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 진천군의 북서부 산지를 이루는 산맥. 차령산맥(車嶺山脈)은 차령과 산맥으로 나뉜다. 차령은 다시 차(車)와 영(嶺)으로 나뉜다. 백제어에 산봉우리를 뜻하는 말로 ‘*술(述)’·‘*수리[述尒]’·‘*수니(首泥)’가 보인다. 그리고 중세 국어에서는 ‘수늙[嶺]’이 보인다. 『삼국사기(三國史記)』를 살펴보면 이들이 주로 중부 지역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미루어...
-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육영독지가.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찬서(纘書). 『청주이씨족보(淸州李氏族譜)』에 청주이씨는 태사공 이능희(李能希) 이후 본관을 청주로 정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호신(李鎬臣)[1868~1943]은 가난한 농민의 아들로 태어나서 자수성가하였으며, 많은 사회사업을 하였다. 특히 교육 부문에 힘썼는데, 처음 상산초등학교가 지금의 삼수초등...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에 있는 오이 작목반. 작목반은 농촌 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작목별 및 지역별로 5명 이상의 구성원들을 묶어 만든 공동 생산·출하 조직이다. 참새마루 오이작목반은 5호의 농가가 참여하여 쌀, 오이 등의 농산물을 공동으로 생산 및 출하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이다. 농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자구책 강구와 농업 환경 보호를 위해 설립되었다....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에 있는 오이 작목반. 작목반은 농촌 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작목별 및 지역별로 5명 이상의 구성원들을 묶어 만든 공동 생산·출하 조직이다. 참새마루 오이작목반은 5호의 농가가 참여하여 쌀, 오이 등의 농산물을 공동으로 생산 및 출하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이다. 농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자구책 강구와 농업 환경 보호를 위해 설립되었다....
-
조계룡을 시조로 하고, 조대관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진천군 세거성씨. 창녕조씨(昌寧曺氏)의 시조 조계룡(曺繼龍)은 신라시대 제26대 진평왕의 사위로 전해오고 있다. 중시조는 신라 말에 아간시중(阿干侍中)을 지내고 고려 태조의 딸과 결혼한 조겸(曺謙)이다. 후손들이 조계룡을 시조로, 조겸을 중시조로 삼고 창녕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기리에 있는 조선 후기 금성대군의 사우. 금성대군(錦城大君)[1426~1457]은 세종의 여섯째 왕자로 이름은 이유(李瑜)이다. 1456년(세조 2) 사육신에 의한 단종복위사건에 연루되어 유배지를 전전하다 경상도 순흥에 안치되었으며, 순흥부사 이보흠(李甫欽)과 함께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 발각되어 1457년(세조 3) 사사되었다. 이후...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삼용리에 있었던 토마토 작목반. 창대토마토작목반은 화훼 재배를 하면서 농약을 과다 사용함에 따라 건강 악화가 우려되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환경 농업을 시작하면서 출발하였으며, 장미의 로열티 지급에 따른 우리 농산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설립되었다. 처음에는 화훼 재배 작목반에서 출발하였으나 이후 토마토 작목반으로 전환하였다. 면적은 1...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태락리에 있는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의 원 터. 태락원 터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진천현 관할의 옛 원(院)이 있던 자리이다. 원은 고려·조선시대에 역과 역 사이에 두어 공무를 보는 관리가 묵던 공공 여관이다. 마을 노인의 말에 의하면 “옛날 장사꾼들이 청주장을 보고, 진천장으로 가다가 묵어가던 곳이었으며, 주막이 있었다.”고 한다. 이 원...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장월리에 있는 순수 미술 동아리. 정식 명칭은 창조미술화우회지만 현재는 약칭인 ‘창미회’라는 이름으로 더욱 알려져 있는 지역 미술 동아리로 다양한 미술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창조미술화우회는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순수 미술을 확대 보급하여 지역민이 정서를 함양하고 소질을 계발하며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문화예술 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하기...
-
황충준·황석기·황양충을 시조로 하는 충청북도 진천군 세거 성씨. 창원황씨(昌原黃氏)는 본관을 같이하면서도 계보를 달리하는 세 파가 있다. 고려조에서 문하시중을 지낸 황충준(黃忠俊)을 시조로 하고 후손 황신(黃信)을 1세조로 하는 이른바 토황(土黃)으로 일컬어지는 시중공파(侍中公派), 공희공(恭僖公) 황석기(黃石奇)를 시조로 하는 이른바 당황(唐黃)이라고 일컬어...
-
고려 후기 충청북도 진천 지역의 행정구역 이름. 충청북도 진천 지역 출신인 임연(林衍)이 김준(金俊)과 함께 최의를 제거하고 최씨 정권을 붕괴시키는 데 공을 세웠다. 이에 임연의 고향인 진주(鎭州)를 창의현(彰義縣)으로 승격시켜 그의 공훈에 대해 포상했다. 『고려사(高麗史)』권56, 지리지 양광도 청주목 진주조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고종 46년 임연의...
