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역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이필 등을 중심으로 집장된 덕수 이씨의 묘역. 덕수이씨 묘역(德水李氏墓域)은 크게 제1묘역과 제2묘역으로 나뉜다. 제1묘역에는 증 동중추( 贈同中樞) 이원우(李元祐)와 아들인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이필(李泌)[1538~1592], 이필의 손자인 이합(李柙)[1624~1680]의 두 번째 부인인 증 정경부인(貞敬夫人) 전주 최씨(全...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 서울 초안산 분묘군에 있는 조선 후기 밀양 박씨 묘역. 서울 초안산 분묘군은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과 도봉구 창동 지역에 있는 조선 시대 분묘군으로 2002년 3월 9일 사적 제4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중 밀양박씨 묘역(密陽朴氏墓域)은 박의숙(朴義淑) 이하 3대 후손의 묘가 소재하고 있다. 밀양박씨 묘역은 서울 초안산 분묘군 중 북쪽 끝 태안 이씨(泰...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여말 선초 목진공을 필두로 6기의 묘가 모여 있는 사천목씨의 묘역. 사천목씨(泗川睦氏)는 처음 당나라에서 우리나라에 파견되어 온 학사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하나 목충(睦沖) 이후의 세계가 실전되어 고려 때 중랑장을 지낸 목효기(睦孝基)를 시조로 한다. 고려 시대에는 목충, 목인길, 목자안 등이 왜구 평정에 공을 세웠다. 조선 시대에 들어서는 선조 대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안맹담과 그의 부인인 세종의 둘째 딸 정의공주의 묘. 안맹담(安孟聃)[1415~1462]은 본관이 죽산(竹山), 자는 덕수(德壽)이다. 1428년(세종 10) 세종의 둘째 딸 정의공주(貞懿公主)와 결혼하여 죽성군(竹城君)에 봉해졌다. 이어 연창군(延昌君)·연창위(延昌尉)로 개봉(改封)되었으며, 1455년(세조 1) 원종공신(原從功臣)...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는 조선 시대 세종의 아들 영해군 이당 등 직계 후손이 묻힌 전주이씨의 영해군파 묘역. 전주이씨 영해군파 묘역(全州李氏寧海君派墓域)은 크게 동쪽 능선과 서쪽 능선의 두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서쪽 능선에는 가장 상단에 영해군의 장남인 영춘군(永春君) 이인(李仁)[1465~1507]의 묘와 신도비가 있고, 그 아래로는 부원정(富原正) 이이(李㶊)와 유인...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오산군 이주를 중심으로 한 전주이씨 임영 대군파의 묘역. 전주이씨 임영대군파 묘역(全州李氏臨瀛大君派墓域)은 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의 장남인 오산군(烏山君) 이주(李澍)[1437~1489]를 중심으로 한 전주이씨의 묘역이다. 오산군 이주를 비롯하여 성빈(誠嬪) 원주 원씨(原州元氏)[?~1449], 오산군의 장남 창평수(昌平守) 이근(李...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성종의 다섯째 아들 전주이씨 회산군 이염을 중심으로 한 전주이씨 종친의 묘역.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1481~1512]은 조선 제10대 왕인 연산군(燕山君)[1476~1506, 재위 1494~1506]의 동생이다. 연산군은 폐비 윤씨의 소생이고, 회산군은 숙의 홍씨(淑儀洪氏)의 둘째 아들이다. 1500년(연산군 6) 귀인 정씨의 소생인 형 안...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조선 전기 죽산안씨의 묘역. 죽산(竹山)은 경기도 용인군과 안성군 일부에 속하였던 옛 지명이다. 죽산안씨는 조선조(朝鮮朝)에 들어와 찰리사(察理使) 안숙로(叔老)의 손자 안맹담(安孟聃)이 세종의 딸 정의공주(貞懿公主)와 혼인하여 죽성군(竹城君)에 봉해졌다가 연창군(延昌君)에 이어 연창위(延昌尉)로 개봉(改封)되었고, 세조 등극에 공(功)을 세워 원종...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는 조선 전기 청천 부원군 유양을 중심으로 하는 진주유씨 집장 묘역. 진주유씨 묘역(晉州柳氏墓域)은 서쪽 묘역과 동쪽 묘역으로 크게 나뉜다. 서쪽 묘역은 가장 상단의 진양군(晉陽君) 유영(柳濚)의 묘로부터 유영의 아들인 진명군(晉溟君) 유사기(柳師琦), 유영의 조카인 사헌부 감찰 유사상(柳師尙)의 묘가 차례대로 있다. 동쪽 묘역은 가장 상단에 정경부인...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사천 목씨 묘역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목서흠의 묘. 목서흠(睦叙欽)[1571~1652]은 선조 때 이조참판(吏曹參判)을 지냈고,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는 왜적에 대항해 의병을 모집하기도 한 목첨(睦詹)의 맏아들이다. 본관은 사천(泗川)이고, 자(字)는 순경(舜卿)이며, 호(號)는 매계(梅溪)이다. 부인은 병조판서에 증직된 권탁(權晫)의 딸 안동 권씨(安東...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 서울 초안산 분묘군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이해를 중심으로 한 태안이씨의 집장 묘역. 태안이씨 묘역(泰安李氏墓域)은 2002년 3월 9일 사적 제440호로 지정된 서울 초안산 분묘군의 가장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태안이씨 묘역에는 가장 선조인 증 공조참의(贈工曹參議) 이홍달(李弘達)을 중심으로 그 아들인 증 형조참판(贈刑曹參判) 이상훈(李尙薰), 이상훈의...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조선 시대 풍양조씨 문중의 묘역. 