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성석리에 있는 봉사 단체. 진천군 나눔과 기쁨 푸드뱅크는 식품 제조 기업이나 개인에게서 기부 또는 기탁 받은 식품, 음식, 물품 등을 진천군에 살고 있는 소외 계층에게 지원하고자 설립되었다. 푸드뱅크는 1967년 미국에서 처음 시작되어 현재는 캐나다, 독일, 프랑스, 유럽연합, 오스트레일리아, 한국, 필리핀에서 운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
우리가 구산동마을의 역사와 재미있는 이야깃거리를 찾아다니는 것을 알고 마을 사람들이 한 목소리로 추천해 준 사람이 임필수 할아버지였다. 임필수 할아버지의 전용 자가용은 커다란 푸른색 트럭인데, 언제나 트럭을 몰고 다니며 마을의 대소사와 집안일을 처리하느라 바쁘시다는 정보도 마을 사람들한테 얻어 들었다. 임필수 할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농다리전시관 건너편 중리마을로 찾아갔다...
-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구산동마을은 상산임씨의 천년 세거지로, 마을 주민 대부분이 신라 말의 인물인 임희를 시조로 하고 있다. 우리가 처음에 구곡리 구산동마을에 관심을 갖게 된 것도 바로 이 점 때문이었다. 특정 성씨가 천 년이 넘는 시간 동안 거주하여 세거지를 이루고 있는 마을은 쉽게 찾아보기 힘들기 때문이다. 구산동마을 주민들도 천 년 세거지에 대한 남다른 자부심을...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1월 14일에 수수깡으로 보리나 콩 모양을 만들고 이를 타작하여 풍년을 기원하는 풍속. 보리타작은 진천군 백곡면 명암리에서 정월 14일 저녁에 잿간이나 두엄 더미 위에 수수깡의 흰 속으로 오곡과 지게·소·사람 등의 모양을 만들어 꽂아 두었다가 다음날 아침에 그것을 꺼내 타작하는 시늉을 하며 재를 털면서 한 해의 풍년을 기원하는 모의농경(模擬農...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여름철에 잠자리를 잡으며 즐기는 놀이. 잠자리잡기는 여름철에 어린이들이 맨손 또는 잠자리채를 이용하여 잠자리를 잡는 놀이이다. 이를 ‘나마리잡기’라고도 일컫는다. 초여름에는 개울가나 도랑가에 작은 잠자리가 모이는데 암놈은 노랑 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고, 수놈은 회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다. 암놈은 ‘쌀나마리’[잠자리의 사투리], 수놈은 ‘똥나마리...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 도끼로 과일나무를 세 번 찍고 나뭇가지 사이에 돌을 끼워 과일이 풍성하게 열리도록 기원하는 풍속. 과일나무 장가들이기는 정월 초하룻날이나 대보름날에 백곡면 명암리나 문백면 문덕리 미래마을 등에서 과일나무 가지 사이에 돌을 끼움으로써 과일이 많이 열리기를 기원하는 풍속이다. 이를 가수(嫁樹), 나무 시집보내기, 나무 장가보내기 등으...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명암리에서 정월 열 나흗날에 9라는 숫자를 매개로 하여 모든 행위를 아홉 번씩 하던 풍속. 아홉 번 행동하기는 음력 1월 14일에 ‘오곡밥 아홉 그릇 먹기’, ‘나무 아홉 짐 해오기’ 등 9라는 숫자에 관련된 모든 행위를 일컫는다. 이를 ‘나무 아홉 짐하고 밥 아홉 번 먹기’라고도 한다. 속담에 ‘정월 열 나흗날에는 나무 아홉 짐 하고 밥 아홉 그...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 도끼로 과일나무를 세 번 찍고 나뭇가지 사이에 돌을 끼워 과일이 풍성하게 열리도록 기원하는 풍속. 과일나무 장가들이기는 정월 초하룻날이나 대보름날에 백곡면 명암리나 문백면 문덕리 미래마을 등에서 과일나무 가지 사이에 돌을 끼움으로써 과일이 많이 열리기를 기원하는 풍속이다. 이를 가수(嫁樹), 나무 시집보내기, 나무 장가보내기 등으...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에 마을 당산나무의 잎이 피는 모양을 보고 농사의 길흉을 점치는 풍속. 