 부르던 노래. 「모심는 소리」는 여러 사람이 함께 하는 공동 작업에서 일의 보조를 맞추고 힘겨움을 덜기 위하여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모를 심는 작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기능적 측면과 모가 튼튼하게 뿌리내려 잘 자라기를 바라는 기원적 측면을 함께 지니고 있는...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 문백면 계산리,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모를 심으면서 부르던 노래. 「모심는 소리」는 여러 사람이 함께 하는 공동 작업에서 일의 보조를 맞추고 힘겨움을 덜기 위하여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모를 심는 작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기능적 측면과 모가 튼튼하게 뿌리내려 잘 자라기를 바라는 기원적 측면을 함께 지니고 있는...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 문백면 계산리,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모를 심으면서 부르던 노래. 「모심는 소리」는 여러 사람이 함께 하는 공동 작업에서 일의 보조를 맞추고 힘겨움을 덜기 위하여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모를 심는 작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기능적 측면과 모가 튼튼하게 뿌리내려 잘 자라기를 바라는 기원적 측면을 함께 지니고 있는...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 문백면 계산리,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모를 심으면서 부르던 노래. 「모심는 소리」는 여러 사람이 함께 하는 공동 작업에서 일의 보조를 맞추고 힘겨움을 덜기 위하여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모를 심는 작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기능적 측면과 모가 튼튼하게 뿌리내려 잘 자라기를 바라는 기원적 측면을 함께 지니고 있는...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와 문백면 계산리에서 모를 찌며 부르는 노래. 「모찌는 소리」는 덕산읍과 문백면 일대에서 모를 심기 전 모판에 있는 모를 뽑아 모를 심기 좋게 단으로 묶으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이를 「모찌기 노래」, 「모찌는 노래」 등이라고도 한다. 한 사람이 앞소리를 하면 여러 사람이 뒷소리를 받는 ‘뭉치세 정치세’류의 노래를 부른다. 19...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와 문백면 계산리에서 모를 찌며 부르는 노래. 「모찌는 소리」는 덕산읍과 문백면 일대에서 모를 심기 전 모판에 있는 모를 뽑아 모를 심기 좋게 단으로 묶으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이를 「모찌기 노래」, 「모찌는 노래」 등이라고도 한다. 한 사람이 앞소리를 하면 여러 사람이 뒷소리를 받는 ‘뭉치세 정치세’류의 노래를 부른다. 19...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와 문백면 계산리에서 모를 찌며 부르는 노래. 「모찌는 소리」는 덕산읍과 문백면 일대에서 모를 심기 전 모판에 있는 모를 뽑아 모를 심기 좋게 단으로 묶으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이를 「모찌기 노래」, 「모찌는 노래」 등이라고도 한다. 한 사람이 앞소리를 하면 여러 사람이 뒷소리를 받는 ‘뭉치세 정치세’류의 노래를 부른다. 19...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용몽리에서 몽촌 방죽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몽촌 방죽 이야기」는 용왕에게 벌을 받아 3년간 유배된 용왕 아들이 한 선비의 꿈에 나타나 3개월 안에 방죽을 만들어 달라고 부탁하였는데, 선비는 그 부탁대로 방죽과 마을을 조성하여 복을 받고 선비가 조성한 마을에는 해마다 풍년이 들었다는 보은담이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
-
조선시대 이완수가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사석리에 있는 문안산에 올라가 주변 풍경을 읊은 칠언율시의 한시. 문안산(文案山)은 진천읍 행정리에 있는 잣고개의 서편에 있는 산으로, 제(帝)자 형의 모습을 하고 있다. 다전(茶田) 이완수에 대해 알려진 것은 없다. 꽃은 동쪽에 만발하더니 술은 서편에 있었구나[花俄百陌酒西隣] 깎아지른 듯한 산봉에 올라가니 한계가 새롭구나[及到高...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 「물레질 소리」는 백곡면 일대에서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는 길쌈노동요이다. 이를 「물레질 노래」, 「물레 노래」, 「물레 소리」, 「명잣는 소리」, 「명잣는 노래」 등이라고도 한다. 물레질은 실을 자아내기 위해 손으로 물레를 돌리는 작업으로, 일정한 동작을 오랜 시간 반복적으로 하기 때문에 일의 고...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 「물레질 소리」는 백곡면 일대에서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는 길쌈노동요이다. 이를 「물레질 노래」, 「물레 노래」, 「물레 소리」, 「명잣는 소리」, 「명잣는 노래」 등이라고도 한다. 물레질은 실을 자아내기 위해 손으로 물레를 돌리는 작업으로, 일정한 동작을 오랜 시간 반복적으로 하기 때문에 일의 고...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 「물레질 소리」는 백곡면 일대에서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는 길쌈노동요이다. 이를 「물레질 노래」, 「물레 노래」, 「물레 소리」, 「명잣는 소리」, 「명잣는 노래」 등이라고도 한다. 물레질은 실을 자아내기 위해 손으로 물레를 돌리는 작업으로, 일정한 동작을 오랜 시간 반복적으로 하기 때문에 일의 고...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 「물레질 소리」는 백곡면 일대에서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는 길쌈노동요이다. 이를 「물레질 노래」, 「물레 노래」, 「물레 소리」, 「명잣는 소리」, 「명잣는 노래」 등이라고도 한다. 물레질은 실을 자아내기 위해 손으로 물레를 돌리는 작업으로, 일정한 동작을 오랜 시간 반복적으로 하기 때문에 일의 고...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 미역수마을에서 백련암과 빈대에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미역수 절과 빈대」는 빈대 때문에 백련암이 망하였다는 전설이다. 1982년 진천문화원에서 출간한 『내 고장 전통 가꾸기』와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고려 초기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 미역수마을 뒷산에 절이 있었으니, 이...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어은마을에서 바보사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어은마을 주민 정태민[남, 45]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83년 충청북도에서 출간한 『민담민요지』에 수록하였다. 옛날 어느 산골에 바보가 살고 있었다. 바보가 장가를 가서 처음 처가에 갔는데 장모가 딸 생각을 하여 이것저것 음식을 많이 차려...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가산리 가암마을에서 효자 덕온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더니바위 전설」은 아버지가 돌아가신 충격으로 어머니가 몸져눕게 되자 스님에게 간청한 끝에 약초를 구해 왔지만 이미 임종하신 어머니의 소식을 듣고 슬픔에 겨워 바위로 변했다는 효행담이다. 이를 「바위가 된 효자 덕온」이라고도 한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에서 사랑을 주제로 하여 엮어 나가고 있는 노래. 「개성 난봉가」는 광혜원면 대막거리에서 개성의 명승을 주제로 사랑을 노래한 토속민요이다. 이를 「박연 폭포」라고도 한다. 경기도 민요로 분류되기도 하는 「박연 폭포」는 이 노래의 첫 구절 “박연 폭포가 흘러 흘러서 법사정으로 가구서”에서 따온 것이다. 사설은 세월이 흐르고 나이가 들기 전...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갈월리에서 밤과 생쥐의 재미있는 모습을 읊은 노래. 「밤노래」는 밤을 주제로 하여 재미있는 사설로 노래하는 유희요이다. 민요에서 유희요는 놀이와 더불어 그 진행을 돕거나 혹은 흥을 더하기 위하여 부르는 노래이다. 이때 구연되는 사설의 틀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즉흥적이면서 가변적인 양상을 띤다. 「밤노래」의 사설은 밤 한 톨을 새앙쥐가 먹...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에서 나그네와 사돈의 밥상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밥상 빼앗긴 새 사돈 이야기」는 공짜로 숙식하는 나그네가 대접을 소홀히 하는 집주인이 미워서 변변치 못한 자신의 밥상과 융숭한 새 사돈의 밥상을 재치 있게 바꿔치기하여 빼앗아 먹었다는 지략담이다. 2004년 진천상산고적회에서 간행한 『진천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있다. 어느 날...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방아를 찧으면서 부르던 노래. 「방개 소리」는 백곡면 구수리에서 논을 김매기하면서 부르는 「논매기 소리」의 일종인 토속민요이다. 우리나라 전역에서는 논농사와 관련된 노동요가 많이 채집된다.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는 「논매기 소리」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며, 「방아 소리」가 그 중 하나인데, 「방개 소리」는 이것의 변형이다...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두촌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방골 큰애기 이야기. 「방골 큰애기 이야기」는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덕산읍 두촌리에 사는 문충일[남, 61]에게서 채록한 것으로, 1997년 편찬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여 년 전 방골에서 성장한 큰애기[시집가게 된 처녀]가 초평에 사는 신랑과 혼인하게 되었다. 그 시절...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서 방귀쟁이 며느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주민 신윤식[남, 62]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83년 충청북도에서 출간한 『민담민요지』에 수록하였다. 옛날 어떤 사람이 며느리를 얻었는데, 시집을 오고 나서부터 며느리는 웬일인지 몸이 마르고 얼굴이 야위어 갔다. 그래서 시아버지가 어디 아프냐...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디딜방아를 찧으며 부르던 노래. 「방아 찧는 소리」는 노동요 중 제분노동요에 속한다. 