풍양조씨(豊壤趙氏)의 관향은 경기도 양주(陽州)로, 풍양은 현재의 경기도 양주를 부르는 옛 이름이다. 풍양조씨는 안동 김씨(安東金氏)와 함께 조선 후기 세도 정치기(勢道政治期)에 정권을 담당한 대표적인 가문이다. 풍양 조씨는 4개의 파(派)로 이루어져 있고, 그 가운데 회양공파(淮陽公派)에서 많은 고관(高官)이 나왔...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는 조선 후기 통정대부 유명장 등을 중심으로 집장된 한양유씨의 묘역. 한양유씨 묘역(漢陽劉氏墓域)은 크게 두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동쪽 묘역에는 이 묘역의 가장 선조인 3세손 통정대부(通政大夫) 유명장(劉命長), 유명장의 아들 유세림(劉世琳)과 내수사 서제(內需司書題) 유세남(劉世男)의 묘를 중심으로 9세손 유석령(劉碩齡), 12세손 사역원 권지(司...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는 조선 시대 함열남궁씨 직계의 묘가 집장된 묘역. 함열남궁씨 묘역(咸悅南宮氏墓域)은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남궁숙(南宮淑)[1491~1553], 형조참판(刑曹參判) 남궁침(南宮枕)[1513~1567] 등을 중심으로 직계 후손의 묘가 모여 있다. 함열남궁씨 묘역은 크게 제1묘역과 제2묘역으로 나뉘어 있다. 함열 남궁씨 제1묘역에는 청풍 군수(淸風郡守)...
능묘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있는 조선 시대 왕족 및 사대부의 묘. 조선 시대 무덤은 신분 또는 위계에 따라 크게 능(陵), 원(園), 묘(墓) 세 가지로 구분한다. 능은 왕[추존왕 포함]과 왕비의 무덤을 말한다. 원은 왕세자, 왕세자비, 세손, 그리고 왕의 사친(私親)[종실로서 왕위에 오른 왕의 생가 어버이] 등의 무덤을 말한다. 묘는 나머지 왕족, 즉 왕의 정궁의 아들, 딸인 대군과 공...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과 노원구 월계동 일대 초안산에 있는 조선 시대 분묘군. 서울 초안산 분묘군은 조선 시대 사대부, 무관, 중인, 서인, 내시, 상궁 등 다양한 신분층의 묘와 석물이 산재해 있는 곳이다. 초안산 중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속하는 지역은 약 5만 8000㎡이고, 나머지는 모두 노원구에 속한다. 태안 이씨(泰安李氏)와 밀양 박씨(密陽朴氏)의 묘역은 도봉구 지역, 예안...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과 노원구 월계동 서울 초안산 분묘군에 있는 조선 후기 내시 계층의 묘역. 내시는 궁궐 내에서 잡무를 맡아 보던 내시부의 관료로 종2품 상선(尙膳)에서 종9품 상원(尙苑)까지 두었다. 내시는 장번(長番)과 출입번(出入番)으로 나누어 업무를 보았다. 장번은 왕 가까이에서 장기간 상주하였으므로 오랫동안 권세를 누리기도 하였고, 출입번은 궐외에서 출퇴근하는 내시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함열 남궁씨 묘역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남궁숙의 묘.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을 지낸 남궁숙(南宮淑)[1490~1553]의 묘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산86번지 함열 남궁씨(咸悅南宮氏) 제1묘역에 위치하여 있다. 북한산 국립 공원 무수골 매표소를 통과하여 서쪽 방향인 원통사 쪽으로 올라가다 만세재(萬世齋)에서 서쪽으로 난 등산로를 따라 약 150m 떨...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함열 남궁씨 묘역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남궁치의 묘. 남궁치(南宮致)는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 남궁계(南宮啓)[?~1446]의 양자로 조선 초인 15세기에 활동하였던 무관이며, 박천 군수(博川郡守)를 지냈다. 함열 남궁씨 묘역에 묻힌 사람 중 가장 선조이다. 남궁치 묘(南宮致墓)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산69-7번지 함열 남궁씨(咸悅南宮氏) 제2묘...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함열 남궁씨 묘역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남궁침의 묘. 남궁침(南宮枕)[1513~1567]은 한성부 판윤과 형조참판(刑曹參判) 등을 역임하였다. 할아버지는 남궁찬(南宮璨)이고, 아버지는 남궁익(南宮翼)이다. 남궁침 묘(南宮枕墓)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산86번지 함열 남궁씨 제1묘역에 위치하여 있다. 북한산 국립 공원 무수골 매표소를 통과하여 서쪽 방향...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사천 목씨 묘역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목림일의 묘. 목림일(睦林一)[1646~1716]은 본관이 사천(泗川)이고, 자는 사백(士伯), 호는 청헌(靑軒)이다. 아버지는 좌의정을 지낸 목내선(睦來善)이다. 1675년(숙종 1) 사마시에 입격하였고, 1678년 통덕랑(通德郞)으로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검열이 되었다. 지평·수찬·정언·부교리 등을 역임하였으...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사천 목씨 묘역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목진공의 묘. 목진공(睦進恭)은 고려 말 사마시에 입격하였고, 조선조에 들어와 태조·태종·세종을 차례로 섬겼다. 문장과 경학, 청덕 및 재간으로 삼대 조정의 명신이 되었다. 내직으로는 이조 낭관·판통례 겸 상서 소윤·예조참의·병조참의·형조참의·공조참의·승정원 대언·한성 부윤·호조참판을 지냈고, 외직으로는 경기도와 강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로 천주교 혜화동 교회 추모 공원에 있는 현대 영화배우 박노식의 묘. 