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 분포하는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지형. 해남군의 산들은 지리산 노고단에서 출발하여 서남부의 해남반도로 뻗어있는 소백산맥의 서부 지역에 속하며, 영암의 월출산을 돌아 해남반도에 이어져 북쪽의 여러 산들이 만들어져 한반도 남단 땅끝에 이른다. 해남 지역의 산지는 전체적으로 1,000m 이하 낮은 지형의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고서저형의...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가학리와 영암군 학산면 학계리 경계에 있는 산. 가학산(駕鶴山)[575m]은 험준한 바위산으로 유명하며, 계곡면의 진산(鎭山)이다. 호남정맥에서 분기한 땅끝기맥의 별뫼산에서 계곡면 남서쪽으로 길게 뻗어내려 동서 좌우로 벌린 흑석지맥(黑石支脈)에 위치한 산이다. 월출산국립공원 남쪽의 별뫼산에서 서쪽으로 질재·가학산·흑석산으로 이어지면서 해...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에 있는 산. 한반도 최남단 땅끝에 위치한 산이다. 갈두산(葛頭山)[156m]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산수관에 따르면 백두대간에서 뻗어내린 호남정맥의 한줄기인 땅끝기맥의 끝이다. 호남정맥 마루금인 화순 국사봉 바람재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내린 산줄기를 땅끝기맥이라고 한다. 국사봉에서 시작하는 기맥은 월출산, 월각산, 흑석산, 서기산,...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관동리와 무학리에 걸쳐 있는 산. 관두산(館頭山)[177m]은 해남군 화산면 해안가에 있으며, 조선시대에 봉수대가 있었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봉수가 있다. 두륜산에서 뻗어 나온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여지도서』 봉수 조에 의하면 관두산의 봉수는 서쪽으로는 진도의 여귀산(女貴山) 봉수로 신호를 보내고, 남쪽으로의 영암의 마산(...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원호리와 일신리에 걸쳐져 있는 산. 풍수지리에서 나라의 국사(國師)가 나올 만한 터가 있는 산이라 한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땅끝기맥에서 뻗어내린 화원지맥에 속한다. 원호천의 발원지이다. 지층은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되었고, 분류산성암층 산성분류암질 응회암이며, 대표암상은 산성분류암질 응회암이다. 국사봉(國師峰)의 높이...
-
전라남도 해남읍 구교리, 수성리, 해리와 마산면 장촌리의 경계에 있는 산. 금강산(金剛山)[488m]은 해남읍의 500여 년의 역사를 지켜 온 해남읍의 진산(鎭山)이다. 마산면의 맹진과 화내를 경계 짓는 만대산(萬垈山)과 옥천면과 해남읍을 경계 짓는 만대산은 금강산의 줄기에서 갈라진 산들이다. 조선 전기 문신 유희춘(柳希春)[1513~1577]의 호가 미암(眉...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송지면 서정리와 북평면 서홍리에 걸쳐 있는 산. 달마산(達磨山)[470m]은 호남정맥에서 뻗는 기맥이 한반도 최남단으로 가기 전 해남군 남단에서 암릉(巖陵)으로 솟은 산이며, 송지천의 발원지이다. 달마산에 관한 최초의 지리지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영암군 산천조이다. 달마산은 이미 고려시대 이전에도 그 명성이 중국에까지...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삼산면 상가리·옥천면 영춘리에 걸쳐 있는 산. 덕음산(德陰山)은 옥천천(玉泉川)의 발원지이고, 해남읍 연동리(蓮洞里)의 주산(主山)이다. 덕음산 주변에 사는 사람들은 덤벙산으로 부른다. 덤벙산을 한자로 차자하여 덕음산(德陰山)이라고 명명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 온다. 덕음산은 땅끝기맥에서 뻗어내린 화원지맥에 속...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북일면·북평면·옥천면·현산면·화산면에 걸쳐 있는 산. 두륜산(頭輪山)의 지명은 정약용이 편찬한 『대둔사지(大芚寺地)』에 의하면 백두산에서 두(頭), 중국 곤륜산에서 륜(輪)을 빌어서 붙인 것이라고 한다. 한편 『1872년 지방지도』[해남현]에는 지금의 두륜산에 있는 대둔사가 기재되어 있는데 절 이름을 따서 대둔산(大芚山)이라고 하였다....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 옥천면 영신리와 마산면 장촌리, 송석리, 맹진리에 걸쳐 있는 산 만대산(萬代山)은 해남읍의 진산인 금강산과 이어지는 산인데, 봉우리가 서로 떨어져 두 군데에 걸쳐 있다. 『대동지지』[1865]에 처음으로 나온다. 『호남읍지』[1872]에 따르면 “현의 북쪽 13리[약 5.11㎞]에 있다. 금강산에서 꿈틀거려서 나와서 북으로 굴러...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만안리·구시리와 현산면 원진리·충리·송정리에 걸쳐 있는 산. 