디딜방아는 여러 사람이 함께 보조를 맞추며 곡식을 찧어야 하기 때문에 노래가 필요했다. 디딜방아를 찧는 작업은 주로 여성들의 일이었기 때문에 여성들의 삶에 대한 애환이 솔직하게 나타나 있는 것이 특징이다. 1993년 10월 17일 백곡면 구수...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디딜방아를 찧으며 부르던 노래. 「방아 찧는 소리」는 노동요 중 제분노동요에 속한다. 디딜방아는 여러 사람이 함께 보조를 맞추며 곡식을 찧어야 하기 때문에 노래가 필요했다. 디딜방아를 찧는 작업은 주로 여성들의 일이었기 때문에 여성들의 삶에 대한 애환이 솔직하게 나타나 있는 것이 특징이다. 1993년 10월 17일 백곡면 구수...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방아를 찧으면서 부르던 노래. 「방개 소리」는 백곡면 구수리에서 논을 김매기하면서 부르는 「논매기 소리」의 일종인 토속민요이다. 우리나라 전역에서는 논농사와 관련된 노동요가 많이 채집된다.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는 「논매기 소리」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며, 「방아 소리」가 그 중 하나인데, 「방개 소리」는 이것의 변형이다...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디딜방아를 찧으며 부르던 노래. 「방아 찧는 소리」는 노동요 중 제분노동요에 속한다. 디딜방아는 여러 사람이 함께 보조를 맞추며 곡식을 찧어야 하기 때문에 노래가 필요했다. 디딜방아를 찧는 작업은 주로 여성들의 일이었기 때문에 여성들의 삶에 대한 애환이 솔직하게 나타나 있는 것이 특징이다. 1993년 10월 17일 백곡면 구수...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디딜방아를 찧으며 부르던 노래. 「방아 찧는 소리」는 노동요 중 제분노동요에 속한다. 디딜방아는 여러 사람이 함께 보조를 맞추며 곡식을 찧어야 하기 때문에 노래가 필요했다. 디딜방아를 찧는 작업은 주로 여성들의 일이었기 때문에 여성들의 삶에 대한 애환이 솔직하게 나타나 있는 것이 특징이다. 1993년 10월 17일 백곡면 구수...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밭을 갈며 부르는 노래. 「밭가는 소리」는 덕산읍 일대에서 밭을 갈 때 소를 몰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이를 「소모는 소리」, 「소모는 노래」 등이라고도 한다. 씨를 뿌려 곡식과 채소를 키우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해야 할 작업이 굳어진 밭을 뒤엎어 가는 일이다. 이 작업은 힘이 많이 들기 때문에 대부분 소를 이용한다. 그러...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밭을 매며 부르던 노래. 「밭매는 소리」는 밭의 잡초나 돌 등을 호미로 골라내고 농작물이 잘 자라날 수 있도록 흙을 북돋워주는 작업을 하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로, 지역에 따라 「밭매기 소리」 또는 「밭매는 노래」라고도 부른다. 「밭매는 소리」는 흔히 혼자 밭을 매며 나지막한 소리로 읊조리며 부르므로 가락보다는 사설이 풍부하다....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회안리와 백곡면 구수리에서 김을 매면서 부르던 노래. 작물의 생장을 방해하는 쓸데없는 잡초를 손이나 연장으로 뽑아버리거나 흙에 묻어 없애는 일을 ‘김매다’라고 하며, 매는 곳에 따라서 ‘논매다’ 또는 ‘밭매다’라고 한다. 「김매기 노래」에는 「논매기 소리」와 「밭매기 소리」의 두 가지가 있다. 광혜원면 회안리와 백곡면 구수리에서 전승되고 있는 「...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밭을 매며 부르던 노래. 「밭매는 소리」는 밭의 잡초나 돌 등을 호미로 골라내고 농작물이 잘 자라날 수 있도록 흙을 북돋워주는 작업을 하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로, 지역에 따라 「밭매기 소리」 또는 「밭매는 노래」라고도 부른다. 「밭매는 소리」는 흔히 혼자 밭을 매며 나지막한 소리로 읊조리며 부르므로 가락보다는 사설이 풍부하다....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밭을 매며 부르던 노래. 「밭매는 소리」는 밭의 잡초나 돌 등을 호미로 골라내고 농작물이 잘 자라날 수 있도록 흙을 북돋워주는 작업을 하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로, 지역에 따라 「밭매기 소리」 또는 「밭매는 노래」라고도 부른다. 「밭매는 소리」는 흔히 혼자 밭을 매며 나지막한 소리로 읊조리며 부르므로 가락보다는 사설이 풍부하다....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양백리 이티(배티)마을에서 이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티 전설」은 이인좌(李麟佐)[? ~1728]가 당파 싸움에 불만을 가지고 반역을 꾀하였지만 이티에서 팔십 노인인 이순곤(李順坤)[1652~1729]에게 패하고 결국 관군에게 진압되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또한 최양업(崔良業)[1821~1861] 신부가 이곳에서 교우들과...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장월리에서 선비가 자연을 벗 삼아 인생사를 읊은 노래. 「백구가(白鷗歌)」는 벼슬에서 밀려난 선비가 자연을 벗 삼아 갈매기가 날아다니는 봄 경치를 즐기는 한가로움, 자연 속에서 느끼는 무소유의 자유로움,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 등을 표현하고 있다. 「백구가」는 사설 첫 머리의 ‘백구야 가지를 마라’에서 백구를 차용하여 명명한 것이다. 이...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장월리에서 선비가 자연을 벗 삼아 인생사를 읊은 노래. 「백구가(白鷗歌)」는 벼슬에서 밀려난 선비가 자연을 벗 삼아 갈매기가 날아다니는 봄 경치를 즐기는 한가로움, 자연 속에서 느끼는 무소유의 자유로움,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 등을 표현하고 있다. 「백구가」는 사설 첫 머리의 ‘백구야 가지를 마라’에서 백구를 차용하여 명명한 것이다. 이...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에서 청춘이 가고 백발이 오는 것을 탄식하며 부르던 노래. 조선 후기에 편찬된 가사집 『경세설(警世說)』에 다른 12편의 가사작품과 함께 작자·연대 미상의 「백발가(白髮歌)」가 실려 전한다. 작자가 꿈에 어떤 걸인 행색의 노인을 만나 그로부터 젊은 시절의 행적과 백발의 한스러움을 자탄하는 이야기를 듣는 문답식으로 이루어진 내용이다. 진천 지역에서 채...
-
조선 후기 이후연이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에 있던 백원서원에 대해 읊은 칠언율시의 한시. 백원서원(百源書院)은 1606년 개성유수를 끝으로 관직에서 물러난 독송재(獨松齋) 신잡(申磼)이 낙향한 뒤 세종 대의 효자 김덕숭(金德崇)과 이여·이부(李阜)를 제향하기 위해 1608년에 세운 서원이다. 1871년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으며, 현재는 사적비만이 남아서 서원...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갈월리 강당마을에서 두 마을의 원한지간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뱀재 이야기」는 백곡면에 있던 두 마을이 깊은 원한 관계에 있었는데, 박산의와 성거사라는 두 노인이 이를 풀기 위해 마을 사이의 고개에서 배례(拜禮)를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마을 사람들도 배례를 하게 되어 결국에는 두 마을이 화해했다는 이야기이다. 「뱀재 이야기...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갈월리 강당마을에서 두 마을의 원한지간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뱀재 이야기」는 백곡면에 있던 두 마을이 깊은 원한 관계에 있었는데, 박산의와 성거사라는 두 노인이 이를 풀기 위해 마을 사이의 고개에서 배례(拜禮)를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마을 사람들도 배례를 하게 되어 결국에는 두 마을이 화해했다는 이야기이다. 「뱀재 이야기...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과 문백면에서 뱃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뱃노래」는 어업노동요로 분류되는데, 충청북도 내륙 지방인 진천군에서 「뱃노래」가 전승되는 점이 주목된다. 「뱃노래」는 일반적으로 바닷가 마을에서 성행하지만 내륙 지방에서도 큰 강이나 저수지에 접해 있는 지역에서도 채집되고 있다. 해안 지역에서 채집되는 「뱃노래」는 배를 닦으면서, 혹은 그물을...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불리던 경기잡가의 하나. 진천읍 읍내리에 사는 이철우[남, 76세]가 부른 노래가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1행 2음보의 빠르고 경쾌한 굿거리장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독창으로 부른다. 「범벅 타령」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체로 앞 부분은 정월부터 12월까지 각 계절에 맞는 재료로 빚어낸 열 두가지 범...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와 백곡면 구수리에서 베를 짜며 부르던 노래. 진천 지역에서 여자들이 베틀을 이용해 베를 짜며 부르는 길쌈노동요의 하나이다. 「베짜는 노래」, 「베짜기 노래」, 「베틀 노래」, 「베틀 소리」 라고도 한다. 삼국 시대에 신라 부녀자들이 길쌈 내기를 한 후 불렀다는 「회소곡」 에서 길쌈노동요의 연원을 찾을 수 있다. 「베짜는 소리」는 오랜 시간...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와 백곡면 구수리에서 베를 짜며 부르던 노래. 진천 지역에서 여자들이 베틀을 이용해 베를 짜며 부르는 길쌈노동요의 하나이다. 「베짜는 노래」, 「베짜기 노래」, 「베틀 노래」, 「베틀 소리」 라고도 한다. 삼국 시대에 신라 부녀자들이 길쌈 내기를 한 후 불렀다는 「회소곡」 에서 길쌈노동요의 연원을 찾을 수 있다. 「베짜는 소리」는 오랜 시간...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와 백곡면 구수리에서 베를 짜며 부르던 노래. 진천 지역에서 여자들이 베틀을 이용해 베를 짜며 부르는 길쌈노동요의 하나이다. 「베짜는 노래」, 「베짜기 노래」, 「베틀 노래」, 「베틀 소리」 라고도 한다. 삼국 시대에 신라 부녀자들이 길쌈 내기를 한 후 불렀다는 「회소곡」 에서 길쌈노동요의 연원을 찾을 수 있다. 「베짜는 소리」는 오랜 시간...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와 백곡면 구수리에서 베를 짜며 부르던 노래. 진천 지역에서 여자들이 베틀을 이용해 베를 짜며 부르는 길쌈노동요의 하나이다. 「베짜는 노래」, 「베짜기 노래」, 「베틀 노래」, 「베틀 소리」 라고도 한다. 삼국 시대에 신라 부녀자들이 길쌈 내기를 한 후 불렀다는 「회소곡」 에서 길쌈노동요의 연원을 찾을 수 있다. 「베짜는 소리」는 오랜 시간...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와 백곡면 구수리에서 베를 짜며 부르던 노래. 진천 지역에서 여자들이 베틀을 이용해 베를 짜며 부르는 길쌈노동요의 하나이다. 「베짜는 노래」, 「베짜기 노래」, 「베틀 노래」, 「베틀 소리」 라고도 한다. 삼국 시대에 신라 부녀자들이 길쌈 내기를 한 후 불렀다는 「회소곡」 에서 길쌈노동요의 연원을 찾을 수 있다. 「베짜는 소리」는 오랜 시간...