-
충청북도 진천군의 조선시대 행정구역 명칭. 진천현(鎭川縣)은 조선왕조 건국 이후 1413년(태종 13) 전국적인 지방제도 개편 때 제정되어 조선 말까지 유지되었으며, 1895년(고종 32) 전국적으로 현(縣)을 군(郡)으로 일괄 개칭하면서 폐지되었다. 1413년의 전국적인 지방제도, 즉 군현제 개혁은 고려 후기 이래 무질서하게 승격되었던 지방 행정구역의 읍격(...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장월리에 있는 순수 미술 동아리. 정식 명칭은 창조미술화우회지만 현재는 약칭인 ‘창미회’라는 이름으로 더욱 알려져 있는 지역 미술 동아리로 다양한 미술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창조미술화우회는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순수 미술을 확대 보급하여 지역민이 정서를 함양하고 소질을 계발하며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문화예술 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하기...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광혜원리에서 매년 하반기 한국다우코닝 주관으로 개최되는 행사. 실리콘 및 솔루션 제공업체인 한국다우코닝(주)은 세계적으로 ‘과학’, ‘수학’, ‘어린이 교육’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가지고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예를 들어 인도에서는 과학 실험을 위한 설비가 전무한 인도 푸네 지역 학생을 위해 실험실을 만들어 주고, 미국에서는 화학 박사인...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평강(平康). 순당(蓴塘) 채진형(蔡震亨)[1579~1659]의 후손이다. 채진형은 본래 서울에 살았는데,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꿈속에서 피난가라는 계시를 받고 피신하여 진천 땅 어느 곳에 정착하고, 꿈속에서 계시를 받아 찾은 마을이므로 마을 이름을 몽촌(夢村)이라 했다고 한다. 현재 마을을 이룰 당시 심었던 은행나무는 수령 310년...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용몽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채경언의 정려. 채경언은 아버지가 병이 나자 손가락을 베어 피를 먹여 살아나게 하고, 겨울에는 얼어붙은 연못가에서 사흘간 빌어 잉어를 구해 어머니께 드려 병을 낫게 하였다. 부모가 돌아가시자 각각 3년씩 총 6년간 시묘하여 주위 사람들의 칭송이 자자하였다. 이에 인조 대에 정려(旌閭)를 건립하기에 이르렀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학자.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군범(君範), 호는 봉암(鳳巖). 할아버지는 삼환재(三患齋) 채지홍(蔡之洪)[1683~1741]으로,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봉암마을에서 태어났다. 인천채씨(仁川蔡氏) 시조 채선무(蔡先茂)는 고려 중엽 벼슬이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使)에 이르렀는데 인천에 세거하였으므로 후손들이 인천을 관향으로 하게 되었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자는 용구(用九), 호는 지비재(知非齋) 또는 지비자(知非子). 증조할아버지는 채흥선(蔡興先)이고, 할아버지는 채정간(蔡廷侃)이다. 아버지는 진사 채진형(蔡震亨)이며, 어머니는 김몽정(金夢禎)의 딸이다. 1612년(광해군 4) 아버지 채진형이 우거한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용몽리 몽촌마을이 가문의 근거지이다....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평강(平康). 1910년(순종 4) 10월 21일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에서 출생하였다. 광주학생운동에 참가한 뒤 상해로 가 독립운동을 하다가 체포, 복역하였다. 이후 서울에서 경도신문사 기자로 독립운동을 하다 다시 체포, 옥중에서 순국하였다. 채수복(蔡洙福)[1910~1945]은 1930년 1월 16일 서울 협성실업학...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용몽리에 있는 채수복의 묘소 및 사적비. 채수복[1910~1945]은 1930년 서울의 협성실업학교 재학 중에 학생들을 동원하여 독립 만세를 부르며 가두시위를 전개한 것을 시작으로 독립운동에 나섰다. 이후 중국 상하이로 망명해 독립운동을 하다 옥고를 치렀는데, 출옥 후에도 서울에서 신문기자로 활동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다가 다시 체포되어...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군범(君範), 호는 봉암(鳳巖)·삼환재(三患齋)·봉계(鳳溪)·사장와(舍藏窩).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를 지낸 채영용(蔡領用)이다. 채지홍(蔡之洪)[1683~1741]은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암리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났는데, 8세 때 “달이 동산 위에 떠오르니 그 모습이 태극과 같구나[月出...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 있는 독서 동아리. 책마중 독서회는 진천 지역의 어린이 및 청소년들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독서, 글쓰기 등의 교육을 수행하는 독서 동아리이다. 또한 정기적으로 어린이 경제 교실 및 역사 교실을 운영하는 등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역사 교육을 위해서도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책마중 독서회는 진천군민들이 책을 통해 좀...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 나비의 색깔을 보고 그 해의 길흉을 점치는 풍속. 나비점치기는 백곡면 명암리와 덕산면 구산리 및 문백면 문덕리에서 삼월 삼짇날에 산이나 들에서 가장 먼저 본 나비의 색깔을 보고 그해 자신의 운수를 점치는 동물점(動物占)의 하나이다. 이는 지역에 따라 나비 보고 운수보기, 나비 보고 점치기, 나비 색깔로 점치기, 나비 점보기, 나비...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 나비의 색깔을 보고 그 해의 길흉을 점치는 풍속. 나비점치기는 백곡면 명암리와 덕산면 구산리 및 문백면 문덕리에서 삼월 삼짇날에 산이나 들에서 가장 먼저 본 나비의 색깔을 보고 그해 자신의 운수를 점치는 동물점(動物占)의 하나이다. 이는 지역에 따라 나비 보고 운수보기, 나비 보고 점치기, 나비 색깔로 점치기, 나비 점보기, 나비...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 나비의 색깔을 보고 그 해의 길흉을 점치는 풍속. 나비점치기는 백곡면 명암리와 덕산면 구산리 및 문백면 문덕리에서 삼월 삼짇날에 산이나 들에서 가장 먼저 본 나비의 색깔을 보고 그해 자신의 운수를 점치는 동물점(動物占)의 하나이다. 이는 지역에 따라 나비 보고 운수보기, 나비 보고 점치기, 나비 색깔로 점치기, 나비 점보기, 나비...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생산되는 전통술. 