박노식(朴魯植)[1930~1995]은 1960~1970년대 한국을 대표하는 액션 영화배우이다. 500편이 넘는 영화에 출연하였으며, 대종상·청룡상·아시아 영화제·부일 영화상·남도 영화제 등에서 많은 수상을 하였다. 박노식은 1930년 2월 4일 전라남도 여수에서 태어나 순천 사범 학교 체육과...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박신규의 묘. 박신규(朴信圭)[1631~1687]는 본관이 밀양(密陽)이고, 자는 봉경(奉卿), 호는 죽촌(竹村)이다. 할아버지는 참판 박진원(朴震元)이며,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박계영(朴啓榮)이다. 외할아버지는 유명남(柳命男)이다. 1652년(효종 3) 진사가 되었고, 1660년(현종 1)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전주 판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연산군과 거창 군부인 신씨의 묘. 서울 연산군 묘는 조선 제10대 왕인 연산군(燕山君)[1476~1506]과 배위(配位) 거창 군부인(居昌郡夫人) 신씨(愼氏)[1476~1537]의 무덤이다. 대군(大君)의 신분으로 강등되어 왕릉이 아닌 ‘묘’의 격식을 갖추고 있다. 넓은 영역의 가장 상단에 연산군과 거창 군부인의 묘가 쌍분으로 조성되어 있다. 바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조선 전기 태종의 후궁 성빈 원주원씨의 묘. 성빈(成殯) 원주원씨(原州元氏)는 태종의 후궁으로 후사가 없어 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 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아들인 오산군(烏山君) 이주(李澍)가 제사를 맡아 하였다. 성빈 원주원씨 묘(成殯原州元氏墓)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61-1번지에 있다.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서 우이동으로 넘어가...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 서울 초안산 분묘군에 있는 조선 후기 내시 승극철 부부의 묘. 승극철(承克哲)은 내관을 지낸 연양군파(延陽君派)의 시조 김계한(金繼韓)의 손자로 내시부 상세(尙洗)[내시부 종6품직]를 지냈다. 내관들은 양자로 대를 잇기 때문에 손자의 성이 다르기도 하다. 승극철의 출생 및 사망 연대는 알 수 없다. 다만, 묘표의 건립 연대가 1643년(인조 12)인 점으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죽산 안씨 묘역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안상계의 묘. 안상계(安桑鷄)[1444~1496]는 자는 자신(子信)이고, 호는 전은(田隱)이다. 안맹담과 세종의 딸인 정의 공주 사이에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안망지(安望之)이다. 수양 대군이 계유정란을 일으키자 저자도(楮子島)에 은거하여 술과 시를 벗 삼아 생활을 하였다. 1487년(성종 18) 수원 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안중담의 묘. 안중담(安仲聃)은 함길도 도관찰사(咸吉道都觀察使)를 지낸 안망지(安望之)와 어머니 정경부인(貞敬婦人) 하양 허씨(河陽許氏) 사이에서 삼형제 중 둘째로 태어났다. 형은 세종의 딸인 정의 공주의 혼인한 양효공(良孝公) 안맹담(安孟聃)이고 동생은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안계담(安季聃)이다. 부인은 청주 정씨(淸州鄭氏...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로 천주교 혜화동 교회 추모 공원에 있는 현대 소설가 염상섭의 묘. 염상섭(廉想涉)[1897~1963]은 서울 적선동에서 태어나 65세에 지병으로 작고할 때까지 다양한 사회 활동과 소설 창작 활동으로 우리 근대 문화의 초석을 닦은 사람이다. 특히 1920년대 초반부터 활약한 문학예술 분야에서의 업적은 눈부신 바가 있다. 염상섭의 소설은 흔히 사실주의 정신을 이...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전주 이씨 영해군파 묘역에 있는 조선 전기 종친 영춘군 이인의 묘. 영춘군(永春君) 이인(李仁)[1465~1507]은 세종의 아홉째 아들[신빈 김씨(愼嬪金氏) 소생]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塘)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신윤동(申允童)의 딸이다. 자는 자정(子靜)으로 10세 때인 1474년(성종 5) 영춘군에 봉해지고, 이후 정의대부(正義大夫)에 올랐다. 사...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전주 이씨 영해군파 묘역에 있는 조선 전기 세종의 아들인 영해군 이당의 묘.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1435~1477]은 본관이 전주(全州)이고, 자는 제지(題之)이며, 시호는 안도(安悼)이다. 어머니는 신빈 김씨(愼嬪金氏)이다. 원래 이름은 이장(李璋)이었으나 뒤에 이당으로 바꾸었다. 성격은 화목한 것을 좋아하여 다투는 일이 없었다고 한다. 7세 때...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전주 이씨 임영 대군파 묘역에 있는 조선 전기 종친 오산군 이주의 묘. 오산군(烏山君) 이주(李澍)[1437~1490]는 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 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장남이다. 궁중에서 자랐으며, 8세에 중의오산군(中義烏山君)에 봉해졌고, 성종 대에는 현록오산군(顯祿烏山君)이 되었다. 