병풍산(屛風山)[310m]은 현산천의 지류인 문소천(聞簫川)의 발원지이다. 병풍산 자락 문소천과 수정동에서 발원한 물은 구시저수지에 유입된 후 현산천으로 유입된다. 산의 모양이 마치 병풍처럼 생겼다고 한 데서 병풍산 이름이 유래되었다. 병풍산은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황죽리와 강진군 강진읍 서산리에 걸쳐 있는 산. 『해남군지』[1925]에 “군의 동쪽 30리[약 11.78㎞]에 있다. 강진 경계에 웅거하는데 사찰 유적이 많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해남의 가장 동쪽에서 해가 뜨는 곳으로 인식되어 서기산(瑞氣山)이라는 명칭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서기산[515.3m]에는 땅끝기맥이...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옥동리와 문내면 용암리 경계에 있는 산. 옥매산은 지질학적으로 진도의 해양판과 화원반도의 등줄맥이 갈라지는 분기점에 해당한다고 한다. 옥매산은 조선시대에 옥(玉)을 생산하고, 전라우수영의 관아나 군함를 만드는 데 필요한 목재를 공급하는 국가 봉산(封山)이었다. 또 명량대첩의 승전지로 잘 알려진 울돌목의 입구에 있어 왜적의 동태를 감시하고...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금평리·영호리·후산리에 경계에 있는 산. 운거산(雲居山)은 항상 산이 구름 속에 잠겨 있다 하여 붙여졌다. 땅끝에서 뻗어 내린 화원지맥에 속한다. 청룡천과 후산천의 발원지이다. 산자락에 수백 년 묵은 울창한 비자나무 숲이 장관을 이룬다. 2011년 8월 26일 해남 서동사 동백나무·비자나무 숲(海南瑞洞寺冬柏나무·榧子나무숲)은 천연기념물...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고당리와 화원면 장춘리, 청룡리, 성산리에 걸쳐 있는 산. 일성산(日星山)[335m]은 호남정맥(湖南正脈)에서 분기한 땅끝기맥[土末岐脈]에서 뻗어내린 화원지맥(花源枝脈)에 속하며, 문내면 고당리와 화원면 장춘리, 성산리의 진산이다. 일성산이 높아서 해가 뜰 때 산 뒤에서 솟아오르는 것 같고, 별이 뜨면 별이 산 봉우리에 걸려...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옥천면, 북일면과 강진군 신전면, 도암면에 경계에 있는 산. 주작산(朱雀山)[429.5m]은 긴 바위능선이 많고 정상에서 다도해가 한눈에 보이는 산이다. 해남군 북일면 흥촌리 오소재에서부터 시작한다. 능선을 따라 용굴바위, 강진 신전면 주작산 정상, 기름바위, 주작산자연휴양림, 덕룡산까지 이어진다. 능선의 길이는 약 12㎞이며 기암괴석...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남송마을과 해남읍 안동리 사이에 있는 산. 호산(葫山)[193m]은 해남읍 연동리 남송마을과 안동리의 진산이며, 풍수지리상 옥녀탄금형(玉女彈琴形) 형국을 보이는 해남읍의 안산(案山)에 해당한다. 『호남읍지(湖南邑誌)』에 “군의 남쪽 5리[약 1.86㎞]에 있다. 군의 앞산 안산이다. 산 위에 소나무 세 그루가 있는데, 세칭 형제송...
고개
-
전라남도 해남군의 읍면과 마을 또는 인접 시군을 연결하는 산 사이와 봉우리 사이의 낮은 부분. 해남에는 오래된 역사와 사연을 간직한 고개[재]들이 많다. 시대가 흐름에 따라서 재의 위치와 높이도 변경되기로 하고, 재 아래로 터널이 통과한다. 『대둔사지』[1823]에서는 높은 재를 령(嶺)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령(嶺)은 보통 ‘재’[예컨대 대관령]를 뜻하나,...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이진리 및 남창리와 현산면 월송리의 경계에 있는 고개. 닭골재를 경계로 해남군 북평면과 현산면이 나누어진다. 큰닭골재[68m]는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에서 현산면 월송리로 넘어오는 재이며, 원닭골재[100m]는 북평면 이진리에서 현산면 월송리로 넘어오는 재이다. 원닭골재는 월송에서 북평 이진마을로 넘어 다녔던 작은 재다. 지금은 임도가 나...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장춘리와 청룡리 경계에 있는 고개. 고개가 어찌나 가파랐던지 병아리가 찔끔찔끔 울고 넘었다고 하여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삥아리 잔등’이라고도 부른다. 일성산 자락에 줄기에 위치한 고개이다. 고개 높이는 40m이다. 병아리재는 화원면 장춘리 사람들이 목포를 가거나 화원5일시장을 가기 위하여 넘어 다녔던 고개다. 지금은 완...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성산리와 강진군 도암면 지석리를 잇는 고개. 병치재(兵峙재)는 해발 100m의 고개로서, 해남과 강진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옥천면 성산리에서 병치재를 넘으면 바로 강진군 도암면이 나온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 해남 옥천 성산뜰에서 의병과 왜군 사이에 전투가 일어났던 곳이다. 의병들과 중무장한 일본군과의 전투는 숱한 사상자...