진천군 덕산읍 용몽리 572-16번지[초금로 712]에 있는 영농조합법인 세왕[일명 세왕주조]은 2003년 문화재청으로부터 대한민국 근대 문화유산 제58호로 지정된 데 이어 2005년 대전지방국세청으로부터 3대째 전통 가업을 잇는 전통 향토 기업체로 지정되었다. 영농조합법인 세왕의 이규행 대표는 ‘정직’을 사훈으로 삼고 정...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계리에 있는 골프장. 천룡컨트리클럽은 국민체육 진흥과 골프 발전 및 건전한 레저 문화 창달을 목적으로 1991년 1월 착공하여 1995년 8월에 완공하였다. 회원제로 운영되며 정규 27홀로 개장하였다. 1999년 10월 골프의 대중화를 위하여 퍼블릭 9홀을 신설하였으며, 전국 유일의 노부킹 시스템으로 진정한 회원제 명문 골프클럽으로 자...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계리에 있는 골프장. 천룡컨트리클럽은 국민체육 진흥과 골프 발전 및 건전한 레저 문화 창달을 목적으로 1991년 1월 착공하여 1995년 8월에 완공하였다. 회원제로 운영되며 정규 27홀로 개장하였다. 1999년 10월 골프의 대중화를 위하여 퍼블릭 9홀을 신설하였으며, 전국 유일의 노부킹 시스템으로 진정한 회원제 명문 골프클럽으로 자...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계리에 있는 골프장. 천룡컨트리클럽은 국민체육 진흥과 골프 발전 및 건전한 레저 문화 창달을 목적으로 1991년 1월 착공하여 1995년 8월에 완공하였다. 회원제로 운영되며 정규 27홀로 개장하였다. 1999년 10월 골프의 대중화를 위하여 퍼블릭 9홀을 신설하였으며, 전국 유일의 노부킹 시스템으로 진정한 회원제 명문 골프클럽으로 자...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생산되는 천마. 천마는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달리 수자해좆·적전(赤箭)·정풍초라고도 한다. 버섯 균에 기생하는 식물로, 자체 광합성 능력이 없어 공생 균인 뽕나무 버섯 균에서 발생한 균사 다발에서 영양을 공급 받는다. 고구마처럼 생겼으며 하늘이 내린 영약으로 알려져 있다. 생마뿐만 아니라 분마, 건마, 천마주 등으로 가공하여 생산하고 있다. 생마는...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명암리에서 샘 주위를 돌며 비를 내리게 해 달라고 지내던 마을 제사. 샘제는 백곡면 명암리에서 가뭄이 들어 곡식의 피해가 심할 때 공동 우물에서 지내는 의식으로, 샘이 마르지 않고 물이 잘 솟도록 축원을 하고 비가 내리게 해 달라는 일종의 기우제이다. 이를 정주제(井主祭), 샘고사, 천제(泉祭), 용왕제(龍王祭)라고도 한다. 진천 지역의 샘제는 마...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 상구부락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 마을 제사. 정호제(井戶祭)는 덕산읍 구산리 상구부락의 영천(靈泉)이라 불리는 동네 우물에서 정월 2일 밤 12시[子時]부터 3일 새벽 1시 사이에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우물고사라고도 하며, 용왕을 신앙 대상으로 하는 마을 공동제(共同祭)로 『진천군지(鎭川郡誌)』에는 정...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부창부락의 우물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용정리 정주제는 초평면 용정리 부창부락에 있는 옛날부터 사용되었던 동네 우물가에서 음력 정월 초 사흗날 정오에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이를 샘고사, 정호제(井戶祭), 용왕제(龍王祭), 천제(泉祭)라고도 부른다. 우물에 제사를...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로마 교구의 주교인 교황을 으뜸으로 삼는 그리스도교의 한 교파. 천주교는 사도(使徒) 베드로의 후계자로서의 교황을 세계교회의 최고 지도자로 받들고 그 통솔 밑에 있는 그리스도교의 교파이다. 이를 ‘구교’, ‘가톨릭교회’ 등이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의 천주교는 1791년 신해박해, 1866년 병인박해 등으로 선교의 어려움을 겪다가 1882년 한미수호...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철을 이용해 도구를 제작·사용던 시기의 역사와 문화. 철기시대라는 명칭은 인류 선사문화의 발달을 석기-청동기-철기문화의 순서로 정리한 톰센[C. J. Thomsen, 1788~1865]의 삼시대법[Three Age System]에서 연원한다. 그러나 삼시대법은 선사시대에나 적용된 것이므로 문자를 사용하거나 당시의 모습을 알려줄 문헌이 많이 남아 있...
-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서화가.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광지(光之), 호는 첨재(添齋)·표옹(豹翁)·노죽(路竹)·산향재(山響齋)·표암(豹菴), 시호는 헌정(憲靖). 1713년(숙종 39) 한양에서 태어나 1791년(정조 15) 세상을 떠났다. 시(詩)·서(書)·화(畵)의 삼절로 불렸으며, 식견과 안목이 뛰어난 사대부 화가였다. 진경산수화를 발전시켰고 풍속화와 인물화를 유행시켰으며...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광전(光前), 호는 쌍청(雙淸) 또는 청당(淸堂). 문간공(文簡公) 유권(柳權)의 14세손이고, 정신공(貞信公) 유승(柳陞)의 11세손이다. 할아버지는 유종수(柳宗壽)이며, 아버지는 유헌민(柳憲民)이다. 유기문(柳起門)은 1589년(선조 22) 생원시에 입격(入格)하였으며, 1601년(선조 34) 식년 문...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석기시대를 벗어나 청동을 이용하여 도구를 제작·사용한 시기의 역사와 문화. 청동기시대라는 명칭은 인류 선사문화의 발달을 석기-청동기-철기문화의 순서로 정리한 톰센[C. J. Thomsen, 1788~1865]의 삼시대법[Three Age System]에서 연원한다. 금속기를 사용하게 되었다는 기술적 진보 외에도, 청동기시대가 되면 세계 몇몇 지역에...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화산리 서낭골마을 앞에 있는 산. 청룡뿌리는 청룡과 뿌리로 나뉜다. 청룡은 풍수지리상 좌청룡(左靑龍)에 해당하므로 주산(主山)에서 뻗어나간 왼쪽 산줄기를 말한다. 뿌리는 부리의 변화형이다. 부리는 백제어 ‘*부리(夫里)’에 소급되는데, 고구려어 ‘*홀·*골[忽]’이나 신라어 ‘*불[火·伐]과 친족어로 여겨진다. ‘부여군본백제소부리군(扶餘...
-
충청북도 진천으로 낙향한 후 도학을 연마한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본관은 풍천(豊川)이며, 자는 치은(稚殷), 호는 현계(玄溪) 또는 청서(靑墅)이다. 녹문 임성주(任聖周)의 문인인 영서(穎西) 임로(任魯)의 아들이다. 1789년[정조 13]에 태어났으며, 1835년[헌종 원년] 음사(蔭仕)로 가감역(假監役)을 시작으로 벼슬에 나가 전라도 창평(昌平)현령·금천(金...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지역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숙구(叔久), 호는 설봉(雪峰)·한계(閑溪)·청월헌(聽月軒). 증조할아버지는 강인(姜璘)이고, 할아버지는 강운상(姜雲祥)이다. 아버지는 강주이며, 어머니는 안동김씨로 김응서(金應瑞)의 딸이다. 부인은 김광수(金光燧)의 딸로 안동김씨이다. 아들은 강선(姜銑)과 강현(姜鋧)을 두었다. 강백년(姜栢年)[1603...