세조에게서 친아들과 같은 은총을 받았으며, 문소전 사옹원 도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전주 이씨 영해군파 묘역에 있는 조선 전기 종친 완천군 이희의 묘. 완천군(完川君) 이희(李禧)의 할아버지는 세종의 아들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塘)이고, 아버지는 영춘군(永春君) 이인(李仁)이다. 생몰년은 알 수 없으나, 15세기 후반에 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희는 연산군 때 나주(羅州) 기생 출신의 나인 김숙화(金淑華)가 이희의 형인 이기를 무고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진주 유씨 묘역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유보의 묘. 유보(柳溥)[?~1544]는 진양 부원군(晉陽府院君) 유첨정(柳添汀)의 아들이자 중종반정 1등 정국공신 유순정(柳順汀)[1459~1512]의 조카이다. 연산군 대에 문과에 급제한 뒤 중종 대에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오른 명신이다. 1537년 70세에는 궤장을 하사받기도 하였다. 유보 묘(柳溥墓)는 서울특...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진주 유씨 묘역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유양의 묘. 청천 부원군(菁川府院君) 유양(柳壤)은 중종반정 1등 정국공신 유순정(柳順汀)[1459~1512]·유첨정(柳添汀)의 아버지이다. 사헌부 감찰 등을 역임하였고 3남 유순정(柳順汀)이 정승이 된 이후 영의정으로 증직되었다. 유양 묘는 진주 유씨 묘역 중 가장 선대에 속한다. 유양 묘(柳壤墓)는 서울특별시 도봉...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는 조선 전기 태조의 부마 이등의 묘. 이등(李登)[1379~1457]은 본관(本貫)이 개성(開城)이고, 아버지는 이개(李開)이다. 태조의 딸인 의령 옹주(義寧翁主)와 혼인하여 태조의 부마 계천위(啓川尉)에 봉해졌다. 이등 묘의 서쪽 능선에는 근래에 건립한 ‘개성 이씨 선조 지단(開城李氏先祖之壇)’이 있다. 이등의 아버지 이개는 본명이 이덕시(李德時)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로 천주교 혜화동 교회 추모 공원에 있는 현대 소설가 이무영의 묘. 이무영(李無影)[1908~1960]은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출생하였다. 본명은 이용구이다. 휘문 의숙을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소설을 공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26년 발표한 장편 『의지할 곳 없는 청춘』이 등단작이다. 1929년에 귀국하여 교사와 『동아 일보』 기자 등을 지내며 작품 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덕수 이씨 묘역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주진의 묘. 이주진(李周鎭)[1692~1749]은 한성 판윤 이광하(李光夏)의 손자이자 좌의정 이집(李㙫)의 아들이다. 이조·병조·예조·형조·공조의 판서를 두루 지내고 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이주진 묘(李周鎭墓)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69-15번지 덕수 이씨(德水李氏) 제2묘역에 위치하여 있다. 덕수 이씨...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덕수 이씨 묘역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집의 묘. 이집(李㙫)[1664~1733]은 대사간(大司諫) 이합(李柙)[1624~1680]의 손자이고 한성 판윤 이광하(李光夏)의 아들이다. 이집은 영조 대에 예조 및 이조 판서를 거쳐 1729년 우의정이 되었고, 다음 해 좌의정에 올랐다. 이집 묘(李㙫墓)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69-1번지 덕수 이씨 제2...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전주 이씨 임영 대군파 묘역에 있는 조선 전기 종친 이충작의 묘. 이충작(李忠綽)[1521~1578]은 세종의 4남인 임영 대군(臨瀛大君)의 장남 오산군(烏山君) 이주(李澍)의 증손이다. 아버지는 당은군(唐恩君) 이휘(李鰴)이고, 할아버지는 오산군 이주의 5남 덕안도정(德安都正) 이진(李珍)이다. 이충작 묘(李忠綽墓)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61-1번...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덕수 이씨 묘역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합의 묘. 이합(李柙)[1624~1680]은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이필(李泌)[1538~1592]의 손자이고, 부인은 능성 구씨(綾城具氏)로 연산군의 증손녀이다. 이합은 1674년 통정대부가 되었으며, 좌승지·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이합 묘(李柙墓)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69-1번지 덕수 이씨(德水李氏)...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전주 이씨 임영 대군파 묘역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혜주의 묘. 이혜주(李惠疇)의 아버지는 이이태(李以太)[1624~1683]로 오산군 이주(李澍)의 9세손이다. 이혜주는 1696년(숙종 22) 진위 현령(振威縣令)으로 재직하였고, 평안 절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이혜주 묘(李惠疇墓)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61-1번지에 위치한다. 