-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흥촌리에서 북평면 동해리로 넘어 가는 고개. 쇠노재(金弩재)는 옛날 숲이 깊고 길이 좁아 도적과 호랑이가 많았다고 한다. 호랑이를 잡기 위하여 쇠로 만든 덫을 놓았다 하여 쇠 금(金) 자와 덫 노(弩) 자를 써서 쇠노재 명칭이 유래되었다. 원래 쇠노재[197m]는 두륜산 봉우리 중 하나인 투구봉 아래를 지나 북일면 삼성마을로 연결되는 곳...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 학동마을에서 마산면 장촌리로 넘어가는 고개. 조선시대 마산면 장촌리에는 해남을 좌지우지하는 토호세력이 살고 있었다고 한다. 해남에 부임해온 현감들은 토호세력의 눈 밖에 나지 않기 위하여 매일 아침 아침재를 넘어 문안인사를 다녔다고 한다. 현감들이 아침마다 문안 인사를 가기 위하여 넘어 다녔다고 하는 데서 아침재 이름이 유래되었다. 조치(朝峙...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평활리와 옥천면 용동리에서 북일면 흥촌리로 넘어 가는 재 오소재(烏巢峙)[170m]는 오시미재, 오소재(烏所峙)라고도 한다. 오소재는 넓게 보아 두륜산과 주작산의 경계를 이루며, 오소재 정상은 두륜산과 주작산을 오르는 산행 들머리다. 오소재에서 두륜산도립공원 자락에 있는 북미륵암으로 넘어가는 재를 오심재(悟心峙)[쇄기재]라 한다....
-
전라남도 해남읍 해리와 옥천면 영춘리 경계에 있는 고개. 우슬재는 해남읍 해리와 옥천면 영춘리 경계에 있는 고개이다. 우슬재[牛膝峙]에 대한 기록은 1925년 편찬 『해남군지』에 “군의 동쪽 10리[약 3.93㎞]에 있다. 즉 금강의 중맥으로 금강 즉 군의 진산인 미암의 상맥이다. 옛날의 관로는 군의 경계인 가치현(加峙峴)[지금의 삼산면 상가리 구렁목재]이 길...
하천
-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일정한 유로를 가지고 지표를 흐르는 물줄기. 해남 지역은 두륜산[700m], 대둔산[670.2m], 달마산[470m], 운거산[300m], 갈두산[160.0m] 등이 연봉을 이루고 있는 북동-남서 방향의 소백산 말단에 위치하고 있다. 구릉지와 간척평야가 분포하고 있는 서남부는 하천 발달이 미약한 편이며, 산지 지역을 이루는 북동부 지역을...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당산리 북쪽 벌매산과 가학산에서 발원하여 금호호를 거쳐 서해로 흘러드는 하천. 계곡천은 계곡면 당산리 북쪽의 벌매산[465m]과 가학산[575m]에서 발원하여 남류하다가 장소리와 강절리 분지에서 사행하다가 서쪽으로 흘러 성진리를 관류한 후 다시 사행천을 이루어 금호호로 유입한다. 계곡면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계곡천...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만안리의 북쪽 산지에서 발원하여 남해로 흘러가는 하천. 구산천(九山川)은 해남군 현산면 만안리의 북쪽 산지에서 발원하여 현산천과 합류한 후 약 2.5㎞ 남류하여 백포방조제를 통해 남해로 유입하는 지방하천이다. 상류는 두륜산도립공원의 일부로 지정되어 있다. 구산리(九山里) 일대에서 조산천과 합류하고, 좌안에 비교적 넓은 평야를 이루면서 서...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용동리에 위치한 첨봉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흘러가는 하천. 삼산천(三山川)은 해남군 옥천면 용동리에 있는 첨봉[354m]에서 발원하여 구림천과 화내천, 대흥사천과 각각 합류하여 고천암호에 유입한 후 서해로 흘러가는 지방하천이다. 동경 126° 36′ 6″~126°41′ 19″, 북위 34° 27′ 10″~34° 32′ 46″사이에 위치하고...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백호리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유입하는 하천. 옥천천은 해남군 옥천면 백호리에서 발원하여 대산천과 월평천 등과 합류한 후 서해로 유입하는 지방하천이다. 옥천면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옥천천 유역은 해남군 옥천면, 계곡면 성진리 등 성진리 일부, 마산면 맹진리, 송석리 등 마산면 일부와 강진군 도암면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으...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 금강산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유입하는 하천. 해남천(海南川)은 해남군 해남읍 해리 금강산(金剛山)[488m]에서 발원하여 금강저수지를 거쳐 해남읍 시가지를 관류한 후 해남읍 남동리에서 남송천과 합류하여 고천암호로 유입하는 소하천이다. 해남 주민들은 금강천이라고도 부른다. 상류에는 죽산성이 있고, 해리 일대에는 금강저수지가 축조되어 있...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만안리 북쪽 산지에서 발원하여 남해로 흘러가는 하천. 현산천은 해남군 현산면 만안리 북쪽 산지[276m]에서 발원하여 구시저수지로 유입된 후 구시저수지로부터 2㎞ 하류 지점에서 고현천과 합류하여 남쪽으로 관통하여 흐른다. 그리고 일평리를 지나 읍호리와 초호리 일대에서 넓은 평야를 이루다가 백방산을 끼고 서쪽으로 흘러내린 후 하구로부터 2...