-
조선 후기 채지홍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봉암마을을 예찬한 칠언율시의 한시. 봉암(鳳巖) 채지홍(蔡之洪)[1683~1741]은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봉암마을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부터 재능과 지혜가 출중하여 8세에 이미 한시를 지어 세인들을 놀라게 할 정도로 성리학적 소양이 높았다. 한때 충청도사 등의 관직을 지냈으나, 당시의 당파 싸움에 혐오를 느껴 관직에서...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금암리에서 부흥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여송이 한 이인의 말을 듣고 부흥산을 파다가 낭패하였다는 전설이다. 1982년 진천문화원에서 출간한 『내 고장 전통 가꾸기』와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부흥산은 충청북도 진천에서 충청남도 천안 방면으로 6㎞ 정도에 자리 잡고 있는...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동제나 고사를 지내면서 부르던 노래. 지역에 따라 「고사반(告祀盤)」 또는 「비나리」라고도 하는 「고사 소리」는 정월 초에서 대보름 사이 마을 제사를 지낼 때 지신밟기를 하거나 시월상달에 고사를 지내면서 부르는 세시의식요이다. 진천읍 읍내리에 사는 이철우[남, 76세]가 부른 노래가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1행 4음...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와 문백면 장월리에서 남녀 간의 사랑을 노래한 잡가의 하나. 후렴구에 ‘사랑아’란 말이 있어 「사랑가」로 불린다. 민요나 잡가에는 남녀의 사랑을 그린 노래가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황해도의 「난봉가」, 함경도의 「어랑 타령」, 전라도의 「등가 타령」, 경기도의 「한강수 타령」 등이 대표적이다. 지역에 따라 「사랑요」, 「님 생각」, 「처녀 총...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에서 사랑을 주제로 하여 엮어 나가고 있는 노래. 「개성 난봉가」는 광혜원면 대막거리에서 개성의 명승을 주제로 사랑을 노래한 토속민요이다. 이를 「박연 폭포」라고도 한다. 경기도 민요로 분류되기도 하는 「박연 폭포」는 이 노래의 첫 구절 “박연 폭포가 흘러 흘러서 법사정으로 가구서”에서 따온 것이다. 사설은 세월이 흐르고 나이가 들기 전...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와 문백면 장월리에서 남녀 간의 사랑을 노래한 잡가의 하나. 후렴구에 ‘사랑아’란 말이 있어 「사랑가」로 불린다. 민요나 잡가에는 남녀의 사랑을 그린 노래가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황해도의 「난봉가」, 함경도의 「어랑 타령」, 전라도의 「등가 타령」, 경기도의 「한강수 타령」 등이 대표적이다. 지역에 따라 「사랑요」, 「님 생각」, 「처녀 총...
-
조선 후기 한원진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에서 해질 무렵 고기잡이를 하는 배들의 모습을 노래한 칠언절구의 한시. 한원진(韓元震)[1682~1751]의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덕소(德昭), 호는 남당(南塘)이다. 송시열(宋時烈)과 권상하(權尙夏)의 학통을 이어 정통 주자학의 입장을 충실히 계승·발전시켰으며, 권상하 문하의 강문8학사(江門八學士) 중 한 사람으...
-
조선 전기 문신 이승소가 진천현에서 하룻밤을 묵으면서 지은 칠언율시의 한시. 이승소(李承召)[1442~1484]는 조선 성종 때 예조판서를 지낸 문신이자 학자로,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펴내기도 하였다. 「산 형세 돌고 돌아」는 이승소가 진천현에서 하룻밤을 묵으면서 지은 한시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수록되어 있다. 혼자서 책상...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행정리에서 살구우물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살구우물 이야기」는 길손에게 선행을 베푼 근강할아범과 근강할멈으로 인해 이 부부가 보호하던 우물이 그 물을 마시면 아들을 낳거나 과거에 급제하는 명당이 되었다는 명당획득담이다. 1982년 진천문화원에서 출간한 『내 고장 전통 가꾸기』와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진천군...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삼덕리에서 독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독바위 전설」은 후덕한 마음씨의 착한 가족이 거지에게 은혜를 베풀고, 그 공덕으로 인하여 우연히 얻은 독바위가 마을 입구에 서 있는 항아리처럼 생겼다는 암석전설이다. 이를 「삼덕리 옹암(瓮岩) 전설」이라고도 한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진천군지』와 2004년 충북학...
-
조선시대 신국이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과 백곡면의 경계에 있는 무제봉 삼백동폭포의 절경을 읊은 칠언절구의 한시. 진천군 이월면 무제봉의 삼백동폭포는 예부터 노은팔경(老隱八景)의 하나로 꼽을 만큼 아름다운 절경을 자랑하는 곳이다. 삼백동폭포의 아름다운 모습을 그린 「삼백동폭포(三白洞瀑布)」는 진천군에서 펴낸 『내 고장 전통 가꾸기』 ‘제영’ 편에 수록되어 있다. 1행에서는...
-
조선 후기 박제형이 진천현의 관아인 삼수헌을 소재로 하여 지은 칠언율시의 한시. 삼수헌(三秀軒)은 진천현감의 손님맞이 응접실인 내동헌(內東軒)을 가리킨다. 작가인 판교(板橋) 박제형(朴齊珩)은 「삼수헌」을 통해 공사간의 분망한 삶 속에서도 삼수헌을 들렀던 인연들과의 정을 잔잔하게 그려내고 있다. 공사간의 일로 모두가 바쁘기만 한데[公私緣業兩粉忙] 행장에 마음은 바로 잡히...
-
조선 후기 채지홍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에 있는 어은동에서 읊은 칠언율시의 한시. 「상가암천(上家岩泉)」은 채지홍(蔡之洪)[1683~1741]이 어은동을 노래한 어은팔경시(魚隱八景詩)의 하나이다. 고당(高堂)의 위아래에는 채의(彩衣)가 번득이고[高堂上下彩衣翻] 형수(荊樹)에 비치는 봄빛 따사롭기도 하네[荊樹春光共一堙] 몇 년이나 호외(湖外)는 반포(反哺)의 은혜...
-
조선 전기 이황이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 있던 상산관에서 지은 칠언율시의 한시. 「상산관(常山館)」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수의(繡衣)[어사또]로서 이곳을 지날 때, 진천의 옛 지명인 상산(常山)의 객사(客舍)에 들러 이 고장 백성의 삶과 목민관으로서 위정자의 자세에 대하여 경구하는 의미로 지은 뒤 게판(揭板)한 한시이다. 상산관(常山館)은 현재의 진천읍...
-
조선시대 신국이 충청북도 진천 지역의 바둑바위를 보고 읊은 칠언절구의 한시. 진천 지역은 예부터 산수가 빼어나 통산별업팔경(通山別業八景)이니 노은팔경(老隱八景)이니 하는 명승지가 많았다. 이런 연유로 전국 팔도에서 풍류객들이 즐겨 찾으며 시를 읊었는데, 「상산기암(商山棋岩)」도 그 중의 한 편이다. 진천군에서 펴낸 『내 고장 전통 가꾸기』 ‘제영’ 편에 수록되어 있다....
-
조선 후기 유수응(柳秀應)이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사곡리에 있는 상산의 정경을 읊은 칠언절구의 한시. 산수가 수려한 곳에는 ‘팔경’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상산모운(常山暮雲)」 역시 진천 지역의 아름다운 풍광을 그린 벽오팔경(碧梧八景)의 하나이다. 현재 벽오팔경(碧梧八景)을 노래하는 시는 4편만 전해지는데, 제1경은 「상산모운(常山暮雲)」, 제2경은 「관촌석연(管村夕烟...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에서 상산벼루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상산벼루 전설」은 1999년에 발간된 『상산문화』5호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 한양에 있는 재상집에서 진천의 한 선비에게 진천의 명물로 알려진 상산벼루를 구해 달라고 부탁하였다. 이에 진천의 선비는 얼마 후 좋은 벼루 한 개를 값을 많이 주고 구한 뒤에, 걸음이 잽싼 이웃 사람에게 노자를 후...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회안리에서 상여를 메고 가며 부르는 의식요. 「상여 소리」는 상례(喪禮)할 때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혹은 상두꾼으로 불리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상여 소리」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지역에 따라 「만가(輓歌)」·「향도가」·「회심곡」·「향두가」·「행상 소리」·「옥설개」·「설소리」 등으로도 불리고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불리던 경기잡가의 하나. 진천읍 읍내리에 사는 이철우[남, 76세]가 부른 노래가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1행 2음보의 빠르고 경쾌한 굿거리장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독창으로 부른다. 「범벅 타령」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체로 앞 부분은 정월부터 12월까지 각 계절에 맞는 재료로 빚어낸 열 두가지 범...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금곡리에서 생거진천(生居鎭川)의 유래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진천군지』와 1997년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출간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생거진천, 죽어서는 용인으로 가거라’라는 뜻인데, 이와 관련하여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 온다. 충청북도 진천에 사는 허주부의 딸이 용인으로...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 금한마을에서 서낭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서낭당 이야기」는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초평면 금곡리에 사는 조명순(여, 69)에게서 채록한 것으로, 1997년 편찬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예전에는 자식을 못 낳으면 서낭에 떡을 해 가지고 가서 백일기도를 하였다. 그런데 다들 못살던 때라 배가 고픈 사람...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 영수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괘불탱화. 「진천영수사영산회괘불탱」은 석가모니불이 영취산(靈鷲山)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로 1977년 12월 7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4호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3월 12일 보물 제1551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진천영수사영산회괘불탱」은 17세기 영산회상도의...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과 문백면에서 뱃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뱃노래」는 어업노동요로 분류되는데, 충청북도 내륙 지방인 진천군에서 「뱃노래」가 전승되는 점이 주목된다. 「뱃노래」는 일반적으로 바닷가 마을에서 성행하지만 내륙 지방에서도 큰 강이나 저수지에 접해 있는 지역에서도 채집되고 있다. 해안 지역에서 채집되는 「뱃노래」는 배를 닦으면서, 혹은 그물을...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회안리에서 상여를 메고 가며 부르는 의식요. 「상여 소리」는 상례(喪禮)할 때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혹은 상두꾼으로 불리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상여 소리」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지역에 따라 「만가(輓歌)」·「향도가」·「회심곡」·「향두가」·「행상 소리」·「옥설개」·「설소리」 등으로도 불리고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불리던 경기민요의 하나. 「성주풀이」는 진천 지역에서 조사된 경기 민요 중이 하나로 굿거리 장단으로 부른다. 집을 지키고 보호하는 가신(家神)인 성주의 유래를 풀이하는 성주굿에서 불리는 「성주풀이」가 민요화한 것으로 성주신에게 집터를보호하고 집안사람들의 안녕과 무병장수를 기원하기 위해 부른다. 진천읍 읍내리에 사는...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여인이 자신의 운명을 탄식하며 부르는 민요. 「팔자요」는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전승되는 노래로 어려서부터 늙을 때까지 여인의 풍모와 심정을 형상화한 여자탄식요이다. 이를 「신세한탄 노래」·「세월한탄 노래」라고도 일컫는다. 혼자 부르는 경우가 많으며, 음영(吟詠)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사설은 3·4조 내지 4·4조로 되어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성석리에서 세종대왕과 성평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세종대왕이 안질을 치료하러 초정에 행차할 때 쉬어갔다는 성평의 지명유래담이다. 1982년 진천문화원에서 출간한 『내 고장 전통 가꾸기』와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성평마을은 충청북도 진천에서 서울 방향으로 가면 나오는 진천...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신정리에서 소강정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소강정 전설」은 노처녀의 원혼이 붙어 선비들을 해코지한 바위에 얽힌 전설이다. 1982년 진천문화원에서 출간한 『내 고장 전통 가꾸기』에 수록되어 있다.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신정리 마을 앞산 아래에 조그만 강이 흐르는데, 강 옆으로 널찍한 바위가 하나 있다. 옛날, 신정...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은탄리에서 소두머리(우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우담(牛潭)에는 모래사장과 산세 등 여러 지형들이 아우러져 있는데, 「우담 전설」은 그 중 태봉산에 왕의 태를 묻었다는 이야기와 민비가 마을 주민들을 동원하여 산을 만들었다는 이야기로,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소두머니 전설」이라고도 한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
조선 후기 정해필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에 있는 소두머니 앞에 펼쳐진 풍경을 읊은 칠언절구의 한시. 정해필(鄭海弼)[1831~1887]은 조선 후기의 학자로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경기(景箕), 호는 조암(照庵)이다. 1885년(고종 22) 추천에 의해 선공감감역(繕工監監役)을 지냈고, 후에 송달수(宋達洙)의 문인이 되었다. 저서로 『조암집(照庵集)』이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 금한마을에 전해 내려오는 솥뚜껑 쓰고 춤을 춘 며느리에 대한 이야기. 「소두박 며느리 이야기」는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초평면 금곡리에 사는 조명순[여, 69]에게서 채록한 것으로, 1997년 편찬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에 비가 오지 않자 시아버지가 자신의 세 며느리에게 소두박, 곧 솥뚜껑을 거꾸로 머리에...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밭을 갈며 부르는 노래. 「밭가는 소리」는 덕산읍 일대에서 밭을 갈 때 소를 몰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이를 「소모는 소리」, 「소모는 노래」 등이라고도 한다. 씨를 뿌려 곡식과 채소를 키우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해야 할 작업이 굳어진 밭을 뒤엎어 가는 일이다. 이 작업은 힘이 많이 들기 때문에 대부분 소를 이용한다. 그러...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밭을 갈며 부르는 노래. 「밭가는 소리」는 덕산읍 일대에서 밭을 갈 때 소를 몰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이를 「소모는 소리」, 「소모는 노래」 등이라고도 한다. 씨를 뿌려 곡식과 채소를 키우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해야 할 작업이 굳어진 밭을 뒤엎어 가는 일이다. 이 작업은 힘이 많이 들기 때문에 대부분 소를 이용한다. 그러...