당산나뭇잎 점치기는 백곡면 명암리에서 삼월 삼짇날에 마을 제사의 신체(神體)인 당산나무의 잎이 골고루 무성하게 잘 피었는지 아닌지, 어떤 방향으로 피는지, 한꺼번에 피는지 아닌지에 따라 한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풍속이다. 이는 지역에 따라 당산나무 잎으로 점치...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에 마을 당산나무의 잎이 피는 모양을 보고 농사의 길흉을 점치는 풍속. 당산나뭇잎 점치기는 백곡면 명암리에서 삼월 삼짇날에 마을 제사의 신체(神體)인 당산나무의 잎이 골고루 무성하게 잘 피었는지 아닌지, 어떤 방향으로 피는지, 한꺼번에 피는지 아닌지에 따라 한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풍속이다. 이는 지역에 따라 당산나무 잎으로 점치...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에 마을 당산나무의 잎이 피는 모양을 보고 농사의 길흉을 점치는 풍속. 당산나뭇잎 점치기는 백곡면 명암리에서 삼월 삼짇날에 마을 제사의 신체(神體)인 당산나무의 잎이 골고루 무성하게 잘 피었는지 아닌지, 어떤 방향으로 피는지, 한꺼번에 피는지 아닌지에 따라 한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풍속이다. 이는 지역에 따라 당산나무 잎으로 점치...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 나비의 색깔을 보고 그 해의 길흉을 점치는 풍속. 나비점치기는 백곡면 명암리와 덕산면 구산리 및 문백면 문덕리에서 삼월 삼짇날에 산이나 들에서 가장 먼저 본 나비의 색깔을 보고 그해 자신의 운수를 점치는 동물점(動物占)의 하나이다. 이는 지역에 따라 나비 보고 운수보기, 나비 보고 점치기, 나비 색깔로 점치기, 나비 점보기, 나비...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 나비의 색깔을 보고 그 해의 길흉을 점치는 풍속. 나비점치기는 백곡면 명암리와 덕산면 구산리 및 문백면 문덕리에서 삼월 삼짇날에 산이나 들에서 가장 먼저 본 나비의 색깔을 보고 그해 자신의 운수를 점치는 동물점(動物占)의 하나이다. 이는 지역에 따라 나비 보고 운수보기, 나비 보고 점치기, 나비 색깔로 점치기, 나비 점보기, 나비...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 나비의 색깔을 보고 그 해의 길흉을 점치는 풍속. 나비점치기는 백곡면 명암리와 덕산면 구산리 및 문백면 문덕리에서 삼월 삼짇날에 산이나 들에서 가장 먼저 본 나비의 색깔을 보고 그해 자신의 운수를 점치는 동물점(動物占)의 하나이다. 이는 지역에 따라 나비 보고 운수보기, 나비 보고 점치기, 나비 색깔로 점치기, 나비 점보기, 나비...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 나비의 색깔을 보고 그 해의 길흉을 점치는 풍속. 나비점치기는 백곡면 명암리와 덕산면 구산리 및 문백면 문덕리에서 삼월 삼짇날에 산이나 들에서 가장 먼저 본 나비의 색깔을 보고 그해 자신의 운수를 점치는 동물점(動物占)의 하나이다. 이는 지역에 따라 나비 보고 운수보기, 나비 보고 점치기, 나비 색깔로 점치기, 나비 점보기, 나비...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 나비의 색깔을 보고 그 해의 길흉을 점치는 풍속. 나비점치기는 백곡면 명암리와 덕산면 구산리 및 문백면 문덕리에서 삼월 삼짇날에 산이나 들에서 가장 먼저 본 나비의 색깔을 보고 그해 자신의 운수를 점치는 동물점(動物占)의 하나이다. 이는 지역에 따라 나비 보고 운수보기, 나비 보고 점치기, 나비 색깔로 점치기, 나비 점보기, 나비...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 나비의 색깔을 보고 그 해의 길흉을 점치는 풍속. 나비점치기는 백곡면 명암리와 덕산면 구산리 및 문백면 문덕리에서 삼월 삼짇날에 산이나 들에서 가장 먼저 본 나비의 색깔을 보고 그해 자신의 운수를 점치는 동물점(動物占)의 하나이다. 