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민간에서 전승되어 온 신앙.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민간신앙으로는 전승 공간·주체·성격에 따라 마을공동체 신앙, 가정신앙, 무속신앙 등이 있고, 이 밖에도 개인의 신앙적 필요에 따른 주술과 점복 등이 있다. 마을 단위의 신앙은 산신과 당할머니를 마을신으로 모시는 것이 일반적이고, 마을에 따라 짐대[솟대]·벅수[장승]·미륵 등을 의례의 대상으...
무속 신앙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화장실에 좌정해 있다고 믿는 신에 대한 의례. 측간[화장실]에 좌정한 신을 측신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측신은 여신(女神)인 경우가 흔하다. 해남 지역에서는 측신으로 ‘작은각시’라고 하는 여신과 ‘측간장군’이라고 하는 남신이 확인된다. 해남 지역에서는 측간에서 넘어지면 잘 낫지 않는다고 하여 무당을 불러 측간장군굿을 하며, 외부에서 집 안으로 아...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죽은 사람의 영혼을 천도하는 무속 의례. 전라남도 해남군을 비롯한 전라도 지역에서는 죽은 이의 영혼을 천도하는 의례로서 씻김굿이 전승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죽은 이를 천도하는 무속 의례를 오구굿·오귀굿·진오귀굿 등으로 부르는 지역이 많은데, 전라도에서는 죽은 이의 영혼을 씻어 준다는 의미가 강조되어 씻김굿으로 불린다....
마을 신앙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금강리 금강마을에서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무고와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송지면 금강리 금강마을에서는 해마다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무고와 풍년, 어른들의 무고, 객지로 나간 사람들의 무고를 기원하며 도제를 지낸다. 정월 열나흗날 자정 마을 뒷산의 제각에서 당할머니께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시작하여 마을 입구의 솔대[솟대]에서...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마봉리 마봉마을에서 해마다 섣달그믐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송지면 마봉리 마봉마을에서는 해마다 섣달그믐이 되면 마을 사장길에 있는 당목(堂木) 앞에서 당할머니를 모시고 제관과 무당이 함께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마봉리 마봉 당제를 지낸다. 마봉리 마봉 당제는 그 연원을...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맹진리 맹진마을에서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화합과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마산면 맹진리 맹진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 보름이 되면 마을의 정자나무에 금줄을 치고 불을 밝혀 가정마다 축원을 빌며 음식을 마련하여 정성껏 맹진리 맹진 당제를 지낸다. 맹진리 맹진 당제는 그 연원에 대해서는 밝혀진...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무고리 궁항마을에서 매년 정월 초하루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문내면 무고리 궁항마을에서는 해마다 정월 초하루가 되면 마을 뒷산 중턱에 있는 당고랑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무고리 궁항 당제를 모셨다. 섣달그믐에 시작하여 정월 초하루 새벽 한두 시 사이에 제사를 지냈는데, 제관이 손빔[비손]으로 기원하고 나서...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산정리에서 음력 정월 14일에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송지면 산정리 산정1리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 14일에 승려를 제관으로 초청하여 당산에서 산정리 산정1리 도제를 지낸다. 도제는 마을신으로 배큰애기[배씨 할머니], 천추만, 고대일을 모시는데, 이 중에서 배큰애기는 수령 500년 정도의 은행나무인 사...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서상리 서상마을에서 정월 초하루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문내면 서상리 서상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초하룻날에 망해산(望海山) 중앙에 임시 제단을 설치하고 서상리 서상 산신제를 지낸다.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이 산신제를 지내는 제단 옆에 신사당(神士堂)을 두며 참배를 강요했지만 마을 주민들은 이에 굴하지 않고 계속해서...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치소마을에서 정월 초이튿날에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서정리 치소 당제는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치소마을에서 해마다 정월 초이튿날에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당제와 짐대제[솟대제]를 일컫는 말이다. 정월 초이튿날이 되면 오후 다섯 시 무렵 먼저 마을 뒷산에 있는 산신당에서 마을의...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성진리 성진마을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성진리 성진 당제는 해남군 계곡면 성진리 성진마을에서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 밤에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당제이다. 마을의 당(堂)은 상당(上堂)과 하당(下堂)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당에서 모시는 제는 산제(山祭), 하당에서 모시는...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소죽리 소죽마을에서 음력 9월 9일에 마을의 안녕과 무사태평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중구절 또는 중양절은 음력 구월 초아흐렛날로, 이 무렵에 햇곡식이 나기 때문에 과거에는 명절로 인식하여 일반 가정에서도 추수한 벼로 떡과 메를 지어 조상에게 제사를 지냈다. 해남군 송지면 소죽리 소죽마을은 송지면에서 유일하게 중구제를 지내고 있는...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어란리에 있는 어란을 모신 사당. 송지 어란당집은 2011년 7월 6일 해남군 향토문화유산 제20호로 지정되었다. 이 당집은 바닷가 마을 고유의 전통적 기복신앙을 나타낸다.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어란리에 있다. 송지 어란당집은 돌담으로 둘러싸인 곳에 흙벽으로 지어져 있다. 지붕은 팔작기와지붕이며 당집 전면에 흰 바...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송호마을에서 정월 초하룻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송호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초하룻날 새벽 인시(寅時)[오전 세 시에서 다섯 시 사이]가 되면 마을 당나무인 소나무 앞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마을 제사로 송호리 송호 도제를 지낸다. 