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700398
한자 老院里石造菩薩立像
이칭/별칭 용화사 석불입상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물/불상
지역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 408-12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정연승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불상
제작시기/일시 고려
제작지역 충청북도 진천군
재질 화강암
높이 203㎝
소장처 주소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 408-12 지도보기
소유자 진천군

[정의]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 궁동마을에 있는 고려시대 불상.

[형태]

궁동마을 옥녀봉 동쪽 기슭에 있다. 전체 높이는 203㎝로 지상으로 드러난 부분의 크기를 보면 불두와 상체 부분이 1대 2.5 정도의 비율로 이루어져 있다. 머리 부분의 형태는 거의 정사각형이며, 머리에는 짧은 보관을 쓰고 있다. 양 눈썹 사이에는 백호공(白毫孔)의 흔적이 남아 있고, 미간에는 눈·코·입의 윤곽이 또렷하게 살아 있으며, 눈과 입은 작게 표현되어 있으나 단정하고 소박한 인상을 풍긴다.

몸체는 굴곡이 없는 기둥 형태이고, 두 팔과 손은 빈약하고 어색하게 표현되었다. 법의의 주름은 음각되어 있는데 마멸이 심해 윤곽을 파악하기 어렵고, 가슴 부분과 몸체의 하단에 장식된 나비매듭은 뚜렷하며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양 손목에는 팔찌를 끼고 있으며, 수인은 조각의 빈약함과 마멸 때문에 뚜렷하지 않으나 오른손은 가슴 부분까지 들어 올려 엄지와 중지를 잡고 인지는 뻗은 형태이며, 왼손은 왼쪽 어깨까지 치켜 올려 엄지와 인지를 잡고 바깥쪽을 향하고 있다. 아미타여래의 구품인 가운데 한 형식을 취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각 수법이 낮게 새겨진 돋움식이어서 몸의 양감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 편이며, 몸체의 뒷면은 전혀 조각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

[특징]

노원리 석조보살입상(老院里 石造菩薩立像) 앞에 공양석이 놓여 있는 것으로 미루어 오랫동안 마을에서 모셔 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둥근 형태의 상호(相好)가 대부분이던 전대의 유형에서 벗어나 후대의 방형(方形)으로 변화된 양식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가슴과 몸체의 하단에 각각 양각으로 새겨진 나비매듭이 이채롭다.

동쪽을 향한 불상과 넓은 대지 등 여러 정황으로 보아 불상 주변 일대가 절터로 보이지만 지표 조사 결과 기와 조각이나 주춧돌과 같은 절터로 추정될 만한 유물은 나오지 않았고 단지 자기 조각만 수습되었다.

[의의와 평가]

불상의 형태나 조각 수법으로 미루어 고려시대에 유행했던 미륵불의 한 유형이다. 주변 곳곳에 비슷한 불상들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고려시대에는 이 지역에 미륵신앙이 널리 퍼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