이는 지역에 따라 나비 보고 운수보기, 나비 보고 점치기, 나비 색깔로 점치기, 나비 점보기, 나비...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이월 초하루에 나이 수대로 숟가락으로 쌀을 떠서 송편을 빚어 그 나이만큼 먹는 풍속. 나이떡 해먹기는 백곡면 명암리와 문백면 문덕리에서 음력 2월 1일 아침에 나이 수만큼 숟가락으로 쌀이나 잡곡 등을 퍼서 떡을 빚어 먹는 풍속이다. 떡은 보통 송편을 빚으며 나이 수만큼 먹는다고 하여 나이송편이라 불렀으며, 장수와 복을 누리라는 의미에서 수복병(壽福...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이월 초하루에 나이 수대로 숟가락으로 쌀을 떠서 송편을 빚어 그 나이만큼 먹는 풍속. 나이떡 해먹기는 백곡면 명암리와 문백면 문덕리에서 음력 2월 1일 아침에 나이 수만큼 숟가락으로 쌀이나 잡곡 등을 퍼서 떡을 빚어 먹는 풍속이다. 떡은 보통 송편을 빚으며 나이 수만큼 먹는다고 하여 나이송편이라 불렀으며, 장수와 복을 누리라는 의미에서 수복병(壽福...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낙경(洛卿), 호는 악포(樂圃). 진사 안형(安泂)의 8세손이다. 안기중(安驥中)[1865~?]은 어려서부터 효심이 깊어 아침저녁으로 부모님에게 문안 인사를 드리는 일을 하루도 거르지 않았다. 부모님이 좋아하시는 음식은 떨어지지 않게 하였고, 성인이 되어서는 어버이의 뜻에 따라 행동하며 거스르는 법이 없었...
-
개항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낙규(洛圭), 호는 다전(茶田). 진사 안형(安泂)의 8세손이다. 안철중(安徹中)[1869~?]은 성품이 온순하고 과묵하나, 과감하였고 재주가 뛰어났다. 12세에 “새들이 저 먼 봉우리에서 지저귀니 산 그림자가 사리지고, 지나는 길손이 다리를 밟으니 물소리가 들리는구나[原峀鳥穿山影去 短橋客踏水聲來]”라는 시...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여흥(驪興). 호는 낙진당(樂真堂), 평사(平沙). 민태중(閔泰重)은 우암 송시열의 문하에서 공부하였으며, 1642년(인조 20)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다. 1682년(숙종 8) 참봉 벼슬을 내렸지만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언제나 몸가짐을 바르게 하고 도덕을 실천하며 학문을 연구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으며, 부모님 공양...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낙천(樂天), 호는 청허당(淸虛堂) 또는 청허자(淸虛子). 평장사(平章事) 이공승(李公升)의 6세손으로 문간공 이정(李挺)의 넷째 아들이다. 이거이(李居易)는 1348년(충목왕 4) 지금의 진천군 문백면 사양리에서 태어났다. 고려 말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갔으며, 관직이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 있는 장학 재단. 남강장학회는 사회 일반의 이익에 공여하는 공익 법인의 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교육 기회의 균등을 기하고 지역 사회 발전과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7년 3월 12일 당시 진천에서 광제한의원을 경영하던 이병용이 2억 원을 기본 재산으로 이사 5명, 감사 2명...
-
조선시대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열녀. 본관은 달성(達成). 남편은 의령남씨(宜寧南氏) 남병덕(南秉德)이다. 남병덕 처 달성서씨는 남편이 직업 때문에 수백 리 밖에 나가 있음에도 시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여 마을 사람들이 감탄하였다. 하루는 서씨가 일찍 일어나서 시어머니에게 말하기를 “어젯밤 꿈에 군자(君子)가 새 옷을 입고 문을 나서면서 나를 보고 말하기를 ‘내 지금...