방학 사거리에서 우...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이회림의 묘. 이회림(李懷林)[?~1451]의 본관은 연안(延安)이고, 할아버지는 이광(李匡), 아버지는 이종무(李宗茂)이다. 이회림은 태종 대에 개국 원종 일등 공신(開國原從一等功臣)에 책록되고 보의장군 충좌시위사 대호군(保義將軍忠佐侍衛司大護軍)에 봉해졌다. 사후 좌의정으로 추증되었다. 병자호란 이후 묘가 소실되었는데, 1636년...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풍양 조씨 묘역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조희보의 묘. 조희보(趙希輔)[1553~1622]는 본관이 풍양(豊壤)이고, 자는 백익(伯益)이다. 할아버지는 정국공신 자헌대부 풍양군에 추증된 조세훈(趙世勛)이고, 아버지는 사헌부 감찰을 지내고 좌승지에 추증된 조기(趙磯)이다. 어머니는 효령 대군(孝寧大君)의 6세손인 현령 이숙(李淑)의 딸이다. 조희보는 1588년...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죽산 한씨 묘역에 있는 조선 전기 무신 한치례의 묘. 한치례(韓致禮)[1441~1499]는 조선 초의 무신으로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자절(子節)이다. 아버지는 좌의정 한확(韓確)이고, 어머니는 이조판서 홍여방(洪汝方)의 딸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1466년(세조 12) 훈련원 도정이 되고, 이어 병조참지,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가 되었다. 누이동...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로 천주교 혜화동 교회 추모 공원에 있는 현대 소설가 홍성유의 묘. 백파(伯坡) 홍성유(洪性裕)[1928~2002]는 활달하고 남성적인 문체를 바탕으로 대중적 역사 소설을 즐겨 쓴 소설가이다. 김두한(金斗漢)을 주인공으로 하여 한국 근대사의 이면을 그린 『인생극장』이 대표작인데, 뒤에 이를 『장군의 아들』[전 8권]로 제목을 바꾸어 발간하였다. 1990년에 임...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전주 이씨 회산군파 묘역에 있는 조선 전기 성종의 다섯 째 아들 회산군 이염의 묘.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1481~1512]의 호는 보익당(輔翼堂)이고,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어머니는 숙의(淑儀) 홍씨(洪氏)로 안방언(安邦彦)의 딸이다. 1500년(연산군 6) 연산군에게 직간하다가 형 안양군(安陽君)과 동생 봉안군(鳳安君)은 죽고, 회산군만이 연...
바위 글씨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도봉 서원 앞 계곡에 있는, 조선 후기 김수증이 새긴 바위 글씨. ‘고산앙지(高山仰止)’는 『시경(詩經)』 소아(小雅) 차할편(車舝篇)에 나오는 문구로 “높은 산처럼 우러러 사모한다”는 의미이다. 도봉 서원은 조광조(趙光祖)를 향사하고 있는 서원이다. 곡운(谷雲) 김수증(金壽增)[1624~1701]이 조광조의 덕을 우러르는 마음에서 1700년(숙종 26)...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도봉 서원 앞 계곡에 있는, 조선 후기 이재가 새긴 바위 글씨. ‘광풍제월(光風霽月)’은 도봉 서원 앞 계곡에 새긴 바위 글씨로 정확한 제작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광풍제월’ 옆에 함께 새긴 ‘천옹서(泉翁書)’라는 기록을 통해 경종[재위 1720~1724] 대에 한성 판윤을 지낸 한천(寒泉) 이재(李縡)[1680~1746]의 글씨로 판단된다. ‘광풍제월’이...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조선 시대에 새긴 것으로 추정되는 바위 글씨. 귀록계산(歸鹿溪山)과 와운폭(臥雲瀑) 바위 글씨는 건립 경위와 시기, 서자(書者) 및 각자(刻者)가 확실하지 않다. 다만 조선 영조[재위 1724~1776] 대의 인물인 귀록(歸鹿) 조현명(趙顯命)[1690~1752]이 방학동에 별서(別墅)를 마련하였다는 사실과 『귀록집(歸鹿集)』 권3에 실린 ‘와운 폭...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의 도봉서원을 중심으로 도봉 계곡에 산재되어 있는 바위 글씨군. 도봉 계곡에 산재하는 마애 각석군은 분포 위치상 도봉서원을 중심으로 대략 3개 군으로 나뉜다. 1군은 도봉 계곡 초입, 2군은 도봉서원 앞, 3군은 도봉서원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1군과 2군 중에는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1607~1689], 한수재(寒水齋) 권상하(權尙夏)[1641~1...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1동에 있는 조선 시대에 새긴 것으로 추정되는 바위 글씨. 도봉동문(道峰洞門) 바위 글씨는 제작 시기와 건립 경위, 서자(書者), 각자(刻者)를 밝힐 수 있는 기록이 알려져 있지 않으나 조선 시대에 새긴 것으로 추정한다. ‘도봉동문’은 ‘도봉동으로 들어가는 입구’라는 의미이다. 글씨의 위치가 도봉 계곡의 초입에 있다는 점에서 도봉 계곡을 사랑하던 시인 묵객이...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조선 시대에 새긴 것으로 추정되는 바위 글씨. 명월동문(明月洞門) 바위 글씨는 조선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제작 시기와 각석을 주도한 제작자에 대해 파악할 수 있는 기록이 남겨져 있지 않다. 다만 ‘명월동문’은 ‘명월동으로 들어가는 입구’라는 뜻으로 계곡의 경치에 취한 조선 시대의 묵객이 이 지점부터 아름다운 경치가 시작됨을 표현하기...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1동 도봉 서원 앞 계곡에 있는, 조선 시대 권상하와 송시열의 글씨를 새긴 바위 글씨. 