-
고려시대 충청북도 진천이 속해 있던 행정 구역. 청주(淸州)는 919년(태조 2)에 청주로 이름 붙여졌고 983년(성종 2)에 처음으로 12목을 설치했을 때 청주가 그 가운데 하나로 선정되었다. 그 후 1018년(현종 9) 8목으로 정리되었을 때도 청주목(淸州牧)은 충청권역의 행정 중심지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신라 말 중앙정부의 지배력이 약화된 틈을 타 호족이라 불리는...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태락리에 있는 유료 노인 주거 요양 시설. 청주원광효도의 집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주거 및 장기간 요양의 효과적인 노인 복지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9년 9월 9일 건물이 착공되어 2001년 5월 14일에 교육연수 및 노유자 시설로 준공허가를 받았다. 같은 해 8월 7일에는 노인주거복지시설 설치 신고필증을 받았다. 2002년 1...
-
이능희를 시조로 하고, 이정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진천군 세거성씨. 청주이씨(淸州李氏)의 시조 이능희(李能希)는 고려 개국공신으로 벼슬이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에 이르렀다. 시조 이하 대대로 청주(淸州)에 세거(世居)하였고, 또 10세손 이계감(李季瑊)이 고려조에서 낭성군(琅城郡)[옛 청주, 지금의 청원군 낭성]에 봉해졌기 때문에 본관을 청주로 하였다....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에 있는 조선 개국공신 이거이 일가의 공적비. 이거이(李居易)의 본관은 청주이고, 자는 낙천, 호는 청허당이다. 고려 말 문신 이정의 아들로,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고 1393년(태조 2) 우산기상시를 거쳐 판한성부사·문화좌정승에 오르고, 1402년(태종 2) 영사평부사로 서원부원군에 봉해졌으나 대간의 탄핵을 받고 아들 이저(李佇)...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에 있는 청주지방법원 산하 등기소. 청주지방법원 진천등기소는 충청북도 진천군의 등기 사무를 처리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15년 11월 27일 공주지방법원 진천출장소로 개소하였다. 1938년 7월 1일 총독부령 제133호에 의하여 대전지방법원 진천출장소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48년 6월 1일 남조선 과도정부 법령에 의하여 청주...
-
한란을 시조로 하고, 한광윤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진천군 세거 성씨. 『한씨세보(韓氏世寶)』에 의하면 한씨의 연원은 멀리 기자의 41세손 고조선 준왕으로 올라간다. 준왕이 위만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남천하여 금마(金馬)[지금의 익산]에 나라를 세워 한왕(韓王)이라 일컬었다고 한다. 그 후 마한의 마지막 왕인 원왕(元王)에게 한우평(韓友平)·한우성(韓友誠)·한...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에 있는 조선 후기 열녀 청주한씨의 정려각. 한정준(韓庭儁)의 딸인 청주한씨는 독송재(獨松齋) 신잡(申磼)의 9세손 신의양(申義養)과 혼인하여 부부의 연을 맺게 되었다. 청주한씨가 26세 되던 해에 남편인 신의양이 죽자 장례를 마친 뒤 자신도 남편의 허리띠로 목을 매어 따라 죽었다. 이에 1834년(순조 34) 9월 청주한씨의 열행...
-
김대유을 시조로 하고, 김익구와 김준흠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진천군 세거성씨. 청풍김씨(淸風金氏) 시조 김대유(金大猷)는 신라 56대 경순왕 김부(金傅)의 후예인 대장군 김순웅(金順雄)의 12세손으로, 고려 말엽에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내고 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청성(淸城)이 청풍(淸風)으로 개칭됨에 따라 후손들이 본관을 청풍으로 하였다....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낙천(樂天), 호는 청허당(淸虛堂) 또는 청허자(淸虛子). 평장사(平章事) 이공승(李公升)의 6세손으로 문간공 이정(李挺)의 넷째 아들이다. 이거이(李居易)는 1348년(충목왕 4) 지금의 진천군 문백면 사양리에서 태어났다. 고려 말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갔으며, 관직이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낙천(樂天), 호는 청허당(淸虛堂) 또는 청허자(淸虛子). 평장사(平章事) 이공승(李公升)의 6세손으로 문간공 이정(李挺)의 넷째 아들이다. 이거이(李居易)는 1348년(충목왕 4) 지금의 진천군 문백면 사양리에서 태어났다. 고려 말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갔으며, 관직이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에 있는 생활가전 제조업체 청호나이스(주)의 진천 지역 공장. 청호나이스(주)는 미국·호주·동남아·중남미 등 세계 25개국에 정수기, 공기청정기, 정수세정기, 연수기, 제빙기, 비데 등을 제조 판매하고 있다. 사업장으로 본사, 청호나이스 진천공장, CE본사, 청호인재개발원, 사무소 및 플래너지점이 있으며 임직원은 428명이다. 20...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중산리에 있는 닭고기 가공식품 제조업체. (주)체리부로는 최고 품질의 닭고기를 생산함으로써 국민 건강에 기여하고, 아울러 농가의 안정적인 수입 기반을 마련하고자 설립되었다. 1991년 9월 (주)체리부로식품으로 법인 설립되었다. 1993년 2월 진천공장을 준공하였고, 1999년 한국육계유통(주)을 설립하여 수도권 부분육 전문 가공공장을...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중산리에 있는 닭고기 가공식품 제조업체. (주)체리부로는 최고 품질의 닭고기를 생산함으로써 국민 건강에 기여하고, 아울러 농가의 안정적인 수입 기반을 마련하고자 설립되었다. 1991년 9월 (주)체리부로식품으로 법인 설립되었다. 1993년 2월 진천공장을 준공하였고, 1999년 한국육계유통(주)을 설립하여 수도권 부분육 전문 가공공장을...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인간의 신체적 발달을 도와 건전한 생활을 영위하게 하며, 운동능력 및 태도를 기르는 일에 관련된 제반 활동. 근대 이전 우리 민족의 주요 체육 활동은 윷놀이, 널뛰기, 연날리기, 줄다리기, 활쏘기, 그네뛰기, 씨름, 썰매타기, 가마타기, 팽이놀이, 팔씨름 등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근대적 의미의 체육 활동은 1910년대부터 설립되기 시작한 보통학...