-
홍은열을 시조로 하고, 홍건과 홍오봉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진천군 세거 성씨. 남양홍씨(南陽洪氏)는 대부분 당홍계로 홍은열(洪殷悅)을 시조로 한다. 당원위(唐原尉) 홍우경(洪友敬)의 묘소가 조성된 후 후손들이 이주하여 세거하고 있다. 홍씨는 당태종이 고구려에 파견한 여덟 명의 학사(學士) 중 한 사람인 홍천하(洪天河)의 후손이라고 전한다. 그러나...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수백(壽伯). 남연년(南延年)[1653~1728]은 1653년(숙종 2) 무과에 급제한 후 선전관(宣傳官)과 고부군수를 역임하였으며, 한때 당파 싸움에 휘말려 파직되기도 했다. 다시 벼슬길에 올라 훈련원판관(訓練院判官)과 황해도우후(黃海道虞候)로 있다가 이산군수·박천군수·안동부진영장(安東府鎭營將)을 역임하...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명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남연년의 신도비. 남연년[1653~1728]은 1676년(숙종 2)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박천군수 등을 역임하였는데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청주영장(淸州營將)으로 반란군과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이 일로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었으며, 1729년(영조 5)에 숭선군(崇善君)으로 추봉되고...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금암리와 덕산면 용몽리를 잇는 도로. 국도 21호선은 전라남도 남원시~경기도 이천시 간의 길이 360㎞의 국도이다. 충청북도의 총연장은 43.861㎞의 포장도로로서 2차선이 33.561㎞이고 4차선이 10.3㎞이며 노견포장 길이는 좌우 모두 42.999㎞이다. 충청북도의 국도 21호선의 노선길이는 진천군 관내는 20.315㎞로서 노견포장...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할아버지는 조선의 개국공신이자 영의정 충경공 남재(南在)이며, 아버지는 병조의랑을 지낸 남문경(南文景)이다. 아들로 황해도관찰사를 지낸 남윤(南倫), 손자로 남흔(南忻)과 남칭(南稱)을 두었다. 남지(南智)[1400~1452]는 17세인 1425년(세종 7) 음보로 사헌부감찰이 되었으며, 그 후 경상도관찰부 경...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생산되는 담배. 담배의 원산지는 아메리카 대륙으로 알려져 있으며, 멕시코의 마야족이 최초로 담배를 피웠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1605년 나가사키에서 처음으로 담배를 재배하였다고 하며, 우리나라에는 1616년(광해군 8) 일본에서 들어왔다. 당시 일본에서 들어온 담배를 남초(南草)·왜초(倭草)라 하였고, 중국 베이징이나 기독교인들이 들어온 담배를 서초(...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여름철 꼴을 베거나 나무를 하러 가서 즐기는 놀이. 낫치기는 여름철 산에 나무를 하러 가거나, 가축의 먹이인 풀을 베러 가서 지치거나 심심할 때 젊은이들이 낫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내기를 하며 즐기던 민속놀이이다. 이를 ‘꼴 따먹기’라고도 일컫는다. 풀을 한 아름씩 베어다 쌓아 놓고 일정한 거리에서 낫을 던져 낫의 날 끝이 땅에 꽂히면 이기는 것이고...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내촌리에 위치하고 있는 있는 교량. 진천군 이월면과 광혜원면을 잇는 군도 14호선[이월~광혜원]은 총연장 12.0㎞로서 2차선의 포장도 2.0㎞, 미포장도 10.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천군의 군도 교량은 26개소로서 총연장은 1.33㎞에 달하며, 이월면의 군도 교량은 5개소로서 총연장은 289m이다. 당골교는 원래 내촌...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에 속하는 법정리. ‘안말’이라는 마을이 당골 동쪽에 있었다. ‘안말’은 안쪽으로 들어와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한자화한 지명이 ‘내촌(內村)’이라고도 하는데 ‘안말’에 대한 한자 지명으로 추청된다. 내촌리는 본래 만승면의 지역으로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 정책에 따라 근어리·구암리·내당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내촌리라 하였다. 19...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내촌리에 있는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주거지 및 건물지. 진천~두교리 도로 공사 구간 내 내촌리 당골 유적은 국도 17호선 중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월리에서 광혜원면 실원리를 잇는 총연장 9.4㎞ 구간 중 시굴 조사 결과 유구가 확인된 5개소 유적을 말한다. 현재 내촌리 당골 1유적에 대한 발굴 조사만이 진행되었다. 발굴 조사...