송호리...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송호리 송호마을에서 음력 2월 초하루에 마을의 평안과 재액 방지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황산면 송호리 송호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2월 초하루에 “짐대 모신다.”라고 하여 짐대[솟대]와 벅수[장승]가 서 있는 짐대거리에서 마을 제사인 송호리 송호 짐대·장승제를 지낸다. 짐대거리에는 오리를 물고 있는 짐대 한 기와 천하대장군·지...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어란리 어란마을에서 정월 초하루에 마을의 풍어와 평안, 질병 방지 등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송지면 어란리 어란마을은 매년 정월 초하룻날 밤에 마을의 풍어와 평안, 질병 방지, 가축의 무병 등을 기원하는 마을 제사로 어란리 어란 도제를 지낸다. 마을 회의를 통해 선출된 제주(祭主) 두 명이 초하룻날 아침에 미리 당집에 올라...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연당리 연당마을에서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평안과 액운을 방지하고자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황산면 연당리 연당마을에서는 매년 정월대보름날 ‘도지 잡순다.’라고 하여 마을 내에 건립된 도제각에서 총각귀신을 모시고 연당리 연당 도제를 지낸다. 마을 사람들을 해치고 마을에 화를 끼치던 총각귀신을 달래려고 제사를 모시게 된 것으로 전한고, 제사...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예정리 예동마을에서 매년 음력 1월 1일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산이면 예정리 예동마을에서는 해마다 정월 초하룻날 밤이 되면 마을 뒷산인 옥수봉에 올라 마을의 안녕과 제액초복(除厄招福)[액을 물리치고 복을 기원함]을 기원하며 예정리 예동 당제를 지낸다. 먼저 하당(下堂)인 옥령당의 당할머니에게 마을의...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옥동리 옥연마을에서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황산면 옥동리 옥연마을에서는 매년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안녕과 주민들의 무고, 풍년을 기원하며 옥동리 옥연 지신제를 지낸다. 정월대보름 오전에 마을회관 앞에서 간단히 제를 올리고 나서, 제관과 풍물패가 마을 주산[마을 동쪽 산]을 찾아가 불을 피우며...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용암리 용암마을에서 정월 초하룻날에 마을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문내면 용암리 용암마을에서는 해마다 정월 초하루가 되면 마을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며 용암리 용암 산제를 모신다. 제사는 마을 뒤편에 있는 대덕산(大德山) 제각에서 대덕산 신령에게 지낸다. 용암리 용암 산제는 언제부터 시...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원호리 원호마을에서 음력 2월 초하루에 마을의 안녕과 액운 방지를 목적으로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황산면 원호리 원호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2월 초하루에 짐대[솟대] 앞에서 제사를 지낸다. 짐대는 장승이나 입석처럼 마을을 수호하고 액운을 방지하는 신앙물로, 긴 장대 위에 오리 모양의 나무를 깎아 올려놓은 것이다. 원호마을은 풍수지리상...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장소리 장소마을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행운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장소리 장소 당산제는 매년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마을의 행운과 주민의 안녕, 농사 풍년을 기원하며 장소리 장소마을의 당산나무 앞에서 지내던 당제이다. 장소리 장소 당산제의 연원은 알 수 없으나, 마을 공동체 신앙...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통호리 통호마을에서 정월 초하룻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송지면 통호리 통호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초하룻날 밤에 마을 당숲에 있는 당집에서 당할머니에게 마을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낸다. 정월 초하루가 되면 오후에 군고패[풍물패]가 미리 당집에 가서 군고를 치며 당할머니에게 당일 밤에 제사를 지내...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평암리 금산마을에서 정월 초하루에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평암리 금산 도제는 해남군 북평면 평암리 금산마을에서 해마다 정월 초하루에 마을의 평안과 주민들의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평암리 금산 도제는 마을이 생기면서 심은 700년 이상 된 귀목나무[느티나무] 앞에서 지내는데, 정월...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학가리 학가마을에서 정월 초이튿날에 마을의 안녕과 가정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송지면 학가리 학가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초이튿날 저녁이 되면 마을 제사로 학가리 학가 거래[거리제]를 모신다. 학가마을에는 옛날부터 마을 입구에 할아버지신이 있어서 호랑이나 무서운 짐승, 잡귀가 들어오지 못하게 막았다고 한다. 학가리...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 학동마을에서 정월 초하루에 마을의 평온과 풍년 농사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학동리 학동 당제는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 학동마을에서 해마다 정월 초하루에 마을의 평온과 농사의 풍요로움을 기원하며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학동리 학동 당제는 그 연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마을공동...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한자리 징의마을에서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안녕과 가정의 소망이 이루어지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황산면 한자리 징의마을은 매년 정월대보름에 거리제[거릿제]와 헌식제를 지낸다. 정월대보름 새벽에는 마을회관 앞에 각 가정에서 준비한 여러 개의 제상을 놓고 마을의 안녕과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며 거리제를 지내고, 아침이 되면 군고[...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해원리 신기마을에서 정월 초하룻날에 마을의 무사와 풍년을 기원하면서 지내는 마을 제사. 해남군 송지면 해원리 신기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초하루 오후 두세 시 무렵에 마을 저수지 앞에서 해원리 신기 용왕제를 지낸다. 마을에 군곡저수지가 생기고 나서부터 아이들이 놀다가 빠져 죽거나 배가 뒤집히는 등의 사고가 자주 일어났다. 이때 마을을 지나던...
