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700458 |
---|---|
한자 | 蓮寶井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 산 9-15 |
시대 | 고대/삼국 시대/신라 |
집필자 | 양기석 |
성격 | 우물 터 |
---|---|
건립시기/연도 | 신라시대 |
높이 | 2.6m |
길이 | 직경 1.8m |
소재지 주소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 산 9-15
![]()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에 있는 신라시대 우물 터.
연보정(蓮寶井)은 자연석을 이용하여 만든 원형 우물로서, 김유신(金庾信)[595~673]이 사용했던 우물이라 전한다.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 계양마을은 김유신의 아버지 김서현(金舒鉉)이 만노군태수로 부임하여 살던 곳으로, 큰 담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후대에 담안밭이라고도 불렸다. 이외에 김유신과 관련한 우물로는 진천 길상사 안의 우물이 있다.
김유신은 신라의 명장으로, 가야국의 시조 수로왕의 12세손이다. 660년(태종 무열왕 7) 당나라의 소정방(蘇定方)[595~667]과 함께 백제를 멸망시키고, 668년(문무왕 8) 고구려를 정벌한 후 당나라 군사를 축출하는 데 힘써 삼국 통일의 기반을 다졌다.
국도 21호선을 따라 만뢰산 기슭 보탑사로 가는 길로 접어들면 충청북도 기념물 제79호로 지정된 진천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이 나오는데, 연보정은 그 뒤편 태령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주변에는 김유신이 말을 타고 훈련을 하였다는 치마대(馳馬臺)가 있다.
연보정은 자연석을 이용하여 둥글게 돌려 쌓았으며, 규모는 직경 1.8m, 최대 높이 2.6m이다. 앞면에 우물로 내려갈 수 있도록 계단을 설치하였고, 4m가량의 수로를 설치하여 물이 흐르도록 한 특이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현재 본격적인 학술 조사는 이루어져 있지 않으나, 우물은 고식의 형태로 남아 있다. 우물물은 태령산 중턱에서 샘솟는 지하수로, 예전에는 아무리 가물어도 마르지 않았다 하나 지금은 샘이 말라 있는 상태이다.
연보정은 충청북도 진천 지역의 김유신 관련 문헌 기록과 설화, 그리고 유적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김유신의 활동을 복원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