-
충청북도 진천군 내촌리에 위치한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의 주거 및 분묘 유적지. 내촌리 유적(內村里 遺蹟)은 중앙문화재연구원에서 안성-음성 간 8공구 고속도로 공사 문화재 발굴조사의 일환으로 2005년 4월 11일부터 7월 9일까지 발굴조사에서 발견되었다. 조사 지역은 충청북도 음성군 미곡리, 진천군 미잠리·내촌리 지역이다. 발굴조사 결과 내촌리 유적에서는 조선...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은탄리·사양리에 걸쳐 있는 산. 양천산(凉泉山)은 ‘찬물이 솟는 샘이 있는 산’이어서 붙인 이름이다. 양천을 양천(良泉)으로 보아, 산 정상에 좋은 샘이 있어 붙인 이름이라고도 하고, 양을 양씨(梁氏)의 양으로 보아, 양씨 성을 가진 사람 1,000명이 피난한 곳이라 하여 붙인 이름이라고도 한다. 또한 양천(養千)으로 보아, 임진...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충청절도사를 지낸 조맹손(趙孟孫)의 후손이며, 손자로 조한욱(趙漢旭)을 두었다. 조재숙(趙載琡)은 철종 때 지금의 진천군 백곡면 갈월리에서 태어났다. 조선 후기 경사에 널리 통한 학자이자, 교육가였다. 늘 집안을 효(孝)와 우애로 다스리고 사람을 예로 대하였다. 또한 노계의숙(蘆溪義塾)을 세워 후진 양성에 힘...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이월 초하루에 나이 수대로 숟가락으로 쌀을 떠서 송편을 빚어 그 나이만큼 먹는 풍속. 나이떡 해먹기는 백곡면 명암리와 문백면 문덕리에서 음력 2월 1일 아침에 나이 수만큼 숟가락으로 쌀이나 잡곡 등을 퍼서 떡을 빚어 먹는 풍속이다. 떡은 보통 송편을 빚으며 나이 수만큼 먹는다고 하여 나이송편이라 불렀으며, 장수와 복을 누리라는 의미에서 수복병(壽福...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에 있는 다리. 노원교(老院橋)는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에 위치하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군도 교량으로서 연장 15m, 총 폭 11m, 유효 폭 8m, 교고 2.3m, 경간 수 1, 최대 경간장 15m, 상부구조 RA, 하부구조 ETC, 설계하중 DB-2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원교는 1996년 준공되었으며,...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노곡리(老谷里)의 ‘노(老)’자와 서원리(書院里)의 ‘원(院)’자를 따서 노원리(老院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진천군 이곡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노곡리·서원상리·서원하리·관동과 신흥리 일부를 병합하여 노원리라 하고 이곡면과 월촌면의 이름을 딴 이월면에 편입하였다...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 노곡마을에 있는 평산신씨 세거지. 이월면은 조선 말기 이곡면(梨谷面) 지역으로 25개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월촌면(月村面)의 26개리, 만승면(萬升面)의 8개리, 방동면(方洞面)의 매산리(梅山里), 덕문면(德文面)의 중가리(中加里), 음성군 대조면의 미곡리, 사다면의 사산리를 병합하고 이곡의 ‘이’자와...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보호수. 느티나무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홍주수·정자나무·귀목 등으로도 불린다. 어린 나무는 나무껍질이 반들반들한 반면, 늙은 나무는 거북등처럼 갈라진다. 길이 2~7㎝ 정도인 잎은 황록색으로 변하며, 4~5월 한 나무에 암꽃과 수꽃이 따로 핀다. 피목(皮目)[껍질눈]은 길어지며 잔가지는 가늘고 어린 것은 잔털이...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 궁동마을에 있는 고려시대 불상. 궁동마을 옥녀봉 동쪽 기슭에 있다. 전체 높이는 203㎝로 지상으로 드러난 부분의 크기를 보면 불두와 상체 부분이 1대 2.5 정도의 비율로 이루어져 있다. 머리 부분의 형태는 거의 정사각형이며, 머리에는 짧은 보관을 쓰고 있다. 양 눈썹 사이에는 백호공(白毫孔)의 흔적이 남아 있고, 미간에는 눈·...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에 있는 조선 후기 신잡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 신잡(申磼)은 임진왜란 때 탄금대에서 전사한 신립(申砬) 장군의 형이다. 1583년(선조 16) 문과에 급제한 뒤 정언(正言)을 거쳐 의정부우참찬(議政府右參贊), 한성부윤(漢城府尹), 형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거쳐 1604년(선조 37) 호성공신 2등에 평천부원군(平川府院君)으로 봉해...