-
조선 후기 채지홍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어은동에서 멀리 보이는 속리산의 절경을 읊은 칠언율시의 한시. 「속리원금(俗離遠芩)」은 채지홍(蔡之洪)[1683~1741]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어은동의 경치를 노래한 어은팔경시(魚隱八景詩)의 하나이다. 어은팔경은 제1경 어은초당(漁隱草堂)[어은의 초당], 제2경 심곡계석(深谷溪石)[깊은 계곡의 시내와 돌],...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신정리에서 송덕불상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송덕불상 이야기」는 임진왜란 때 북진하던 왜병이 덕문이들 앞에서 용화사에 있는 3m 높이의 송덕불상이 움직이는 모습에 위세가 꺾여 파진하였다는 신이담이다. 1982년 진천문화원에서 출간한 『내 고장 전통 가꾸기』와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에서 수절의 어려움을 노래한 민요. 「수절가」는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 수문마을에서 과부가 정절을 지키며 겪는 어려움을 표현하고 있는 토속민요이다. 최명환의 「수절가」는 사설이 매우 짧은데, 이는 노래하는 사람이 기억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 수문마을의 주민 최명환[남, 미상]과 최권식[남,...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시집살이의 고달픔을 읊은 노래. 「시집살이 노래」는 여성들이 부르던 부요(婦謠)로서, 봉건적 가족 관계 속에서 겪는 여성들의 한스러운 삶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다. 이를 「시어머니 노래」라고도 한다.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채록된 「시집살이 노래」의 사설은 출가한 여성이 힘들고 고된 시집살이를 겪고 난 후 좋은 시절이 온 것을...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시집살이의 고달픔을 읊은 노래. 「시집살이 노래」는 여성들이 부르던 부요(婦謠)로서, 봉건적 가족 관계 속에서 겪는 여성들의 한스러운 삶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다. 이를 「시어머니 노래」라고도 한다.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채록된 「시집살이 노래」의 사설은 출가한 여성이 힘들고 고된 시집살이를 겪고 난 후 좋은 시절이 온 것을...
-
조선 후기 최명길이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건송리 두건마을에 있는 식파정의 경치를 읊은 오연율시의 한시. 식파정(息波亭)은 진천 건송리에서 태어난 이득곤(李得坤)의 호이자, 이득곤이 조선 후기에 세운 정자의 이름이기도 하다. “사람의 마음은 물결과 같아 바람이 일면 욕랑이 이니 마음의 욕랑을 절제하며 잠재워야 한다.”라는 금언의 내용을 담고 있는 식파정은 주변의 경관이...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불리던 신민요의 하나. 「어랑 타령」은 “어랑 어랑 어허랑 어하라난다 디허라 내 사랑아”를 후렴으로 끝맺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사설 중에 “신고산이 우루루 화물차 가는 소리에/ 고무공장 큰애기 반봇짐만 싸노라” 하는 사설이 있어 「신고산 타령」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원래는 함경도에서 불리던 민요이나 서울과 경기 지방에서도...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계리에서 신립 장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신립 장군 설화」는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이월면 신계리에 사는 남창우[남, 82]에게서 채록한 것으로, 1997년 편찬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신립(申砬)[1546~1592] 장군이 청년 시절 조령 근처에 사냥을 나갔다가 길을 잃었다. 민가를 찾아 헤...
-
조선 후기 한원진이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대문리와 협탄원 사이에 있는 산봉우리 사이에서 보는 낙조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칠언절구의 한시. 한원진(韓元震)[1682~1751]의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덕소(德昭), 호는 남당(南塘)이다. 송시열(宋時烈)과 권상하(權尙夏)의 학통을 이어 정통 주자학의 입장을 충실히 계승·발전시켰으며, 권상하 문하의 강문8학사(江門八學...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여인이 자신의 운명을 탄식하며 부르는 민요. 「팔자요」는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전승되는 노래로 어려서부터 늙을 때까지 여인의 풍모와 심정을 형상화한 여자탄식요이다. 이를 「신세한탄 노래」·「세월한탄 노래」라고도 일컫는다. 혼자 부르는 경우가 많으며, 음영(吟詠)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사설은 3·4조 내지 4·4조로 되어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 노은영당에 있는 조선 후기 신잡의 영정. 신잡(申磼)[1541~1609]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호는 독송(獨松)이다. 「신잡 초상」은 1977년 12월 6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5호로 지정되었다. 「신잡 초상」은 비단에 채색을 한 것으로 영정의 크기는 가로 90㎝, 세로 167㎝이다. 사모에 대례복을 갖추고 교의(...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 노은영당에 있는 조선 후기 신잡의 영정. 신잡(申磼)[1541~1609]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호는 독송(獨松)이다. 「신잡 초상」은 1977년 12월 6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5호로 지정되었다. 「신잡 초상」은 비단에 채색을 한 것으로 영정의 크기는 가로 90㎝, 세로 167㎝이다. 사모에 대례복을 갖추고 교의(...
-
조선 후기 채지홍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에 있는 어은동의 풍광을 읊은 칠언율시의 한시. 「심곡계석(深谷溪石)」은 채지홍(蔡之洪)[1683~1741]이 어은동의 경치를 노래한 어은팔경시(魚隱八景詩)의 하나이다. 깊고 신령스러운 이 땅에서 은둔할 사람 기다리는데[地閟靈區待逸氓] 그윽하고 고요해 반곡과 명성을 다툴 만하구나[窔深盤谷可爭名] 삼청의 아름다운 고장은 신선...