-
충청북도 진천군에 있는 초등 보통 교육 담당 기관. 초등학교는 국가에 따라 초등학교, 보통학교, 기초학교, 소학교 등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현대 학교 교육의 제도상 가장 먼저 취학하는 학교로서 국민 생활에 필요한 초보적인 일반 교육을 실시하는 곳이다. 근대 이후 세계 각국에서는 국민 교육이 국가의 기본 기능으로 인식되어 이에 대한 제도적 확립과 확충·강화책이 강구되고 있...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매년 진천문화원 주관으로 개최되던 초등학생 행사. 초등학생민속잔치는 충청북도 진천군 소재 초등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민속놀이를 통해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 한편 애향심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2000년부터 개최하기 시작하였다. 이 행사는 초등학생들이 민속잔치에 참여함으로써 진취적인 기상을 기르고, 더불어 학생과 학부모·교사들이 한데 어우러짐으로써...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오갑리와 덕산면 한천리를 잇는 도로. 지방도 513호선[초평~금왕]은 진천군 초평면 오갑리와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 간 연장 18.3㎞의 2차선 포장도로로서 노견포장은 좌우 각각 16.1㎞이다. 음성군 맹동면 봉현리에서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 간의 2.2㎞와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에서 진천군 덕산면 용몽리 간의 7.8㎞ 등의 노폭은 8m 또는...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과 신통리를 잇는 도로. 지방도는 도내의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간선 도로망으로서 도지사가 노선을 지정하며 관리한다. 지방도 516호선은 1995년 10월 27일 충청북도 고시 제1995-113호의 지방도로 구역 변경 고시와 2003년 1월 17일 충청북도 고시 제1995-113호의 도로 구역 결정[변경] 고시 등에 의거하여 노선 지정령이 제정...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 있는 청주교구 진천성당 소속 공소. 초평공소는 진천군 읍내에 위치한 진천성당에서 미사에 참여하기 어려운 여건에 있는 초평면 지역의 천주교 신자들을 위해 만든 곳으로, 천주교 교리를 전파하기 위해 세워졌다. 초평공소는 1961년 청주교구에서 개척하여 1966년 9월에 설립되었다. 현재 있는 경당은 1978년 1월 새로...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 있는 농공단지. 농공단지란 1983년 제정된 「농어촌소득원개발촉진법」에 따라 농촌 지역에 공업을 유치하여 농촌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기하고, 나아가 지방 재정 확충 및 주민 소득 증대를 통한 도시와 농어촌 간의 지역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조성된 공업단지를 가리킨다. 초평농공단지는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지역의 고용을 창출해...
-
충청북도 진천군에 있는 행정구역. 조선 말기 진천군 초평면 지역으로, 통동리(通洞里)·이곡리·금한리(金閑里)·수문리(水門里)·양촌리(陽村里)·지전리(芝田里)·선암리(仙岩里)·신평리(新坪里)·상영리(上永里)·하영리(下永里)·농촌리(農村里)·부창리(扶昌里)·매산리(梅山里)·죽정리(竹亭里)·수문리(水門里)·구성리(九星里)·어은리(漁隱里)·삼봉리(三峯里)·봉암리(鳳岩里)·용동리...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 있는 장학재단. 초평면민 장학재단은 초평면발전협의회 사무실 내에 있는 장학 지원 단체로 혐오시설을 유치하여 그 출연금으로 지역 인재를 양성하고자 설립된, 출범부터 전국에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모범적인 장학 재단이다. 초평면민 장학재단은 사회 일반의 이익에 공여하는 「공익법인의 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 있는 장학재단. 초평면민 장학재단은 초평면발전협의회 사무실 내에 있는 장학 지원 단체로 혐오시설을 유치하여 그 출연금으로 지역 인재를 양성하고자 설립된, 출범부터 전국에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모범적인 장학 재단이다. 초평면민 장학재단은 사회 일반의 이익에 공여하는 「공익법인의 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화산리에서 초평면 주민자치위원회 주관으로 2년에 한 번씩 개최되는 걷기대회. 초평면 주민자치위원회는 주민 화합과 주민 자치 역량 제고는 물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부대 행사로 진행되는 붕어찜 무료시식회를 통하여 청정 초평의 대표적 향토음식인 붕어찜의 대외적인 이미지 제고와 초평저수지 등 주변의 관광 요소를 홍보하기 위하여 2004년...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 있는 초평면 관할 행정 기관. 초평면사무소는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초평면은 본래 진천군의 지역으로 통동, 이곡, 금한, 수문, 양촌, 지전, 선남, 신평, 상영, 하영, 농촌, 부창, 매산, 죽정, 수문, 구성, 어은, 삼봉, 봉암, 용동...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에서 초평붕어마을 음식업번영회 주관으로 개최되는 축제. 초평붕어마을 붕어찜축제는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의 향토음식인 붕어찜의 이미지를 강화하고, 지역의 문화·관광과도 연계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2009년 11월 14일 붕어마을 주차광장에서 개최되었다. 앞으로도 매년 축제를 개최하여 향토음식인 붕어찜을 널리 알리는 계기로 삼을 계획이다....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초평저수지 일대에 붕어마을을 조성하기 위한 사업. 초평붕어마을 조성사업은 향토음식점 붕어마을이라는 관광 이미지 제고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전개되었다. 초평붕어마을 조성사업은 도비 5,000만 원과 군비 5,000만 원 등 총 1억 원을 들여 조형물을 설치하고 홍보 안내 표지판 등을 설치한 사업이다. 붕어 형상을 오석으로...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초평저수지 일대에서 붕어를 통째로 쪄서 만드는 향토음식. 충청북도 진천군에서도 경치가 좋기로 소문난 초평저수지 일대에는 민물생선을 이용한 요리를 만드는 업소가 성업 중이다. 