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 노곡마을에 있는 조선 후기 노은정의 터. 노은정은 충청북도 진천의 평산신씨 입향조인 신잡(申磼)[1541~1609]의 후손 정묵재(靜黙齋) 신협(申俠)이 건립한 정자이다. 모정 또는 모정골이라고도 한다. 신협은 노은정 앞에 조그마한 연못을 판 후 시냇물을 끌어들여 연꽃을 심었다고 한다. 이후 노은정은 신협의 후손인 신현복(申鉉福)...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매년 10~11월 진천문화원 주관으로 개최되는 전시 행사. 노인전통공예품 솜씨자랑대회 및 전시회를 주관하고 있는 진천문화원은 대한노인회 진천군지회의 후원과 협조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각 읍·면에 소재한 노인회에서 공예품을 1점 이상 출품하도록 권유하여 지역 노인들의 취미 활동을 통한 사회 참여를 유도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노인전...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1월 14일 공터에 볏가릿대를 세우고 풍요를 비는 풍속. 볏가릿대 세우기는 문백면 문덕리 미래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마을의 단합과 풍농을 기원할 목적으로 마을 공터에 볏가릿대를 높이 세우는 세시풍속이다. 이를 볏가리, 노적가리, 볏가리장대, 화간(禾竿), 화적(禾積), 도간(稻竿) 등이라고도 일컫는다. 볏가릿대는 기둥을 만드는 재료와 명칭...
-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서화가.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광지(光之), 호는 첨재(添齋)·표옹(豹翁)·노죽(路竹)·산향재(山響齋)·표암(豹菴), 시호는 헌정(憲靖). 1713년(숙종 39) 한양에서 태어나 1791년(정조 15) 세상을 떠났다. 시(詩)·서(書)·화(畵)의 삼절로 불렸으며, 식견과 안목이 뛰어난 사대부 화가였다. 진경산수화를 발전시켰고 풍속화와 인물화를 유행시켰으며...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에 있는 조선 후기 신잡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 신잡(申磼)은 임진왜란 때 탄금대에서 전사한 신립(申砬) 장군의 형이다. 1583년(선조 16) 문과에 급제한 뒤 정언(正言)을 거쳐 의정부우참찬(議政府右參贊), 한성부윤(漢城府尹), 형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거쳐 1604년(선조 37) 호성공신 2등에 평천부원군(平川府院君)으로 봉해...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매년 8~9월 농다리축제추진위원회 주관으로 개최되는 사진 공모전. 농다리축제는 2000년부터 시작하여 매년 8~9월 개최되는데, 농다리사진공모전은 농다리축제의 일환으로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8호인 농다리를 대상으로 하여 그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고 보존하기 위하여 2007년 8월부터 개최하기 시작하였다. 2007년과 2008년에는 ‘천년문화유산 진천농...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에서 매년 8월경 농다리보존회와 농다리축제추진위원회 주관으로 개최되는 축제. 생거진천의 농다리는 붉은 자연 음양석을 이용해 축조한 특이한 구조를 지닌 돌다리로서 천년의 신비와 역사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뛰어난 문화유산이다. 진천군에서는 농다리를 대외적으로 홍보함과 동시에 조상의 슬기와 싱그러운 자연을 체험하고, 한여름의 무더위를...
-
다리는 언제 어디서 기원하였는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역사는 아주 오래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 만큼 다리는 인간의 삶에서 매우 필요하고 자연스러운 요소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이고 진보된 기술로 짜임새 있게 다리를 만들기 시작한 때는 삼국시대이다. 이전의 다리는 정착 생활을 시작하면서 불편함을 덜기 위해 통나무를 걸치거나 주변의 돌을 띄엄띄엄 놓아 빠지지 않고 다닐...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에 있는 고려 전기의 돌다리. 진천 농다리[鎭川 籠橋]는 진천읍을 관통하는 백사천과 이월면을 적시는 덕산 한천천이 합류해 흐르는 백곡천에 놓인 돌다리이다. 농다리·수월교라고도 하며, 지네를 닮았다고 하여 지네다리라고도 불린다. 1976년 12월 21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되었다. 농다리는 조성 당시의 상황을...