-
조선 후기 박제형이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 있는 쌍오정에 올라 주변의 경관을 읊은 칠언절구의 한시. 쌍오정(雙梧亭)은 조선 후기 문신 회와(晦窩) 이인엽(李寅燁)[1656~1710]이 벼슬길을 버리고 초평으로 낙향하여 지은 정자로, 현재는 터만 남아 있다. 이인엽은 이시발(李時發)의 손자로, 숙종이 중전 민씨를 폐하려 하자 재야 서인 인사들과 더불어 반대소를 올...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와 백곡면 갈월리에서 아이를 재우면서 부르던 노래. 진천 지역에서 아이를 재울 때 부르던 육아노동요의 하나로, 지역에 따라 「자장가」, 「자장 노래」, 「아기 재우는 노래」 등으로 불린다. 대체로 아이의 어머니, 할머니가 아이를 재우면서 부르나 때로는 할아버지가 부르기도 한다. 「아이 재우는 소리」는 노래 구연의 목적이 동일하기 때문에 사설...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갈월리에서 어른이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어르면서 부르는 민요. 「아이 어르는 소리」는 어른이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어르면서 부르던 육아노동요이다. 이를 「달강달강」, 「둥기둥기 둥기야」, 「둥기 소리」 등이라고도 한다. 육아노동요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가 「아이 재우는 소리(자장가)」라고 한다면 다른 하나가 이 「아이 어르는 소리...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와 백곡면 갈월리에서 아이를 재우면서 부르던 노래. 진천 지역에서 아이를 재울 때 부르던 육아노동요의 하나로, 지역에 따라 「자장가」, 「자장 노래」, 「아기 재우는 노래」 등으로 불린다. 대체로 아이의 어머니, 할머니가 아이를 재우면서 부르나 때로는 할아버지가 부르기도 한다. 「아이 재우는 소리」는 노래 구연의 목적이 동일하기 때문에 사설...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명당 이야기. 「안동권씨 시조 이야기」는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이월면 신계리에 사는 남창우[남, 82]에게서 채록한 것으로, 1997년 편찬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 어떤 곳에 큰집과 작은집이 있었는데, 큰집은 재산이 있어서 잘 살고 작은집은 가정 형편이 어려웠다. 그러나 두 집의 의는 좋...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서 암구렁이를 죽인 수구렁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주민 신윤식[남, 62]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83년 충청북도에서 출간한 『민담민요지』에 수록하였다. 옛날에 한 노인이 여름에 살포를 들고 물꼬를 보러 논에 나갔다. 그런데 가다 보니 논둑에서 큰 구렁이가 조그마한 독사와 교미를 하고...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불리던 경기민요의 하나. 「양산도(陽山道)」는 경기도 지역에서 입창(立唱)으로 불리는 노래로, 진천이 경기도와 인접해 있어서인지 많이 불린다. 지역에 따라 「양산(陽山)」, 「향산(香山)」, 「향산도(香山道)」, 「양산가」라고도 한다. 세마치 장단으로 씩씩하고 경쾌하게 부른다. 진천읍 읍내리에 사는 이철우[남, 76...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불리던 경기민요의 하나. 「양산도(陽山道)」는 경기도 지역에서 입창(立唱)으로 불리는 노래로, 진천이 경기도와 인접해 있어서인지 많이 불린다. 지역에 따라 「양산(陽山)」, 「향산(香山)」, 「향산도(香山道)」, 「양산가」라고도 한다. 세마치 장단으로 씩씩하고 경쾌하게 부른다. 진천읍 읍내리에 사는 이철우[남, 76...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불리던 경기민요의 하나. 「양산도(陽山道)」는 경기도 지역에서 입창(立唱)으로 불리는 노래로, 진천이 경기도와 인접해 있어서인지 많이 불린다. 지역에 따라 「양산(陽山)」, 「향산(香山)」, 「향산도(香山道)」, 「양산가」라고도 한다. 세마치 장단으로 씩씩하고 경쾌하게 부른다. 진천읍 읍내리에 사는 이철우[남, 76...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에서 양천산성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양천산성 설화」는 선비의 깊은 효심에 감동하여 천지신명이 현몽하여 산성을 쌓아 몸을 피하라고 알려주었다는 효행담이자 산성을 공격하던 왜군들이 폭포수처럼 쏟아지는 샘물에 전멸하였다는 신이담이다. 또한 마을 사람 1천여 명의 목숨을 모두 구하게 되어 양천산이라는 명칭이 붙게 되었다는 지...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광혜원리에서 뱃사공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광혜원리 뱃사공 이야기」는 충청도[현 충청북도]와 경기도의 접경지대인 강을 사이에 두고 생겼던 신임 관찰사와 예절 바르고 마음씨 착한 어느 뱃사공에 대한 교훈담이다. 이를 「어느 뱃사공의 이야기」라고도 한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가산리 가암마을에서 지관과 명당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어느 지관 이야기」는 하신 부락에 머물고 있는 지관과 부모님의 묏자리로 명당을 찾는 젊은이의 욕심이 만들어낸 마을 사람들의 흥망에 관한 풍수담이다. 「어느 지관의 이야기」라고도 한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아주 먼 옛날 하...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가산리 가암마을에서 지관과 명당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어느 지관 이야기」는 하신 부락에 머물고 있는 지관과 부모님의 묏자리로 명당을 찾는 젊은이의 욕심이 만들어낸 마을 사람들의 흥망에 관한 풍수담이다. 「어느 지관의 이야기」라고도 한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아주 먼 옛날 하...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불리던 신민요의 하나. 「어랑 타령」은 “어랑 어랑 어허랑 어하라난다 디허라 내 사랑아”를 후렴으로 끝맺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사설 중에 “신고산이 우루루 화물차 가는 소리에/ 고무공장 큰애기 반봇짐만 싸노라” 하는 사설이 있어 「신고산 타령」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원래는 함경도에서 불리던 민요이나 서울과 경기 지방에서도...
-
조선 후기 채지홍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어은초당을 배경으로 하여 지은 칠언율시의 한시. 어은초당(漁隱草堂)은 채지홍(蔡之洪)[1683~1741]이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어은동에 세운 초당으로, 어은팔경시(漁隱八景詩)의 하나인 「어은초당(漁隱草堂)」에서 작자는 자신과 강태공을 일치시켜 어은동에서 때를 기다리며 낚싯대를 드리운 심정을 말하며 은자가 살기에 적절한...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합목리에서 여우와 새색시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합목리 주민 강용모[남, 36]가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83년 충청북도에서 출간한 『민담민요지』에 수록하였다. 옛날 어느 집에 한 외동아들이 있었는데, 이웃 동네 처녀와 혼례를 치렀다. 신부 집에서 초례를 올리고 첫날밤을 지낸 뒤 두 사람은 신랑 집으로...
-
조선 전기 이승소가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 있던 연정의 풍경을 읊은 한시. 이승소(李承召)[1442~1484]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양성(陽城)이고, 자는 윤보(胤保), 호는 삼탄(三灘)이다. 1447년(세종 29) 식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뒤 집현전부수찬에 임명되었다. 이후 여러 벼슬을 거쳐 1467년 충청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이조판서와 형조판서...
-
조선 후기 이인덕이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갈월리에 있는 엽돈치에 올라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이었던 홍계남의 위업을 읊은 칠언율시의 한시. 협돈령[脇呑嶺] 또는 엽돈고개, 엽둔재라고도 하는 엽돈치는 백곡면 갈월리와 충청남도 천안시 경계에 있는 고개로 매우 험준한 곳이다. 임진왜란 당시 안성 출신 홍계남(洪季男)이 의병 수천 명을 모아 접전하여 승전한 곳으로 전해진다. 간송...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에서 엽전고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엽전고개는 충청북도 진천군, 충청남도 천안시, 경기도 안성시의 경계 지역으로서 옛날부터 각 지역의 장을 오가는 사람들의 발걸음이 많았던 곳이다. 「엽전고개 전설」은 백곡면 엽전 고갯마루에서 주막을 하던 노랑이 박서방이 죽고 그 재산의 행방이 묘연했던 차에 나그네들이 묵어가면 죽음을 당한다는...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에서 엽전고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엽전고개는 충청북도 진천군, 충청남도 천안시, 경기도 안성시의 경계 지역으로서 옛날부터 각 지역의 장을 오가는 사람들의 발걸음이 많았던 곳이다. 「엽전고개 전설」은 백곡면 엽전 고갯마루에서 주막을 하던 노랑이 박서방이 죽고 그 재산의 행방이 묘연했던 차에 나그네들이 묵어가면 죽음을 당한다는...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 영수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괘불탱화. 「진천영수사영산회괘불탱」은 석가모니불이 영취산(靈鷲山)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로 1977년 12월 7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4호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3월 12일 보물 제1551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진천영수사영산회괘불탱」은 17세기 영산회상도의...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 영수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괘불탱화. 「진천영수사영산회괘불탱」은 석가모니불이 영취산(靈鷲山)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로 1977년 12월 7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4호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3월 12일 보물 제1551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진천영수사영산회괘불탱」은 17세기 영산회상도의...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송림리에서 오성대감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송림리 주민 이준길(남, 83)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97년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출간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하였다. 오성대감 집에 감나무가 하나 있었다. 그런데 옆집에 사는 김서방의 아들이 자꾸 오성대감 집 감을 따 먹었다. 그래서 오...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송림리에서 오성대감과 대장장이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송림리 주민 이준길(남, 83)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97년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출간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하였다. 오성대감의 집 앞에는 대장간이 하나 있었다. 대장장이는 하루 종일 대장간에서 대장일을 했는데, 오성대감은 대...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회안리에서 상여를 메고 가며 부르는 의식요. 「상여 소리」는 상례(喪禮)할 때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혹은 상두꾼으로 불리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상여 소리」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지역에 따라 「만가(輓歌)」·「향도가」·「회심곡」·「향두가」·「행상 소리」·「옥설개」·「설소리」 등으로도 불리고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계산리에서 옷 잘 입은 사람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계산리 주민 최원서[남, 74]가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75년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출간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하였다. 어떤 부자가 있었는데, 그 집에는 손님이 끊이지 않았다. 원래는 외당에서 말하는 소리가 내당에 들리면 안 되지만, 워낙...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사석리에서 왕신주단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사석1구 주민 유일현(남, 80)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97년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출간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하였다. 옛날에 한 여인이 시집을 갔다. 그런데 시댁에 들어서자, 시아버지와 시어머니는 제쳐두고 일단 왕신주단지에 먼저 절을 하라는 것...