섬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에 속하였던 섬. 해남군 산이면에 속하였던 섬이었으나 1993년 육지와 연결되었으며, 현재 해남군 산이면 금호리에 속하여 있다. 면적은 5.4㎢, 해안선 길이는 2.9㎞였다. 금호도(錦湖島)는 1450년(세종 32)에 관제 개편에 따라 현이 폐지되면서 무안현 문내방에서 해남군 화원방으로 이속하였다가 1906년에 산이면에 편입되었...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삼마리에 속하는 섬. 삼마리(三馬里)의 삼마도 중에서 가장 위쪽에 있어서 상마도(上馬島)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삼마도는 섬들의 모양이 말의 형태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1872년 지방지도』「해남」도엽에 상마로도(上馬路島), 중마로도(中馬路島), 하마로도(下馬路島)의 섬 세 개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옛 이름은 마루섬,...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주광리에 속한 섬. 시하도(時下島)에 사는 사람들이 밤이면 섬에 불을 밝혔는데, 시하도 주변을 지나던 사람들이 그 불빛으로 시하도 주변 조수간만의 차이를 보고 시각을 알 수 있었다고 한다. 조수간만의 차이를 이용하여 배를 섬에 정박하였다가 다시 출발하여 화원반도와 가까운 육지쪽 마을을 주광리(周光里)로 부르고 섬 전체를 시하도(時下島)로...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어란리에 속하는 섬. 어불도(於佛島)는 섬의 모양이 부처와 비슷하다고 해서 ‘어불도(於佛島)’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18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영남호남연해형편도(嶺南湖南沿海形便圖)』에는 ‘어불도(棜佛島)’로 표기되어 있다. 다른 기록을 보면 『1872년 지방지도』 「영암」에는 물고기 어(魚)를 사용하여 ‘어불도(魚佛島)’로 표기되어...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예락리에 속하는 섬. 임하도(林下島)는 1930년대부터 섬에 삼림이 울창하여 지어진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는 섬의 형태가 말과 닮았다 고해서 이마도(二馬島)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임하도는 1800년경 하동정씨와 김해김씨가 배를 타고 가던 중 풍랑을 만나서 임하도에 들어와 살게 되면서 마을이 만들어졌다고 알려져 있다....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삼마리에 속하는 섬. 삼마군도(三馬群島) 중에서 상마도와 하마도의 중간에 있어 중마도(中馬島)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1872년 지방지도』「해남」도엽에 상마로도(上馬路島), 중마로도(中馬路島), 하마로도(下馬路島)의 섬 세 개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마루섬으로 불리기도 하였고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 마뢰도(磨賴島)로 표...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삼마리에 속하는 섬. 삼마리(三馬里)의 삼마도 중에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여 하마도(下馬島)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삼마도는 섬들의 모양이 말과 비슷한 형태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하마도는 마루섬, 하마로도(下馬路島), 마뢰도(磨賴島)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1872년 지방지도』 「해남」 도엽에 세 섬의 명칭이 상마로도(上馬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