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세종시문화대전 > 세종시향토문화백과 > 삶의 자취(문화유산) > 유형유산 > 불교 유물
불상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 서광암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아미타불비상.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있는 서광암(瑞光庵)에서 발견된 불상으로, 비석 모양의 돌에 불상과 글이 새겨져 있다. 사각형의 돌 전체에 불상이 새겨져 있다. 앞면의 삼존불(三尊佛) 중심으로 좌우에는 글이, 나머지 면에는 작은 불상이 가득 새겨져 있다. 일제강점기에 서광암...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아미타불비상.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은 1960년에 세종 지역인 전의면 비암사(碑巖寺)에서 다른 2점의 불비상(佛碑像)과 함께 발견되었다. 명문에 의하면 계유년(673)에 전씨 일가의 발원에 의하여 조성되었다. 현재는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소장 및 관리하고 있다.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은 긴 사각...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불비상. 기축명아미타불비상은 1960년 당시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碑巖寺)에서 다른 2점의 불비상(佛碑像)과 함께 발견되었다. 명문에 의하면 689년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며, 1962년에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겼다가 현재는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소장 및 관리를 하고 있다. 기축명...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불비상. 미륵보살반가사유비상(彌勒菩薩半跏思惟碑像)은 1960년 당시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碑巖寺)에서 다른 2점의 불비상(佛碑像)과 함께 발견되었다. 발견된 비상 중 크기가 가장 작다. 1962년에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으며, 현재는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소장 및 관리하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월하리 연화사에 봉안된 통일신라시대 불비상. 세종시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는 칠존불비상과 함께 발견되었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모두 생천사지(生千寺址)라는 곳에서 가져온 것이라 한다. 생천사지는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기축명아미타불비상, 미륵보살 반가사유비상이 출토된 비암사와 산 하나를 두고 2㎞ 떨어진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생천사...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월하리 연화사에 봉안된 통일신라시대 불비상. 세종시 연화사 칠존불비상은 충청남도 연기군 서면 쌍류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쌍류리]의 절터에 있던 것을 지금의 연화사로 옮겨온 것이다. 연화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다른 불비상(佛碑像)[직육면체 형태로 전후좌우의 4면에 불상을 조각한 비석]의 조성 연대가 678년인 점을 감안할 때 같은 시기에...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송용리에 있는 고려시대 마애여래입상. 연동 송용리 마애여래입상은 내판역 근처 얕은 구릉에 자리하고 있는 마애여래입상으로, 광배와 불상을 하나의 돌에 조각한 것이다. 상호 일부가 훼손되었지만 전체적으로 수인이나 옷주름 표현이 간략화되고 도식화된 부분도 있어 고려시대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연동 송용리 마애여래입상은 커다란 배...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 황룡사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복장유물. 조선 후기인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1구와 불상 내부에서 출토된 복장유물 11점이다. 복장유물은 후령통 1점과 『진언집』, 『육경합부』 등 불교전적 10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중형 목조불상 형태를...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산학리 영평사에 있는 조선 후기 나무로 조성한 나한상과 복장유물. 나한은 아라한(阿羅漢)의 줄임말로, 일체의 번뇌를 끊고 깨달음을 이루어 공양을 받을 만한 성자(聖子)를 뜻한다. 나한상은 16나한상과 여기에 항룡나한과 복호나한을 더한 18나한상, 500나한상이 주로 만들어진다. 사찰의 나한전, 응진전, 영산전 등에 봉안된다.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영...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 극락보전에 봉안된 조선 전기 아미타여래좌상. 전의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은 비암사 극락보전에 주존불로 봉안하고 있는 단독의 대형 소조여래좌상이다. 상호(相好)[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 표현이나 착의법, 신체 비례 등을 살펴보면 조선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의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은...
불화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축산리 송림사에 소장된 조선 후기 팔상도의 초본. 『금남 송림사 팔상도 초본(錦南松林寺八相圖草本)』은 석가의 일생을 8폭의 그림으로 묘사한 불화초(佛畵草)이며, 현재 5장만 남아 있다. 화기나 제작자에 대한 묵서가 남아 있지 않아 제작 연대를 파악할 수 없지만 녹원전법상 오른쪽 하단에 ‘忠淸道 公州 摩谷寺’란 묵서가 남아 있어 마곡사와 관...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신대리 학림사에 소장된 개항기 신중도. 연서 학림사 신중도(燕西鶴林寺神衆圖)는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 신중(護法神衆)의 모습을 묘사한 불화이다. 중앙의 위태천(韋駄天)을 중심으로 신장(神將)과 천자(天子)가 좌우 협시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 하단에 위치한 화기에 따르면 1891년에 조성되었다. 2014년 12월 22일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은용리 보광사에 소장된 일제강점기 독성도. 장군 보광사 독성도(將軍普光寺獨聖圖)는 부처님의 법을 이어 깨달음에 도달한 나반존자(那畔尊者)의 독성을 묘사한 불화이다. 화면 우측에 녹색과 분홍색으로 채색된 나무와 갈색의 노을을 배경으로 기암괴석 위에 앉아서 허공을 바라보는 독성이 표현되어 있다. 2014년 6월 30일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은용리 보광사에 소장된 일제강점기 산신도. 장군 보광사 산신도(將軍普光寺山神圖)는 산신을 묘사한 불화이다. 화면 왼쪽 소나무 아래에 산신과 함께 호랑이와 공양물을 든 동자를 배치하였다. 2007년 9월 2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7호 공주 보광사 산신도로 지정되었으며, 행정구역 개편으로 2012년 12월 31일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에 소장된 조선 후기 괘불도. 전의 비암사 영산회 괘불탱화(全義卑岩寺靈山會掛佛幀畵)는 야외에서 설행되는 의식을 위하여 조성된 대형 불화로, 내용적으로는 영취산(靈鷲山)에서 설행된 석가모니불의 설법 장면을 묘사하였다. 중앙에 항마촉지인을 결한 석가모니를 중심으로 협시인 문수·보현 보살과 사천왕, 2위의 보살이 배치되었다. 상단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