민간 속신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마을의 큰일을 앞두고 여성을 마주치지 않으려고 행하는 주술적 습속. 해남 지역에서는 마을 주민들이 단체로 참여하는 공연이나 대회를 앞두고 여성들이 마을을 돌아다니며 일하지 못하도록 마을 우물에 돌을 엎어 놓았다. 이 돌을 샘독이라고 하며 이 풍습을 샘독엎기라 한다. 샘독엎기는 큰일을 앞두고 부정을 방지하고자 행하던 습속으로, 여성의 주된...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소를 팔러 갈 때 부정을 막고자 하는 미신적 관습 행위.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는 소를 팔러 갈 때 신발을 새끼줄로 묶어 대문에 걸어 둔다. 이러한 행위는 혹시 모를 부정을 막기 위한 것으로, 금줄의 한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대개 비일상적인 상황이 발생했을 때 성(聖)과 속(俗)을 구분하기 위해 왼쪽으로 꼰 왼새끼로 금줄을 치는데,...
-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아이의 점지를 기원하며 행하는 의례.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는 아이를 낳지 못하거나 부정이 끼어 아이에게 탈이 났을 때 지앙맞이를 한다. 지앙은 아이를 점지해 주는 신으로, 삼신이라고도 한다. 주로 결혼한 부인이 임신을 하지 못하면 당골을 초청하여 아이의 점지를 기원하는 지앙맞이를 하는데, 집으로 초대된 당골은 부엌에서 징을 치면서 지앙을...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고기잡이를 갈 때 대문 밖에 대나무를 걸쳐 놓아 부정한 사람의 출입을 막는 행위. 전라남도 해남 지역 주민들은 출어(出漁)할 때, 즉 고기잡이를 위해 어장(漁場)에 나갈 때에는 사립문 밖에 대나무를 비스듬히 걸쳐 놓는데, 이는 집주인이 고기잡이 나갔음을 알리는 표시이자 부정한 사람의 출입을 금하는 장치이다. 출어시 대나무 걸쳐...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산의 고갯길을 넘을 때 침을 뱉어 액막이를 하는 장소. 해남군 일대에는 고갯길 정상이나 마을 입구에 돌이나 솔가지를 모아 놓은 큰 무더기가 있어 그곳을 지날 때면 침을 뱉음으로써 두려움을 떨쳐내고 잡귀를 쫓아내었는데, 이 장소가 침당 또는 춤당이다. 사투리로 입 속의 침을 춤이라고 하는데, ‘침[춤]을 뱉는 당’이라는 뜻에서 침당이라 하...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가축이 출산에 어려움을 겪거나 출산 후에 새끼를 해할 때 부정을 해소하고자 행하는 주술적 습속. 해남 지역에서는 가축이 출산할 때 진통이 오래 지속되어 난산의 조짐이 보이거나, 출산 후에 새끼를 물어 죽이는 행위를 하면 집안 식구들이 중 누군가에게 부정이 낀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래서 부정한 사람을 파악한 후 사립문 밖에 세워 놓고 쳉이...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집을 새로 짓거나 이사했을 때 액막이를 위해 허수아비를 만들어 놀리고 불태우는 의례. 일반적으로 집을 새로 짓거나 이사할 경우 풍물패가 액막이를 하고 축원을 하는데, 해남 지역에서는 허새비[허수아비]를 만들어서 놀리다가 태우는 것으로 액막이를 하였다. 이를 터울리기라고 한다. 민간에서 정월에 허수아비를 만들어 액막이를 하는 사례는 일반적이다. 집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