-
조선 후기 한원진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 통산마을에 있는 연못을 노래한 칠언절구의 한시. 한원진(韓元震)[1682~1751]의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덕소(德昭), 호는 남당(南塘)이다. 송시열(宋時烈)과 권상하(權尙夏)의 학통을 이어 정통 주자학의 입장을 충실히 계승·발전시켰으며, 권상하 문하의 강문8학사(江門八學士) 중 한 사람으로 호락논쟁(湖洛論爭)...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은탄리에서 소두머리(우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우담(牛潭)에는 모래사장과 산세 등 여러 지형들이 아우러져 있는데, 「우담 전설」은 그 중 태봉산에 왕의 태를 묻었다는 이야기와 민비가 마을 주민들을 동원하여 산을 만들었다는 이야기로,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소두머니 전설」이라고도 한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
조선시대 김진환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은탄리 우담에 달이 비칠 때의 정경을 읊은 칠언율시의 한시. ‘우담’은 진천군 문백면 은탄리에 있는 큰 호수이고, ‘제월’은 비가 개인 후의 달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우담제월」은 진천군에서 펴낸 『내 고장 전통 가꾸기』 ‘제영’ 편에 수록되어 있다. 달은 우담에 있는 나무 그늘에 걸렸는데[牛潭月掛樹陰繁] 아름다운 경계는 비 개인 마을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에서 매달의 절후나 행사를 가사체 형식으로 읊은 노래. 「월령가」는 경기잡가의 하나로 지역에 따라 「월령체가(月令體歌)」·「달거리」·「달거리요」라고도 한다. 1년 12달의 차례에 따라 다달이 펼쳐지는 세시풍속이나 절기의 변화에 의한 화자의 심정을 담아 부른다. 원래는 부녀자들에 의해 구비전승되던 민요였으나, 근대에 와서 전문 가객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에서 매달의 절후나 행사를 가사체 형식으로 읊은 노래. 「월령가」는 경기잡가의 하나로 지역에 따라 「월령체가(月令體歌)」·「달거리」·「달거리요」라고도 한다. 1년 12달의 차례에 따라 다달이 펼쳐지는 세시풍속이나 절기의 변화에 의한 화자의 심정을 담아 부른다. 원래는 부녀자들에 의해 구비전승되던 민요였으나, 근대에 와서 전문 가객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에서 봄날의 산천경개(山川景槪)를 읊은 노래. 「유산가(遊山歌)」는 진천 지역에서 불리던 12잡가의 하나이다. 잡가는 조선 후기에 전문 가객들이 구비전승되는 민요나 가사 중에서 선택하여 부르기 좋게 가다듬은 것으로, 세련된 어구와 고사성어가 많이 들어 있다. 원래는 「유산가」·「적벽가(赤壁歌)」·「연자가」[또는 「제비가」]·「소춘향...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의 대막거리에서 묏자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음택 설화」는 이월면의 대막거리에 사는 강병준(남, 74)에게서 채록한 것으로, 본인이 직접 겪은 이야기라고 하였다. 1997년 편찬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하루는 밤늦게까지 밖에서 놀다가 들어와서 잠을 자려고 누웠는데 방고래가 자꾸 콩콩콩 울렸다. 이상해서 고개를 들...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에서 이시발과 두사충 사이의 시은과 보은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시발과 두사충의 교분」은 임진왜란 당시 원병으로 온 명나라 장군 이여송(李如松)의 장수 두사충(杜師忠)이 왜군과의 싸움에서 참패를 당해 처형될 위기에 처했을 때 구해준 벽오(碧梧) 이시발(李時發)[1569~1626]의 시은담(施恩談)이자, 이에 보답하고자 천혜의...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은탄리에서 이심이 소(沼)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심이 소 전설」은 은탄리 갈탄마을의 깊은 못에 살고 있던 뱀이 부정을 타서 용으로 승천하지 못하자 부근의 소와 처녀를 잡아먹었다는 이야기이다. 이는 이무기의 승천실패담이자, 횡포담이기도 하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옥수같이 맑...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은탄리에서 이심이 소(沼)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심이 소 전설」은 은탄리 갈탄마을의 깊은 못에 살고 있던 뱀이 부정을 타서 용으로 승천하지 못하자 부근의 소와 처녀를 잡아먹었다는 이야기이다. 이는 이무기의 승천실패담이자, 횡포담이기도 하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옥수같이 맑...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에서 이퇴계 탄생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경로당에서 들은 것을 채록하여 1997년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출간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하였다. 옛날에 서울 사는 정씨라는 정승이 있었다. 옛날에는 정승이면 큰 벼슬이었다. 정씨는 명사(名師)를 데리고 어디 감나무 있는 데에 가서 자리를 본 즉, 아주 좋...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양백리 이티(배티)마을에서 이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티 전설」은 이인좌(李麟佐)[? ~1728]가 당파 싸움에 불만을 가지고 반역을 꾀하였지만 이티에서 팔십 노인인 이순곤(李順坤)[1652~1729]에게 패하고 결국 관군에게 진압되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또한 최양업(崔良業)[1821~1861] 신부가 이곳에서 교우들과...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멀리 떠난 남편을 그리워하는 여성요. 「임 그리는 노래」는 진천군 초평면과 광혜원면에서 전승되는 소리로서 멀리 떠나서 소식이 없는 남편을 그리워하는 여성들의 가창유희요이다. 대부분 여성들이 혼자서 음영(吟詠)하며, 일반적으로 3분박 4박자의 리듬을 보이고 있다.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 수문마을의 주민 최권식[남, 60]...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서 임금보다 팔자 좋은 사람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주민 신윤식[남, 62]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83년 충청북도에서 출간한 『민담민요지』에 수록하였다. 옛날에 한 시골에 팔자가 좋은 노인이 살고 있었다. 아들딸 잘 키워 시집, 장가보내고 재산도 넉넉하고 아픈 데도 없어 오복을 타고난...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합목리에서 잊기 잘하는 선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합목리 주민 강용모[남, 36]가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83년 충청북도에서 출간한 『민담민요지』에 수록하였다. 옛날 어느 고을에 글공부만 하는 선비가 살고 있었다. 그런데 선비는 글을 읽어도 금방 잊어버리고 무슨 이야기를 들어도 뒤돌아서면 잊어버릴...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에서 조자룡(趙子龍)을 흠모하며 부르던 노래. 「자룡가(子龍歌)」는 초평면 금곡리에서 소설 『삼국지(三國志)』의 등장인물인 조자룡과 관련하여 전승되어 불리는 토속민요이다. 우리나라 토속신앙 중에는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 나오는 관운장(關雲長)와 조자룡을 신으로 모시는 풍습이 있다. 「자룡가」는 조자룡이 유비의 아들...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계산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자 이야기. 「금덩이 얻은 효자 이야기」는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문백면 계산리에 사는 최원서(남, 74)에게서 채록한 것으로, 1997년 편찬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외딴집에 어머니 한 분을 모시고 사는 아들이 있었다. 살림은 넉넉지 않았으나 아들은 매일 밥과 과일을 빠뜨리지 않고 어머니께...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와 백곡면 갈월리에서 아이를 재우면서 부르던 노래. 진천 지역에서 아이를 재울 때 부르던 육아노동요의 하나로, 지역에 따라 「자장가」, 「자장 노래」, 「아기 재우는 노래」 등으로 불린다. 대체로 아이의 어머니, 할머니가 아이를 재우면서 부르나 때로는 할아버지가 부르기도 한다. 「아이 재우는 소리」는 노래 구연의 목적이 동일하기 때문에 사설...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와 백곡면 갈월리에서 아이를 재우면서 부르던 노래. 진천 지역에서 아이를 재울 때 부르던 육아노동요의 하나로, 지역에 따라 「자장가」, 「자장 노래」, 「아기 재우는 노래」 등으로 불린다. 대체로 아이의 어머니, 할머니가 아이를 재우면서 부르나 때로는 할아버지가 부르기도 한다. 「아이 재우는 소리」는 노래 구연의 목적이 동일하기 때문에 사설...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구산리에서 어린아이들이 잠자리를 잡으면서 부르던 노래. 「잠자리 노래」는 덕산면 구산리에서 어린이들이 잠자리를 잡을 때 부르던 동요이다. 사설의 첫머리인 ‘나마리동동 싸리[파리]동동’에서 ‘나마리’를 차용하여 「나마리 노래」라고도 한다. 예전의 어린이들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여러 동물들을 놀이의 대상으로 삼았다. 낮게 날아다니면서 주위...
-
조선시대 김기경이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행정리에 있는 잣고개에 올라 주변 풍경과 옛 성곽을 보며 읊은 칠언율시의 한시. 잣고개는 봉화산(烽火山)과 문안산(文安山)의 중간을 통하는 고개이다. 작자인 김기경(金起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머리는 청색을 찌르고 발로는 구름을 밟으며 올라가 보니[頭觸靑天足躡雲] 막막한 이 고장 경계가 나뉘었구나[塵寰漠漠界相分] 우중에...
-
조선 후기 이인덕이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 있는 장군봉을 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한 김유신의 기개에 빗대어 읊은 칠언율시의 한시. 범이 으르렁대듯 용이 서리듯 벽공에 솟았는데[虎踞龍盤竦碧空] 장군님의 위풍을 어느 누가 당하리[將軍威武孰能同] 삼국을 통일하신 그 위업 천추에 빛나고[三韓彌久聲名壯] 오악에 울려 퍼지는 높은 기세 웅장도 하구나[五嶽爲高氣勢雄] 만노에 뻗친 커다...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산척리에서 장자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장자골 새터마을 이야기」는 진천군 진천읍 산척리 신대마을 뒤에 있는 장자골에 얽힌 풍수설화이다. 처음 부분은 원주변씨(原州邊氏)가 장자골에 정착하여 집성촌을 이루었고, 명당 터에 선대 묘를 모셔 그 후에 발복(發福)하였다는 명당획득담이다. 중간 부분은 선대 묘를 옮긴 뒤 원주변씨 후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각설이들이 남의 집 대문 앞이나 장터에서 구걸할 때 부르던 타령조 노래. 「각설이 타령」은 진천 지역에서 전승되는 유희요로 「품바 타령」 혹은 「장타령」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걸인[각설이]들이 집집마다 밥을 얻으러 다니면서 부르거나 장터에서 호객을 하며 부르던 노래였으나, 걸인이나 걸립패가 사라지면서 유희요로 변하였다. 「품바...
-
조선 후기 한원진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 백사장 암벽 위에 있는 정자에서 주변의 아름다운 풍경을 읊은 칠언절구의 한시. 한원진(韓元震)[1682~1751]의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덕소(德昭), 호는 남당(南塘)이다. 송시열(宋時烈)과 권상하(權尙夏)의 학통을 이어 정통 주자학의 입장을 충실히 계승·발전시켰으며, 권상하 문하의 강문8학사(江門八學士) 중...
-
조선 후기 채지홍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어은동에 있는 송강 정철의 무덤 앞에서 읊은 칠언율시의 한시. 채지홍(蔡之洪)[1683~1741]이 송강 정철(鄭澈)[1535~1593]의 무덤 앞에서 지은 「전산송추(前山松楸)」는 어은동의 경치를 읊은 어은팔경시(魚隱八景詩)의 하나이다. 송강 정철 선생의 외로운 무덤 높기도 한데[相國孤憤四尺崇] 황량한 언덕의...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기리에서 전씨 부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전씨 부인의 효심」은 한 겨울에도 오이와 참새고기를 구하여 병든 시아버지를 구하려고 온갖 정성을 다한 전씨 부인의 효도로 인하여 효부문이 세워지고 그녀의 남편이 벼슬까지 받았다는 효행담이다. 「하늘도 감동한 전씨 부인의 효심」이라고도 한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
조선 후기 송시열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로 송강 정철의 묘를 이장한 후에 지은 오언율시의 한시.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송시열(宋時烈)[1607~1689]의 본관은 은진이고 아명은 성뢰(聖賚), 자는 영보(英甫), 호는 우암(尤庵)·우재(尤齋)·화양동주(華陽洞主)이다. 17세기 중엽 이후 붕당정치가 절정에 이르렀을 때 서인 노론의 영수이자 사상적 지주로서 활동하였다....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에서 제비 명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제비 명당 이야기」는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 소흘산에 있는 제비 명당에 석물을 해 놓으면 제비가 날아가지 못해 그 앞에 있는 구렁이 명당의 구렁이에게 제비가 잡아먹히게 되므로, 제비 명당자리에 묘를 쓴 집안이 화를 입게 된다는 지명설화이자 풍수설화이다. 1992년 진천문화원에서 간행...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에서 제비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제비산 전설」은 천지개벽 때에 구곡리의 앞산이 제비꼬리 만큼만 남아 있어서 제비산이라고 이름을 붙였고, 이 산이 홍수를 막아 주어 ‘지어미산’·‘지미산’ 등으로도 불린다는 지명유래담이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충청북도 진천군...