-
우리가 임영은 씨를 처음 만난 것은 어느 무더운 여름날 임상직 할아버지 댁 앞에서였다. 이제는 진천군을 대표하는 명소로 자리 잡은 농다리는 1년 내내 많은 방송국에서 촬영하고 싶어 하는 장소이기도 한데, 그날도 역시 한 방송국에서 농다리를 건너는 노인은 장수를 한다는 주제로 촬영을 하고 있었다. 임영은 씨는 이 촬영을 위해 임상직 할아버지를 모시러 온 것이었다. 임상직...
-
충청북도 진천군에 있는 농다리를 보존하기 위해 결성된 문화 예술 단체. 농다리는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구산동마을에 있는 문화유산으로서 2003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되었다. 농다리보존회는 진천 농다리를 진천 지역의 유적지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유적지로 조성하여 보존하고자 2003년 7월 12일 비영리 법인으로 설립되었다....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매년 8~9월 농다리축제추진위원회 주관으로 개최되는 사진 공모전. 농다리축제는 2000년부터 시작하여 매년 8~9월 개최되는데, 농다리사진공모전은 농다리축제의 일환으로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8호인 농다리를 대상으로 하여 그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고 보존하기 위하여 2007년 8월부터 개최하기 시작하였다. 2007년과 2008년에는 ‘천년문화유산 진천농...
-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구산동마을에 가면, 농다리로 가기 전에 꼭 한 번 들러야 하는 곳이 있다. 농다리와 함께 구곡리 구산동마을의 또 하나의 명소가 된 농다리전시관이 바로 그곳이다. 많은 관광객의 사랑을 받고 있는 농다리전시관은 구산동마을의 자랑거리인 농다리를 보존하고 후세에 물려주고자 설립된 곳이기도 하다. 우리는 느티나무 혹은 구산정에 삼삼오오 옹기종기 모여 담소...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에서 매년 8월경 농다리보존회와 농다리축제추진위원회 주관으로 개최되는 축제. 생거진천의 농다리는 붉은 자연 음양석을 이용해 축조한 특이한 구조를 지닌 돌다리로서 천년의 신비와 역사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뛰어난 문화유산이다. 진천군에서는 농다리를 대외적으로 홍보함과 동시에 조상의 슬기와 싱그러운 자연을 체험하고, 한여름의 무더위를...
-
농다리축제가 더욱 의미 있는 것은 구산동마을 주민들이 함께 농다리축제를 준비하고 참여하기 때문이다. 손재주가 좋은 임기용 할아버지는 왕골로 만든 수공예품들을 농다리축제 기간에 전시관에 전시한다. 임기용 할아버지는 직접 키우고 있는 소와 함께 농다리 옛 모습 시연 행사에도 참여한다고 말해 주었다. “그 농다리축제 때 우리 소를 끌고 농다리 위를 건넜지, 왜 옛날에는 초평저수지가 들판...
-
농다리축제는 소중한 문화유산인 농다리의 가치를 널리 알림과 동시에 조상들의 슬기를 배워 가고자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구산동마을 농다리 일원에서 열리는 축제이다. 2000년 8월 23일에 처음 개최된 농다리축제는 매년 1만 명 안팎의 진천군민과 각지의 관광객들이 참여하면서 진천군을 대표하는 관광 축제로 발전하였다. 이렇게 농다리축제가 해를 거듭할수록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많은...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 있는 전국농민회총연맹의 진천군 지부. 전국농민회총연맹 진천군지부는 1990년 세계무역기구[WTO] 신자유주의 농업 부문의 무차별한 시장 개방에 맞서 무분별한 농축산물 수입 개방을 막고 식량 자급과 환경 보전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또한 농가 부채와 농업 말살 정책에 맞서 농민의 정치·경제·사회적 권리와 복지를 실현하고, 다가오는...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1월 14일 밤에 고사를 지내고 떡을 먹는 풍속. 고사시루 해먹기는 덕산읍 구산리 상구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밤에 가정의 안녕을 빌기 위해 집집마다 고사시루를 준비하여 고사를 지내고 떡을 나누어 먹던 세시풍속이다. 이를 농사시루, 성주고사, 안택굿 등이라고도 일컫는다. 시루떡을 해서 고사를 지내는 시기는 대개 정월이나 10월이다. 고사의...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토지를 이용하여 인간에게 유용한 동·식물을 길러 생산물을 얻어내는 경제 활동. 농업은 토지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거나 가축을 사육하여 의식주에 필요한 자재를 생산하는 인간의 경제 활동 중 가장 기본이 되는 1차 산업으로 토지와 기후 등 자연 조건에 크게 좌우되며 따라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충청...
