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701655 |
---|---|
한자 | 舟頭曠野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충청북도 진천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권희돈 |
성격 | 한시 |
---|---|
작가 | 유수응(柳秀應) |
창작연도/발표연도 | 조선 후기 |
조선 후기 유수응(柳秀應)이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뱃머리의 넓은 들을 노래한 칠언절구의 한시.
예부터 산수가 수려한 곳에는 ‘팔경’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주두광야(舟頭曠野)」 역시 진천 지역의 아름다운 풍광을 그린 벽오팔경(碧梧八景)의 하나이다. 현재 벽오팔경(碧梧八景)은 4편만 전해지는데, 제1경은 「상산모운(常山暮雲)」, 제2경은 「관촌석연(管村夕烟)」, 제3경은 「두타효무(頭陀嘵霧)」, 제4경은 「주두광야(舟頭曠野)」이다.
우뚝 솟은 뭇 산은 아늑하지 않으나[族立群山不敢幽]
한가한 갈매기는 오락가락 하누나[等閒飛下去来鴎]
드문드문 외따로 서있는 나무들이 돛대같이 높은데[間間独樹高如棹]
의연히 나무머리에 앉아 보네[坐看依然泛渡頭]
뱃머리의 넓은 들을 탁월한 비유를 통해 생동감 있게 묘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