두타산 자락에 위치한 초평저수지의 신선한 바람과 호반의 아름다운 경치는 담백하고 맛좋은 붕어찜을 한층 더 별미로 만드는 요소가 된다. 초평붕어찜은 진천군의 대표적인...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서 매월 2일과 7일에 열렸던 시장. 초평장(草坪場)은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생곡마을에 있었는데 생곡(生谷)은 마을 형성 당시 경주이씨가 대성을 이루고 있었다. 경주이씨 9대조의 호가 생곡이므로 동명을 생곡이라 하였다. 생곡은 날터로 변하였고 초평장이 서게 되자 다시 장터로 변하였다. 초평장은 초평면 일대의 주민들에게...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보현산에서 발원하여 진천군 초평면 신통리에서 초평저수지에 유입되었다가 문백면 평산리 평사마을에서 미호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초평천(草坪川)이 흐르는 초평면은 진천군의 동부에 자리 잡고 있다. 동쪽으로 괴산군, 서쪽으로 미호천을 사이에 두고 문백면·덕산면, 남쪽으로 청원군, 북쪽으로 음성군과 이웃하고 있다. 초평천은 초평과 천으...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민주 시민 의식을 익혀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는 마음과 태도를 기르는 도덕인, 자신의 소질과 특기를 남과 다르게 가꿀 줄 아는 능력을 기르는 심미인, 기초 기능을 갖추어 생각이 깊고 창의적인 생활을 하는 능력을 기르는 창의인, 보건과 안전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여 강인한 정신과 몸을 기르는 건강인, 다양한 학습 경험...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민주 시민 의식을 익혀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는 마음과 태도를 기르는 도덕인, 자신의 소질과 특기를 남과 다르게 가꿀 줄 아는 능력을 기르는 심미인, 기초 기능을 갖추어 생각이 깊고 창의적인 생활을 하는 능력을 기르는 창의인, 보건과 안전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여 강인한 정신과 몸을 기르는 건강인, 다양한 학습 경험...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화산리에 있는 카누 경기장. 1990년 제71회 전국체육대회를 개최하면서 경기장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초평카누경기장을 건립하였다. 2003년 시설이 낡고 협소한 초평카누경기장을 증·개축하여 2004년 전국체육대회를 개최하였고, 현재는 충북카누협회에서 위탁 관리하고 있다. 초평카누경기장은 연면적 568㎡의 지상 3층 건물로, 수중 경기장은...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합목리에 있었던 수박작목반. 총각네수박작목반은 안전한 농산물 재배를 통해 건강을 위하고, 농산물의 고부가 가치를 위한 환경 농업을 실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총각네수박작목반은 친환경 농업의 실천으로 소비자가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체험 학습장 운영과 유기농 수박 재배로 소비자가 직접 찾는 농장을 만들었다. 그리고 좋은 농산물 생...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화순(和順). 충절공(忠節公) 최영유(崔永濡)의 8세손이다. 화순최씨(和順崔氏)의 시조는 최세기(崔世基)이다. 고려시대에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그가 화순의 옛 이름인 오산(烏山)에 봉해짐으로써 화순을 관향으로 삼게 되었다. 최세기와 같이 몽골군의 침입 때 공을 세우고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최부(崔傅)를 함께 시조로 삼기도 한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이자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조선왕조 개국원종공신 평도공(平度公) 최유경(崔有慶)의 9세손이며, 효자 최사립(崔斯立)의 증손이다. 최사립 이후 최면성에 이르기까지 자손이 모두 효행으로 이름을 얻었다. 최면성(崔勉誠)은 사마시(司馬試)의 양과, 즉 생원시·진사시에 모두 합격하였으나 광해군 대의 혼란기를 맞이하여 벼슬을 구하지 않았다...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활동한 조선 후기의 유학자 본관은 완산이다. 호는 복재(服齋)이다. 전재(全齋) 임헌회(任憲晦)[1811~1876]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平山里)에서 살면서 평생 유학 연구에 종사하였다. 사후(死後) 임헌회의 제문을 받았다....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전주. 평도공(平度公) 최유경(崔有慶)의 6세손이다. 아들은 최덕순(崔德恂)이고, 손자는 최기(崔基)이다.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은 전주최씨의 주요 세거지이다. 최사립(崔斯立)은 군수를 지냈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중종 때에 정문이 세워졌으며, 아들인 최덕순도 군수를 지냈고 효성이 지극하여 선조 때에 정문이 섰다. 손자 최기는...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평도공(平度公) 최유경(崔有慶)[1343~1413]의 여섯째 아들이다. 최유경은 1406년(태종 6) 참찬의정부사가 된 뒤 사임하고 진천군 초평면 죽정마을로 내려와 스스로 죽정(竹亭)이라 부르며 한가로이 여생을 보냈다. 최사흥(崔士興)은 효성이 지극하여, 충청도 대흥현감무로 있을 때 부친상을 당하자 벼슬을 버리...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석만(錫萬), 자는 여시(汝時)·여화(汝和), 호는 존와(存窩)·명곡(明谷). 증조할아버지는 최기남(崔起南)이고, 할아버지는 영의정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최명길(崔鳴吉)이며, 아버지는 한성좌윤 완릉군(完陵君) 최후량(崔後亮)이다. 어머니는 안헌징(安獻徵)의 딸이다. 응교(應敎) 최후상(崔後尙)에게 입양되었다....
-
충청북도 진천군 출신의 연극인이자 기자. 최석하(崔錫夏)는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1935년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신정리 원앙골에서 최만석의 7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최석하는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상산초등학교를 다닐 때에는 칠판 가득 채워진 문제와 답을 그 이튿날 전부 암기했다는 말이 전해진다. 최석하의 부모는 어려운 형편이었지만, 못 배운...