무우대 제월광풍갱별전(舞雩臺 霽月光風更別傳) 바위 글씨에서 ‘무우대 한수옹(舞雩臺寒水翁)’은 권상하(權尙夏)[1641~1721], ‘제월광풍갱별전 요장현송답잔원 화양노부서(霽月光風更別傳 聊蔣絃誦答潺湲 華陽老夫書)’는 송시열(宋時烈)[1607~1689]의 글씨를 각각 새긴...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1동 도봉 서원 앞 계곡에 있는, 조선 시대에 새긴 바위 글씨. 문사동(問師洞)은 도봉 서원 앞 계곡의 이름이다. 『주례(周禮)』에 따르면 ‘문(問)’은 예를 갖추어 맞아들인다는 뜻으로, ‘문사동’은 스승을 모시어 맞아들이는 곳이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수려한 계곡에서 도봉 서원의 스승과 제자들이 함께 자연을 즐기며 학문을 논하던 장소이었음을 알 수 있...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로 천주교 혜화동교회 방학동 묘원에 있는 조선 시대 화강암에 새긴 바둑판과 석조 유물. 도봉산 일대에는 여러 지역에 암각(巖刻) 유물이 남아 전한다. 도봉 계곡 일대와 시루봉 주변이 대표적이다. 천주교 혜화동교회 방학동 묘원이 시루봉 아래에 위치해 있으므로, 이 암각 바둑판과 석조(石槽) 유물 역시 시루봉 주변 암각물들과 연계하여 이해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조선 시대에 새긴 것으로 추정되는 바위 글씨. 방학동 천주교 묘지 바위 글씨군은 천주교 묘지 터에 위치한 ‘계수석(谿水石)’, ‘와폭(臥瀑)’, ‘연월암삼폭(延月巖三瀑)’의 각자(刻字)를 아울러 일컫는다. 방학동 천주교 묘지 바위 글씨군은 제작자와 제작 시기에 대한 기록이 없으나, 조선 시대의 새겨진 것으로 추정한다. 양효공 안맹담과 정의 공주 묘...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원통사 산신각 아래에 있는 조선 시대에 새긴 것으로 추정되는 바위 글씨. 상공암(相公岩) 바위 글씨는 정확한 제작자와 건립 시기를 알 수 있는 기록이 남겨져 있지 않다. 다만 이와 관련하여 “원통사 약사전 아래 거북 바위에서 태조 이성계(李成桂)가 기도를 마치던 날 천상(天上)의 상공(相公)이 되어 옥황상제를 배알하는 꿈을 꾸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서울...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1동에 있는, 조선 시대에 새긴 바위 글씨. ‘염락정파 수사진원(洛正派洙泗眞源)’은 도봉 서원 앞 도봉산 계곡에 새겨진 바위 글씨이다. ‘염락(濂洛)’은 염계(濂溪)와 낙양(洛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곳은 주돈이(周敦頤)와 그의 제자 정호(程顥), 정이(程頤) 형제가 각기 강학하던 곳이다. 또한 ‘수사(洙泗)’는 공자가 강학하였던 곳을 일컫는 말이다. 즉 ‘...
비석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위치하거나 출토된 비. 비(碑)는 어떤 사적(事蹟)을 후세에 오래도록 전하기 위해 나무·돌·쇠붙이 따위에 글을 새겨 세워 놓는 것을 가리킨다. 비에는 묘비[묘갈], 중수비, 신도비 등이 있다. 비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장의(葬儀)에서 세우던 풍비(豐碑)에서 유래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풍비란 하관할 때 쓰는 장구(葬具)로 큰 나무를 깎아...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의 서울 초안산 분묘군에 있는 조선 후기 김세보와 두 부인의 묘비. 김세보(金世輔)[1671~1732]는 경주 출신으로 자는 자징(子徵)이며, 증조할아버지는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으로 추증된 김응룡(金應龍), 할아버지는 부사과(副司果) 김승신(金承信), 아버지는 첨지중추(僉知中樞)를 지낸 김상현(金尙玹)이다. 남양 홍씨(南陽洪氏)인 홍달선(洪達善)의 딸에게...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의 북한산 국립 공원에 있는 시인 김수영의 문학 활동을 기리는 시비. 김수영(金洙暎)[1921~1968] 사망 일주기를 앞두고, 당대의 대표적 문학예술 잡지 『현대 문학』을 간행하던 현대 문학사가 앞장서 김수영 시비 건립 위원회를 꾸리고 선후배 문인들과 지인들의 뜻을 모아, 1969년 6월 15일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산107-2번지 김수영 시인의 무덤...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는 도봉 서원 중건에 힘쓴 한학자 남궁복을 기념하기 위한 비석. 1970년 양주 향교 전교를 지낸 남궁복(南宮墣)[1887~1975]의 발의로 도봉 서원이 복설되어, 그 공을 기념하기 위해 남궁복 기념비를 세웠다. 남궁복의 아들인 남궁련이 당시 해운 공사 사장·극동 해운 사장·조선 공사 회장을 지내면서 도봉 서원 복원에 거액을 희사하였기 때문에 남궁복...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의 사천 목씨 묘역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목서흠의 신도비. 목서흠(睦叙欽)[1571~1652]의 본관은 사천(泗川)이고, 자는 순경(舜卿)이며 호는 매계(梅溪)이다. 기묘명현(己卯名賢) 중 하나인 현헌공(玄軒公) 목세칭(睦世秤)의 손자이다. 양구 현감(楊口縣監)·홍문관(弘文館) 수찬(修撰) 등을 거쳤으며,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이후 북관 선유 어...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의 북한산 국립 공원에 있는 이병주의 시 「북한산 찬가」를 새긴 비석. 이병주(李炳注)[1921~1992]는 만년에 북한산과 도봉산을 즐겨 찾았고, 『산을 생각한다』, 『도봉 정화』 등의 수필집을 남겼다. 이병주가 사망한 지 일주기가 된 1993년에 송남헌, 구상, 이형기, 남재희 등이 추모 모임을 구성하여 추모비 건립을 추진한 결과 1993년 4월 3일 이...