-
충청북도 진천군에 있는 지역 농업인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된 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은 농업인의 자주적인 협동 조직으로 농업 경쟁력 강화를 통하여 농업인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지위 향상과 삶의 질을 높이고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진천군 농업협동조합의 주요 사업과 업무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효자이자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뇌연(雷淵), 자는 문계(文階)·태초(太初), 호는 연재(衍齋). 세종의 별자(別子)인 광평대군(廣平大君)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군위현감 이의화(李義和)이며, 어머니는 통덕랑 유언(兪彦)의 손녀이다. 이승연(李升淵)[1767~1829]은 유서 깊은 가정에서 시(詩)와 예(禮)의 교육을 받아 선행을...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마룻바닥을 지면보다 높게 하여 멀리 볼 수 있도록 지어진 누각이나 정자. 누정은 자연을 즐기는 공간인 동시에 자신을 정신 수양하는 장소이다. 이를 ‘누각’, ‘정자’, ‘누대’, ‘정루’ 등이라고도 한다. 누정은 자녀들과 후학을 가르치는 교육의 장이자 문인들의 토론의 장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의 누정은 경관이 좋은 곳에 세우거나 또는 누정...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마룻바닥을 지면보다 높게 하여 멀리 볼 수 있도록 지어진 누각이나 정자. 누정은 자연을 즐기는 공간인 동시에 자신을 정신 수양하는 장소이다. 이를 ‘누각’, ‘정자’, ‘누대’, ‘정루’ 등이라고도 한다. 누정은 자녀들과 후학을 가르치는 교육의 장이자 문인들의 토론의 장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의 누정은 경관이 좋은 곳에 세우거나 또는 누정...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마룻바닥을 지면보다 높게 하여 멀리 볼 수 있도록 지어진 누각이나 정자. 누정은 자연을 즐기는 공간인 동시에 자신을 정신 수양하는 장소이다. 이를 ‘누각’, ‘정자’, ‘누대’, ‘정루’ 등이라고도 한다. 누정은 자녀들과 후학을 가르치는 교육의 장이자 문인들의 토론의 장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의 누정은 경관이 좋은 곳에 세우거나 또는 누정...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에 마을 당산나무의 잎이 피는 모양을 보고 농사의 길흉을 점치는 풍속. 당산나뭇잎 점치기는 백곡면 명암리에서 삼월 삼짇날에 마을 제사의 신체(神體)인 당산나무의 잎이 골고루 무성하게 잘 피었는지 아닌지, 어떤 방향으로 피는지, 한꺼번에 피는지 아닌지에 따라 한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풍속이다. 이는 지역에 따라 당산나무 잎으로 점치...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옥성리에 있는 자연마을. 능(陵)처럼 생긴 곽씨의 묘가 있어 능골[陵골]이라 하였다고 전해 온다. 무덤의 주인이 누구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능동이라고도 한다. 진천군 문백면 옥성리의 옥산저수지로 흘러드는 서북쪽의 계류를 거슬러 올라가면 산간 계곡의 작은 분지 지형에 능골이 자리하고 있다. 능골 남쪽에 있는 오미[일명 옥산] 서쪽에는 초...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옥성리에 있는 자연마을. 능(陵)처럼 생긴 곽씨의 묘가 있어 능골[陵골]이라 하였다고 전해 온다. 무덤의 주인이 누구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능동이라고도 한다. 진천군 문백면 옥성리의 옥산저수지로 흘러드는 서북쪽의 계류를 거슬러 올라가면 산간 계곡의 작은 분지 지형에 능골이 자리하고 있다. 능골 남쪽에 있는 오미[일명 옥산] 서쪽에는 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