-
조선 후기 유수응(柳秀應)이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뱃머리의 넓은 들을 노래한 칠언절구의 한시. 예부터 산수가 수려한 곳에는 ‘팔경’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주두광야(舟頭曠野)」 역시 진천 지역의 아름다운 풍광을 그린 벽오팔경(碧梧八景)의 하나이다. 현재 벽오팔경(碧梧八景)은 4편만 전해지는데, 제1경은 「상산모운(常山暮雲)」, 제2경은 「관촌석연(管村夕烟)」, 제3경은...
-
조선 후기 한원진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에서 주변의 아름다운 종소리를 노래한 한시. 한원진(韓元震)[1682~1751]의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덕소(德昭), 호는 남당(南塘)이다. 송시열(宋時烈)과 권상하(權尙夏)의 학통을 이어 정통 주자학의 입장을 충실히 계승·발전시켰으며, 권상하 문하의 강문8학사(江門八學士) 중 한 사람으로 호락논쟁(湖洛論爭)에서...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던 노래. 「집터 다지는 소리」는 집을 짓기 위한 땅을 잘 다지기 위해 부르는 토목노동요로서, 여러 사람이 무거운 돌덩이나 통나무를 줄에 묶어 함께 들어 올렸다 내려뜨리면서 부른다. 그러므로 「집터 다지는 소리」는 여러 사람이 함께 힘을 모아 동작을 통일하기 위한 신호의 기능을 가진다. 지역에 따라 「땅 다...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와 덕산면 구산리에서 땅을 다질 때 부르던 노래. 「디딤이」는 집터를 다질 때나 말 박기를 할 때 부르는 토목노동요의 하나이다. 지역에 따라 「집터 다지는 노래」, 「땅 다지기」로도 불린다. 진천읍 문봉리에 사는 김재희[남, 85세]와 덕산면 구산리에 사는 주광식 외 2명이 부른 노래가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던 노래. 「집터 다지는 소리」는 집을 짓기 위한 땅을 잘 다지기 위해 부르는 토목노동요로서, 여러 사람이 무거운 돌덩이나 통나무를 줄에 묶어 함께 들어 올렸다 내려뜨리면서 부른다. 그러므로 「집터 다지는 소리」는 여러 사람이 함께 힘을 모아 동작을 통일하기 위한 신호의 기능을 가진다. 지역에 따라 「땅 다...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에서 제비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제비산 전설」은 천지개벽 때에 구곡리의 앞산이 제비꼬리 만큼만 남아 있어서 제비산이라고 이름을 붙였고, 이 산이 홍수를 막아 주어 ‘지어미산’·‘지미산’ 등으로도 불린다는 지명유래담이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충청북도 진천군...
-
조선 후기 박제형이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에 있던 지산서원과 최석정을 칭송하고 예찬하는 칠언절구의 한시. 지산서원(芝山書院)은 1722년(경종 2) 초평면 금곡리에 있는 현재의 초평초등학교 부지에 진사 이시진이 건의하여 건립한 곳으로, 이듬해 사액되었다. 여느 서원과 달리 명곡(明谷) 최석정(崔錫鼎) 한 사람의 위패만을 모신 서원이다. 판교(板橋) 박제형(朴齊珩)...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에서 제비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제비산 전설」은 천지개벽 때에 구곡리의 앞산이 제비꼬리 만큼만 남아 있어서 제비산이라고 이름을 붙였고, 이 산이 홍수를 막아 주어 ‘지어미산’·‘지미산’ 등으로도 불린다는 지명유래담이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충청북도 진천군...
-
충청북도 진천군의 이야기를 담은 군민의 노래. 「진천군민의 노래」는 진천의 대표적인 자연경관인 만뢰산(萬賴山), 미호천(美湖川) 등의 정기를 이어 받아 역사와 전통을 지켜 자랑스러운 군민이 되자는 가요이다. 2절로 되어 있는 「진천군민의 노래」에는 진천의 역사의 소용돌이에 따라 자연지리와 다양한 인문지리 요인이 적절하게 조화되어 있다. 과거에는 「진천군민의 노...
-
충청북도 진천 지역의 아름다운 자연 속에 살고 있는 아가씨에 관해 부른 대중가요. 「진천아가씨」는 경관이 수려하고 인심이 좋아 살기 좋은 진천 지역에 살고 있는 아가씨를 떠올리게 하는 노래이다. 「진천아가씨」를 부른 가수 조미미는 1964년에 「떠나온 목포항」이라는 노래로 데뷔하여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1978년 5월 16일 비정규 LP앨범으로 발매되었으며,...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 영수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괘불탱화. 「진천영수사영산회괘불탱」은 석가모니불이 영취산(靈鷲山)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로 1977년 12월 7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4호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3월 12일 보물 제1551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진천영수사영산회괘불탱」은 17세기 영산회상도의...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과 문백면에서 뱃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뱃노래」는 어업노동요로 분류되는데, 충청북도 내륙 지방인 진천군에서 「뱃노래」가 전승되는 점이 주목된다. 「뱃노래」는 일반적으로 바닷가 마을에서 성행하지만 내륙 지방에서도 큰 강이나 저수지에 접해 있는 지역에서도 채집되고 있다. 해안 지역에서 채집되는 「뱃노래」는 배를 닦으면서, 혹은 그물을...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던 노래. 「집터 다지는 소리」는 집을 짓기 위한 땅을 잘 다지기 위해 부르는 토목노동요로서, 여러 사람이 무거운 돌덩이나 통나무를 줄에 묶어 함께 들어 올렸다 내려뜨리면서 부른다. 그러므로 「집터 다지는 소리」는 여러 사람이 함께 힘을 모아 동작을 통일하기 위한 신호의 기능을 가진다. 지역에 따라 「땅 다...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던 노래. 「집터 다지는 소리」는 집을 짓기 위한 땅을 잘 다지기 위해 부르는 토목노동요로서, 여러 사람이 무거운 돌덩이나 통나무를 줄에 묶어 함께 들어 올렸다 내려뜨리면서 부른다. 그러므로 「집터 다지는 소리」는 여러 사람이 함께 힘을 모아 동작을 통일하기 위한 신호의 기능을 가진다. 지역에 따라 「땅 다...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와 덕산면 구산리에서 땅을 다질 때 부르던 노래. 「디딤이」는 집터를 다질 때나 말 박기를 할 때 부르는 토목노동요의 하나이다. 지역에 따라 「집터 다지는 노래」, 「땅 다지기」로도 불린다. 진천읍 문봉리에 사는 김재희[남, 85세]와 덕산면 구산리에 사는 주광식 외 2명이 부른 노래가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던 노래. 「집터 다지는 소리」는 집을 짓기 위한 땅을 잘 다지기 위해 부르는 토목노동요로서, 여러 사람이 무거운 돌덩이나 통나무를 줄에 묶어 함께 들어 올렸다 내려뜨리면서 부른다. 그러므로 「집터 다지는 소리」는 여러 사람이 함께 힘을 모아 동작을 통일하기 위한 신호의 기능을 가진다. 지역에 따라 「땅 다...
-
조선 후기 정기회가 충청북도 진천에 있는 창랑정에 올라 세상의 혼탁함에 대하여 읊은 칠언율시의 한시. 「창랑정(滄浪亭)」은 조선 후기에 활동했던 율산(栗山) 정기회(鄭基會)가 지은 한시이다. 창랑정에 올라 매화와 소나무 등 사군자와 물을 예로 들고, 혼탁한 세상에 지조와 절개를 지키며 살았던 옛 지인(知人)의 삶의 태도를 그리워하고 있다. 시정 깊어지니 이 마음 너그러워...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잔치나 연회에서 흥겹게 놀면서 부르던 노래. 「창부 타령(倡夫打令)」은 진천 지역에서 전승되어 온 경기민요의 하나로, 원래는 굿에서 무당들이 부르던 노래가 민요화한 것이다. 굿의 열두거리 중에 ‘창부거리’가 있는데, 이때 창부(倡夫)는 남자 광대나 무당의 남편 혹은 무당이 위하는 광대의 혼령으로서 이 창부를 위하여 「창부 타령...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회안리에서 도깨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는 도깨비 이야기에는 도깨비불의 출현, 도깨비의 장난, 도깨비의 예언, 도깨비의 도움, 도깨비의 보물, 도깨비와의 씨름 등 여러 유형이 있는데, 「채씨네 도깨비 이야기」는 이 중 도깨비장난에 관한 신이담이다. 충청북도 진천군 만승면[현 광혜원면] 회안리 주민...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와 문백면 장월리에서 남녀 간의 사랑을 노래한 잡가의 하나. 후렴구에 ‘사랑아’란 말이 있어 「사랑가」로 불린다. 민요나 잡가에는 남녀의 사랑을 그린 노래가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황해도의 「난봉가」, 함경도의 「어랑 타령」, 전라도의 「등가 타령」, 경기도의 「한강수 타령」 등이 대표적이다. 지역에 따라 「사랑요」, 「님 생각」, 「처녀 총...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의 대막거리에서 청상과부 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청상과부 딸 이야기」는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에서 이월면의 대막거리에 사는 강병준(남, 74)에게서 채록한 것으로, 1997년 편찬한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어느 대감집 딸이 청상과부가 되어 친정으로 돌아왔다. 친정아버지인 대감이 말하기를, “너는 책 읽기를 좋아...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청춘의 사랑과 아픔을 주제로 하여 부르던 노래. 「청춘가(靑春歌)」는 경기민요의 하나로, 주로 노인들이 지나간 세월을 뒤돌아보며, 인생의 덧없음과 지나간 청춘을 탄식하며 부르는 노래이다. 곡조는 단조로우면서도 씩씩하고 멋스러우며, 비애조가 섞여 있다. 진천읍 읍내리에 사는 이철우[남, 76세]가 부른 노래가 『진천의...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나무꾼이 땔감으로 쓸 나무를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나무하러 가면서 부른 노래」는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나무꾼들이 땔감을 구하기 위해 산으로 가거나 풀을 베면서 부르는 임산노동요이다. 진천 지역에서 들을 수 있는 「나무하러 가면서 부른 노래」는 「초부가(樵夫歌)」라고도 한다. 협의로는 나무꾼들이 땔나무를 하며 부르는 소리를 뜻하고...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후렴에 ‘아리랑 아리랑’을 부르는 아리랑류의 민요. 「초평아리랑」은 광혜원면 실원리, 백곡면 구수리, 덕산면 구산리·석장리 등의 일원에서 채집되고 있는 토속민요이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라는 후렴구를 노래하면서 장절을 나누고 있다. 리듬 박자는 3분박 4박자로 되어 있다. 이종수와 이재복의 노래는 사설...