-
서울특별시 도봉구를 관할하던 양주목사로서 선정을 베푼 지방관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양주목사 선정비(楊州牧使善政碑)는 현재 서울특별시 도봉구·노원구·중랑구·강북구 및 경기도 양주시·동두천시 등을 포괄하던 조선 시대 양주(楊州) 지역에서, 양주목사(楊州牧使)로서 선정(善政)을 베푼 관리들의 공덕(功德)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비를 가리킨다. 조선 시대에는 지방관(地方官)으로서 선정...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의 양효공 안맹담과 정의 공주 묘역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안맹담의 신도비. 안맹담(安孟聃)[1415~1462]의 본관은 죽산(竹山)이고, 자는 덕수(德壽)이며 시호는 양효(良孝)이다. 고려 말 조선 초의 명문 출신으로, 1428년(세종 10) 세종의 둘째 딸 정의 공주(貞懿公主)와 혼인, 부마가 되어 죽성군(竹城君)에 봉해지고 숭정대부(崇政大夫)의 품계를...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의 북한산 국립 공원에 있는 조선 시대의 문인 유희경과 기생 이매창의 시를 새긴 기념비. 촌은(村隱) 유희경(劉希慶)[1545~1636]은 비록 하층민이었지만 양주 목사로서 도봉 서원을 건립한 남언경(南彦經)에게서 『문공가례(文公家禮)』를 배워 국상(國喪)에 자문할 정도로 예(禮)에 밝았으며 도봉 서원(道峯書院) 설립에도 간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의 전주 이씨 영해군파 묘역에 있는 조선 전기의 왕족 이인의 신도비. 이인(李仁)[1465~1507]의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자는 자정(子靜)이다.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임천 군부인(林川郡夫人) 평산 신씨(平山申氏)이다. 광양현부인(光陽縣夫人) 진주 유씨(晋州柳氏)와 혼인하여 슬하에 완천군(完川君) 이희(李禧), 강녕군(江寧君)...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의 서울 초안산 분묘군에 있는 조선 전기의 예안 이씨 안동파의 파조 이필간의 묘비. 이필간(李弼幹)[?~1514]은 예안 출신으로 예안 이씨(禮安李氏) 안동파(安東派)의 파조(派祖)이다. 할아버지는 세종(世宗)조에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이온(李韞)이며, 아버지는 좌찬성(左贊成) 이신(李愼), 어머니는 선공감 부정(繕工監副正) 조안도(趙安道)의 딸 정경부...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의 서울 초안산 분묘군에 있는 조선 시대의 문신 최윤언과 부인의 묘비. 최윤언(崔潤彦)의 가계나 행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없다. 다만 최윤언 부부 묘비에 의하면 최윤언이 용양위 호군(龍讓衛護軍)을 역임하고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랐으며, 부인은 정부인(貞夫人) 진주 강씨(晉州姜氏)로서 합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묘비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가 진행된다면 보다...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의 서울 초안산 분묘군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한종건과 부인의 묘비. 한종건 부부 묘비는 묘소의 좌측 옆에 세워져 있다. 한종건 부부 묘소는 도봉 문화 정보 센터 뒤쪽 서울 초안산 분묘군의 도봉구 창동 구역에 위치하고 있다. 묘비는 원수방부형(圓首方趺形)으로 비신(碑身)과 비대(碑臺)가 분리되는 형태이다. 묘비의 재질로는 품질이 좋은 오석(烏石)이 사용되었으...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무신 한치례의 신도비. 한치례(韓致禮)[1441~1499]는 좌의정 한확(韓確)의 셋째 아들로, 어머니는 이조 판서를 지낸 홍여방(洪汝方)의 딸이다. 아버지는 세조(世祖)의 즉위를 도운 공신이었으며, 누이는 세조의 아들인 덕종(德宗)과 혼인하여 훗날 인수 대비(仁粹大妃)가 되었다. 큰 고모는 명나라 성조(成祖)의 후궁으로 뽑혀 여비(麗妃...
터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고려 후기부터 조선 후기까지 운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절터.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 3동 극동 아파트 서쪽에 있는 태광 운수 오른편의 무수골로 넘어가는 등산로를 따라 오르면 장수 텃밭이 나온다. 장수 텃밭과 장수 클럽 배드민턴장을 지나 100m 정도 오르면 방학동 절터가 나온다. 서울 역사박물관이 2003년 조사하였다. 조사 면적은 1,100㎡이다....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는 시인 김수영의 본가 터. 시인 김수영은 1921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철동[생가 터 표석이 있음]에서 태어나 어의동 공립 보통학교[지금의 효제 초등학교]를 다녔다. 그 후 김수영의 집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6가로 옮겼다가 해방 이전 태평양 전쟁의 막바지에는 만주 지린 성[吉林省]으로 이주하기도 하였다. 해방을 맞아 귀국한 김수영의 가족은 종로 6...