-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경지(慶之), 호는 죽정(竹亭). 할아버지는 선부전서 상호군을 지낸 최득평(崔得枰)이고, 아버지는 감찰대부 최재(崔宰)이며, 어머니는 무안군부인 박씨로 군부정랑을 지낸 박윤류(朴允鏐)의 딸이다. 최유경(崔有慶)[1343~1413]은 1372년(공민왕 21) 판도사좌랑이 되어 각도의 의염(義鹽...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에 있는 조선 전기 효자 최유경·최사흥 부자의 정려각. 전주 출신인 최유경(崔有慶)[1343~1413]은 공민왕 대에 사헌장령(司憲掌令), 우왕 대에 전법총랑(典法摠郞)·양광도안렴사(楊廣道按廉使) 등을 거쳐 조선 왕조가 개창된 후에는 원종공신(原從功臣), 경기·충청도의 도체찰사를 거쳐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판한성부사(判漢城府使...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증조할아버지는 지군사(知郡事) 최극함(崔克咸)이다. 최제두(崔濟斗)가 태어난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은 전주최씨의 주요 세거지이다. 최제두는 10세에 부모를 여의고 할머니 밑에서 성장하였다. 할머니가 마마를 앓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내어 약과 함께 마시게 하였는데, 손가락을 끊는 고통을 이기지 못하고 기절하였다가...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증조할아버지는 효자 최주민(崔柱旻)이다. 최종운(崔宗運)이 태어난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은 전주최씨의 주요 세거지이다. 최종운은 여섯 살 어린 나이에 어머니를 여의었는데, 너무 어려서 상을 치르지 못한 것을 평생의 한으로 여기다가 어머니의 사갑(死甲)을 맞던 해에 3년 복을 추복(追服)하였다. 또한 아버지의 병...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할아버지는 최기(崔基)이다. 최주민(崔柱旻)은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었으나 작은아버지를 친아버지처럼 모셨다. 어머니가 병이 나자 종기를 입으로 빨아내어 완쾌하게 하였고, 손수 약맛을 보아 봉양하였다. 숙종(肅宗) 때 정려가 내려졌다. 최주민의 할아버지 최기, 고조할아버지 최덕순, 증조할아버지 최사립도...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열녀. 본관은 평산(平山). 남편 최혼(崔焜)은 지사(知事) 최극성(崔克誠)의 손자로서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신씨는 남편 최혼이 병으로 자리에 눕자 자신의 손가락을 베어 피를 마시게 하는 등 병간호에 정성을 다하였다. 그러나 결국 남편이 죽자 만 1년 뒤 기제사를 마친 후 곡기를 끊고 남편을 따라 세상을 떠났다. 1699년(숙종 25)...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출생하여 활동한 조선 후기의 유학자이며 효자. 본관은 전주이며, 자는 성습(聖習)이다. 조선왕조 개국원종공신 평도공(平度公) 최유경(崔有慶)의 13세손으로 부친은 최수남(崔守南)이다. 진천에 거주하였으며 1852년(철종 3) 식년 생원시에 56세로 합격하였다. 학문이 뛰어나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일찍이 어머니가 숙환을 앓게 되자 몇 해 동안...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태락리에 있는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 역참 터. 고려시대에 충청주도(忠淸州道)에 속한 역참의 하나로 퇴량역(堆糧驛)이 설치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충청좌도 율봉도 찰방 소속의 대랑역(臺郞驛)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진천현조에는, 민간에서 추량역(推糧驛)을 태량(台量) 또는 태랑(台郞)으로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를...
-
고려 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달부(達夫), 호는 추월재(秋月齋). 고려 태조 때의 공신인 이희능(李希能)의 6세손이다. 이공승(李公升)은 어려서부터 총명하였으며 문장이 탁월하였다. 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직한림원(直翰林院)이 되었으며, 뒤이어 우정언(右正言)을 지냈다. 1148년(의종 2)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로서 사신이 되어 금...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이루어지는 가축을 사육하거나 그 생산물을 가공하는 산업 활동. 축산업은 토지의 생산력을 기반으로 각종 가축을 사육하고 그 생산물을 가공하여 인간의 실생활에 필요한 물질을 생산·공급하는 사업을 의미한다. 여기서 축산업을 축산물의 생산은 물론 그 생산된 축산물을 가공 또는 처리하여 유통하는 전 과정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
고려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초명은 춘길(春吉), 호는 사암(思庵). 문정공(文貞公) 이공승(李公升)의 5세손으로 할아버지는 판도총랑(版圖聰郞) 이창우(李昌祐)이고, 아버지는 낭성군(琅城君) 이계함(李季瑊)이며, 어머니는 도첨의참리(都僉議叅理) 김련(金聯)의 딸이다. 부인은 통례부사(通禮副使) 김계초(金繼貂)의 딸이다. 아들로 이거이(李居易)가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에 있는 댄스 스포츠 동호회. 춤사랑한마음동호회는 진천군의 여성 단체로서 주로 댄스 스포츠를 연습하고 공연하고 있다. 댄스 스포츠는 일반 사교댄스와는 다른 춤으로 운동량도 많아 에너지 소비가 크기 때문에 여성들의 다이어트 운동으로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춤사랑한마음동호회는 명칭 그대로 춤을 사랑하고 춤을 배워 운동 효과도 높이며 다양...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남지의 묘소 및 신도비. 남지(南智)[?~?]의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지숙(智叔)이다. 세종~단종 대의 문신으로, 영의정 남재(南在)의 손자이다. 좌의정으로 있을 때 황보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와 함께 문종으로부터 단종을 보필하라는 고명(顧命)을 받았으나 풍질로 낙향하였다가 병사하였다. 남지가 죽은...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은탄리에 있는 충북대학교 천문대. 충북대학교 천문대는 천문 우주 과학과 관련된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08년 4월 17일 개관하였다. 천문 우주 과학에 관한 교육 및 연구, 우주 관측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인력 양성, 국제 협력 및 공동 연구와 기타 천문대의 목적에 부합되는 사업과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지역 사회의 청소년과...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은탄리에 있는 충북대학교 천문대. 충북대학교 천문대는 천문 우주 과학과 관련된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08년 4월 17일 개관하였다. 천문 우주 과학에 관한 교육 및 연구, 우주 관측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인력 양성, 국제 협력 및 공동 연구와 기타 천문대의 목적에 부합되는 사업과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지역 사회의 청소년과...