-
박제형이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화산리 초평저수지의 아름다운 풍광을 읊은 한시. 「초평잡제」는 판교(板橋) 박제형(朴齊珩)이 지은 한시로 화산리의 초평저수지와 그 주변 일대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노래한 시이다. 모두 6수가 전해 내려온다. 칠언절구와 칠언율시, 오언절구 등의 한시로 되어 있다. 1. 칠언절구1 화랑호수를 어찌 산에 비유하리오/ 파아란 물 담담한...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계리에서 최씨 형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최씨 형제 이야기」는 가산리 개미저리[현재의 신계리 하신] 마을에 살던 최씨 집안의 형이 공부에 열중하여 과거를 보러 서울로 가던 도중 호랑이에게 잡혀 먹힐 것을 팔다리 한 짝이 없는 외쪽이동생의 지혜로 탈출하였다는 우애담이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진천군지』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동제나 고사를 지내면서 부르던 노래. 지역에 따라 「고사반(告祀盤)」 또는 「비나리」라고도 하는 「고사 소리」는 정월 초에서 대보름 사이 마을 제사를 지낼 때 지신밟기를 하거나 시월상달에 고사를 지내면서 부르는 세시의식요이다. 진천읍 읍내리에 사는 이철우[남, 76세]가 부른 노래가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1행 4음...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동제나 고사를 지내면서 부르던 노래. 지역에 따라 「고사반(告祀盤)」 또는 「비나리」라고도 하는 「고사 소리」는 정월 초에서 대보름 사이 마을 제사를 지낼 때 지신밟기를 하거나 시월상달에 고사를 지내면서 부르는 세시의식요이다. 진천읍 읍내리에 사는 이철우[남, 76세]가 부른 노래가 『진천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1행 4음...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옥성리에서 개덕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비 개덕 이야기」는 문화유씨(文化柳氏) 집안의 유복자가 된 유의직(柳義直)을 정성을 다해 키워 유씨 문중이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했다는 노비 개덕(介德)에 대한 인물설화이다. 이에 유씨 후손들은 개덕의 묘를 유씨 선산에 모시고 지금까지 시사를 지내고 있다. 진천 고을의 유림들은 개덕...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에서 탈곡한 곡식을 키질하면서 부르던 노래. 「키질하는 소리」는 탈곡한 곡식에서 티끌이나 검불 등을 골라내기 위해 키질을 하면서 부르던 노동요이다. 농사의 거의 마무리인 수확의 단계에서 불리며, 지역에 따라 「키질 소리」, 「나비질 소리」, 「검불 날리는 소리」라고도 부른다. 진천읍 문봉리에 사는 김재희[남, 85세]가...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봉리에서 탈곡한 곡식을 키질하면서 부르던 노래. 「키질하는 소리」는 탈곡한 곡식에서 티끌이나 검불 등을 골라내기 위해 키질을 하면서 부르던 노동요이다. 농사의 거의 마무리인 수확의 단계에서 불리며, 지역에 따라 「키질 소리」, 「나비질 소리」, 「검불 날리는 소리」라고도 부른다. 진천읍 문봉리에 사는 김재희[남, 85세]가...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 계양마을에서 태령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태령산 설화」는 김유신(金庾信)[595~673] 장군의 태를 묻을 때 하늘에서 신인이 내려와 김유신 장군의 태를 가지고 갔다 하여 태실이 있던 산을 태령산(胎靈山)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김서현(金舒玄) 태수는 태를 묻은 주위에 성을 쌓게 하였는데, 지금도 태를...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여인이 자신의 운명을 탄식하며 부르는 민요. 「팔자요」는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전승되는 노래로 어려서부터 늙을 때까지 여인의 풍모와 심정을 형상화한 여자탄식요이다. 이를 「신세한탄 노래」·「세월한탄 노래」라고도 일컫는다. 혼자 부르는 경우가 많으며, 음영(吟詠)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사설은 3·4조 내지 4·4조로 되어 있다....
-
조선 후기 채지홍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에 있는 백사장의 빼어난 경관을 읊은 칠언율시의 한시. 봉암(鳳巖) 채지홍(蔡之洪)[1683~1741]은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봉암마을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부터 재능과 지혜가 출중하여 8세에 이미 한시를 지어 세인들을 놀라게 할 정도로 성리학적 소양이 높았다. 한때 충청도사 등의 관직을 지냈으나, 당시의 당파 싸움에 혐오...
-
조선시대 남동희와 김진환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 백사장의 절경을 읊은 한시. 「평사락안(平沙落鴈)」은 평산리에 있는 백사장의 ‘평평한 모래와 떨어져 흩어지는 기러기’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흰 모래가 십리에 걸쳐 펼쳐지고 기암괴석이 많으며 기러기 떼가 날아와 앉는 절경을 운치 있게 그려낸 작품으로, 『내 고장 전통 가꾸기』 ‘제영’ 편에 수록되어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에서 품목골 샘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강당부락에 품목골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그 마을의 외딴 집에 샘이 하나 있었다. 이 우물은 물맛이 좋기로 유명한 샘이었다. 고을에서는 담배 농사가 한창이었는데, 이른 봄에 담배가 얼어 죽지 말라고...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에서 품목골 샘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강당부락에 품목골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그 마을의 외딴 집에 샘이 하나 있었다. 이 우물은 물맛이 좋기로 유명한 샘이었다. 고을에서는 담배 농사가 한창이었는데, 이른 봄에 담배가 얼어 죽지 말라고...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각설이들이 남의 집 대문 앞이나 장터에서 구걸할 때 부르던 타령조 노래. 「각설이 타령」은 진천 지역에서 전승되는 유희요로 「품바 타령」 혹은 「장타령」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걸인[각설이]들이 집집마다 밥을 얻으러 다니면서 부르거나 장터에서 호객을 하며 부르던 노래였으나, 걸인이나 걸립패가 사라지면서 유희요로 변하였다. 「품바...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에서 피서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문백면에 있는 피서대는 산의 용허리를 자르자 피와 살이 튀어 나왔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피서대 전설」은 베풀 줄 모르는 인심이 야박한 부자 마을 사람들이 탁발승에게 쇠똥을 주었기 때문에 재앙을 불러왔다는 지명유래담이다. 또한 용의 허리에 해당하는 산허리를 잘라서 마을이 망했다고 하는 풍수...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에서 피서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문백면에 있는 피서대는 산의 용허리를 자르자 피와 살이 튀어 나왔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피서대 전설」은 베풀 줄 모르는 인심이 야박한 부자 마을 사람들이 탁발승에게 쇠똥을 주었기 때문에 재앙을 불러왔다는 지명유래담이다. 또한 용의 허리에 해당하는 산허리를 잘라서 마을이 망했다고 하는 풍수...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 문백면 계산리,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모를 심으면서 부르던 노래. 「모심는 소리」는 여러 사람이 함께 하는 공동 작업에서 일의 보조를 맞추고 힘겨움을 덜기 위하여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모를 심는 작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기능적 측면과 모가 튼튼하게 뿌리내려 잘 자라기를 바라는 기원적 측면을 함께 지니고 있는...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기리에서 전씨 부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전씨 부인의 효심」은 한 겨울에도 오이와 참새고기를 구하여 병든 시아버지를 구하려고 온갖 정성을 다한 전씨 부인의 효도로 인하여 효부문이 세워지고 그녀의 남편이 벼슬까지 받았다는 효행담이다. 「하늘도 감동한 전씨 부인의 효심」이라고도 한다.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
조선 후기 채지홍이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에 있는 어은동의 풍광을 읊은 칠언율시의 한시. 「하정연당(下庭蓮塘)」은 채지홍(蔡之洪)[1683~1741]이 어은동의 경치를 노래한 어은팔경시(魚隱八景詩)의 하나이다. 거나하게 취해서 취향(醉鄕)에 들어가[身勢陶陶入醉鄕] 구름을 뚫고 달 속에 파서 못을 만들었네[穿雲鑿月作池塘] 물이 깊으니 고기 떼는 기쁘게 뛰놀고[水深魚...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성대리 학동마을에 살던 도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학동에 살다간 조종덕 이야기」는 가산을 탕진하여 곤궁한 생활을 하면서도 선행을 일삼던 조종덕에 대한 인물설화이다. 조종덕은 그의 고결한 인정에 감응한 호랑이의 비호를 받아 도인이라 불렸으며, 그가 살았던 학동마을은 조종덕의 인의에 감화되어 지금까지 어른을 공경하고 우애와 인...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서 한 일자도 모르는 천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 주민 이춘식[남, 66]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83년 충청북도에서 출간한 『민담민요지』에 수록하였다. 옛날 어느 시골에 다섯 살 먹은 어린아이가 있었는데, 머리가 좋아 『천자문』은 물론 『동몽선습(童蒙先習)』까지 줄줄이 외워 사람들이...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기생첩을 데려온 남편 때문에 죽음을 선택했다는 부녀요. 「한양낭군가」는 진천군 백곡면 갈월리에서 전해지고 있는 한양에 간 낭군이 첩을 데려와 속을 썩이자 결국 죽음을 택했다는 노래로, 내용이 짧으면서도 묘미가 있는 옛 여인의 서사민요이다. 「한양낭군가」는 경상남도 지역에서 불리는 「진주낭군가」와 사설의 내용이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시집살...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에서 명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신성한 우물 이야기. 「함샘 전설」은 송강(松江) 정철(鄭澈)[1536~1593]의 묘소가 있는 봉죽리 은골의 어느 명산에 있는 함을 닮은 우물에 관련된 금기담이다. 함샘 주위에서 살생을 하면 천벌을 면하지 못하며, 살생을 해서 금기를 어긴 ‘쌍지팡’이라는 남자무당은 벌을 받아 죽었다는 이야기이다...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에서 명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신성한 우물 이야기. 「함샘 전설」은 송강(松江) 정철(鄭澈)[1536~1593]의 묘소가 있는 봉죽리 은골의 어느 명산에 있는 함을 닮은 우물에 관련된 금기담이다. 함샘 주위에서 살생을 하면 천벌을 면하지 못하며, 살생을 해서 금기를 어긴 ‘쌍지팡’이라는 남자무당은 벌을 받아 죽었다는 이야기이다...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회안리에서 상여를 메고 가며 부르는 의식요. 「상여 소리」는 상례(喪禮)할 때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혹은 상두꾼으로 불리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상여 소리」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지역에 따라 「만가(輓歌)」·「향도가」·「회심곡」·「향두가」·「행상 소리」·「옥설개」·「설소리」 등으로도 불리고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회안리에서 상여를 메고 가며 부르는 의식요. 「상여 소리」는 상례(喪禮)할 때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혹은 상두꾼으로 불리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상여 소리」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지역에 따라 「만가(輓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