-
서울특별시 도봉구 해등로에 있는 전태일이 생애 마지막으로 거주한 곳. 전태일(全泰壹)[1948~1970]은 1948년 대구에서 가난한 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16세가 되던 1964년 동대문 평화 시장에 ‘시다’, 즉 미싱사 보조로 취직하여 열악한 작업 환경 속에서 꼬박 3년을 보내고 재단사가 되었다. 전태일은 고단한 노동 환경을 개선할 필요성을 절감하고, 「근로 기준법」에 대해...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에 있던 정인보의 거주지. 1893년 서울 명동에서 명문가의 외아들로 출생한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1893~1950]는 일제 강점기와 해방기에 걸쳐 활동한 우리 근대사의 대표 인물이다. 어려서부터 강화도 출신의 저명한 양명학자인 난곡(蘭谷) 이건방(李建芳)을 사사(師事)하여 실학으로서의 양명학을 전파하는 데 주력하는 한편, 민족주의 역사학·한문학·시조...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에 있는, 독립운동가 함석헌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기념관. 함석헌 기념관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인권 운동가·시인·교육자·사상가·언론인·역사가 함석헌을 기리기 위해 그가 마지막 여생을 보냈던 도봉구 쌍문동 집을 보존·리모델링하여 건립한 작은 기념관이다. 함석헌(咸錫憲)[1901~1989]은 평생 일관된 사상과 신념으로 항일·반독재 운동에 앞장서 온 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에 있는 홍명희가 1939년 말 가족과 함께 5년여 살았던 곳. 벽초(碧初) 홍명희(洪命憙)[1888~1968]는 충청북도 괴산 출신으로 춘원(春園) 이광수(李光洙),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과 함께 조선의 신문학을 일구어 낸 ‘삼재(三才)’로 불렸던 인물이다. 홍명희는 일제 강점기 최고의 역사 소설 『임꺽정』을 쓴 작가이자, 신간회 창립을 주도한 저명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1동에 있는 조선 후기 신정왕후의 별장 터.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1동 401번지에 있는 광륜사(光輪寺)라는 절은 원래 신정왕후[1808~1890], 곧 조대비(趙大妃)의 별장 터이다. 신정왕후는 순조(純祖)의 며느리이자 효명세자의 부인으로 헌종(憲宗)을 낳았다. 1857년(철종 8) 순조(純祖)의 비인 순원 왕후(純元王后)가 죽자, 신정왕후가 대왕대비가...
기타 유적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도봉산 기슭에 있는 고려에서 조선 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 3동 극동 아파트 서쪽에 태광 운수가 있다. 태광 운수 옆에는 도봉산 무수골로 넘어가는 등산로가 있는데, 등산로 초입에 방학동 유물산포지(放鶴洞遺物散布地)가 있다. 인접한 서북쪽 작은 계곡에는 귀록계산·와운폭 바위 글씨가 있으며, 등산로를 따라 서북쪽으로 500m 정도 계속...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서울 연산군 묘에 조성된 문석인. 사적 제362호인 서울 연산군 묘는 조선 제10대 왕 연산군(燕山君)[1476~1506]과 배위(配位) 거창 군부인(居昌郡夫人) 신씨(愼氏)[1476~1537]의 묘이다. 묘역에 조성된 문석인(文石人)은 모두 두 쌍이다. 연산군 묘가 왕릉이 아닌 대군(大君)의 격식으로 조성되었으므로, 문석인도 왕릉에 비하여 규모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연산군과 배위 거창 군부인 신씨 묘의 석망주와 장명등. 사적 제362호인 서울 연산군 묘는 조선 제10대 왕 연산군(燕山君)[1476~1506]과 배위(配位) 거창 군부인(居昌郡夫人) 신씨(愼氏)[1476~1537]의 묘로, 석망주(石望柱)는 능묘 봉분 앞단 좌우에 배치하는 팔각 기둥형의 석물이다. 서울 연산군 묘 석망주(燕山君墓石望柱)는 한 쌍을...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조선 전기 세종의 둘째 딸 정의공주와 남편 안맹담의 묘표.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聃)[1415~1462]과 정의공주(貞懿公主)[1415~1477]의 묘표는 안맹담 묘 쌍분 앞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동쪽이 정의공주 묘표, 서쪽이 안맹담 묘표이다. 둘 다 대리석 재질이고 화려한 형태의 화관 방부형(花冠方趺形)이다. 정의공주는 세종과 소헌 왕후(昭...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5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마을 이름인 ‘창동리’를 돌에 새겨 만든 이정표.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 266번지의 창동초등학교 동쪽에 있는 석조 이정표 안내문, 새로 만든 창동리 석조 이정표와 함께 나란히 서 있다. 화강암을 거칠게 다듬어 직사각형 형태로 만들었으며, 크기는 가로 38㎝, 두께 19㎝, 높이 73㎝이다. 거친 화강암 표현에 ‘창동리(倉洞里)’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