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에 있는 외국인 이주 노동자 지원 기관. 충북외국인이주노동자지원센터는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 이주 노동자들의 인권 보호와 함께 한국에서 안정적인 정착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6년 7월 외국인형제의 집으로 처음 시작되어 충북외국인이주노동자지원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 569번...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은탄리에 있는 청소년 종합 수련 기관. 충청북도 학생종합수련원은 체험학습 위주의 테마별 선택 프로그램, 실천력을 중시하는 해양 탐구 활동 프로그램, 기타 각종 특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하여 진취적이고 창의적인 청소년 육성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6년 9월 30일 부지 매입, 1987년 4월 3일 「진천종합야영장 설치...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사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이성문 부부의 정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반란 때 의병으로 참가했던 이성문이 죽은 후 아내 정씨가 남편의 전사 소식을 듣고 달려가 시신을 찾았다. 그러나 운구할 길이 없어 울면서 목을 베어 치마에 싸서 귀향한 후 진천군 백곡면 사송리에 묻었다. 삼년상이 끝난 후에 남편의 무덤 앞에서 자결하여 남편을 뒤를 따라갔다...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에 있는 장애인 복지 단체. 충청북도 지체장애인협회 진천군지회는 지역 장애인들의 권익 옹호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설립되었다. 1989년에 설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장애인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상담, 각종 생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장애인 활동 보조 사업과 재가 중증 장애인 및 거동이 불편한 독거노인을...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 있는 진천군 관할 교육 행정 기관. 충청북도 진천교육지원청은 충청북도 진천 지역의 교육·학예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52년 5월 24일 「교육법」 제20조에 의한 진천군 교육위원회의 구성에 이은 6월 4일의 시·군 교육자치제 실시와 더불어 7월 1일 진천군 교육구 개청식이 거행 되었다. 같은 해 8월 8일...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은탄리에 있는 청소년 종합 수련 기관. 충청북도 학생종합수련원은 체험학습 위주의 테마별 선택 프로그램, 실천력을 중시하는 해양 탐구 활동 프로그램, 기타 각종 특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하여 진취적이고 창의적인 청소년 육성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6년 9월 30일 부지 매입, 1987년 4월 3일 「진천종합야영장 설치...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자는 용구(用九), 호는 지비재(知非齋) 또는 지비자(知非子). 증조할아버지는 채흥선(蔡興先)이고, 할아버지는 채정간(蔡廷侃)이다. 아버지는 진사 채진형(蔡震亨)이며, 어머니는 김몽정(金夢禎)의 딸이다. 1612년(광해군 4) 아버지 채진형이 우거한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용몽리 몽촌마을이 가문의 근거지이다....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에 있는 진천 출신 전몰군경들의 위패를 봉안한 탑. 본래 1945년 이후부터 한국전쟁 당시 전사한 진천 출신의 국군장병·경찰·군속 등의 호국영령 419위를 초평면 영구리 영수사(靈水寺)에 봉안하여 왔다. 이후 1965년 진천읍 읍내리 산3-2번지 정상에 충혼탑을 건립하고 458위의 영령을 봉안해 오다 1994년 6월 16일 현재 자리인 진천읍...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양성(陽城). 자는 치영(稚英). 진사(進士) 이몽길(李夢吉)의 후손이다. 양성이씨(陽城李氏)의 시조 이수광(李秀匡)은 중국 송나라 사람으로 고려에 와서 문종 대에 벼슬길에 올라 삼중대광보국(三重大匡輔國)에 이르렀고, 양성군(陽城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갑자보(甲子譜)』 세록(世錄) 편에 의하면 능란한 외교술로 거란[契丹]과 외교를...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신영희(申英熙)는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치옥(致玉), 호는 고송(孤松)으로 ‘신영희(申瑛熙)’라고도 쓴다. 1882년(고종 19) 지금의 진천군 이월면에서 출생하였다. 1919년 서울에서 일어난 3·1운동이 전국적으로 파급되면서 진천군에서도 3월 15일과 4월 2일~3일에 독립만세 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신영희는 여기에 적...
-
충청북도 진천으로 낙향한 후 도학을 연마한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본관은 풍천(豊川)이며, 자는 치은(稚殷), 호는 현계(玄溪) 또는 청서(靑墅)이다. 녹문 임성주(任聖周)의 문인인 영서(穎西) 임로(任魯)의 아들이다. 1789년[정조 13]에 태어났으며, 1835년[헌종 원년] 음사(蔭仕)로 가감역(假監役)을 시작으로 벼슬에 나가 전라도 창평(昌平)현령·금천(金...
-
개항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치정(致正), 호는 명와(明窩). 양경공(良景公) 정희계(鄭熙啓)의 17세손이다. 정규해(鄭糾海)는 타고난 품성이 청렴결백하고 강직하였으며 효성 또한 지극하여 부모를 극진히 모셔 소문이 났다. 회당(晦堂) 윤응선(尹應善)[1854~1924]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학문이 높았다. 공부한 것을 토대로 정주(...
-
개항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치중(致中), 호는 효운(曉雲). 상촌 김자수(金自守)의 17세손이다. 김윤제(金潤濟)는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총명하여 경사(經史)에 두루 능통하였다. 고종 때 궁내부에 들어가서 벼슬을 하였다. 하지만 서양 열강들의 이권 침탈이 격화되고 일제의 침략 의도가 노골화되자 사직한 뒤 고향인 진천군 문백면 사양...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칠장산에서 발원하여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광혜원리·월성리, 이월면 사당리를 거쳐 미호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칠장천(七長川)은 칠장과 천으로 나뉜다.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칠장산(七長山)에서 발원하므로 붙은 이름인데 칠장리나 칠장산이란 지명의 어원은 알 수 없다. 다만 칠장산에 있는 칠장사(七長寺)는 고려 초 혜초국사가 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