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세종시문화대전 > 세종시향토문화백과 > 삶의 터전(지리) > 자연지리 > 하천
-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에서 지표수가 모여 일정한 유로를 가지는 유수의 계통. 지표면에 내린 비[雨] 또는 눈[雪]은 분수계(分水界)[인접하여 있는 하천 유역을 나누는 경계]를 따라 집수되고, 집수된 물은 지표면의 유로를 따라 흐르게 된다. 이를 하천(河川)이라 하며, 강·천·수 등으로도 불린다. 세종특별자치시의 경우 금강 수계에 포함된다. 하천법이 적용되는 하천이...
-
전라북도 장수군에서 발원하여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서해로 흘러드는 하천. 금강은 남한에서 한강과 낙동강 다음으로 가장 큰 하천이다. 본류는 전라북도 장수군의 신무산(神舞山)에서 발원하여 여러 지류와 함께 북쪽으로 흐른다. 충청북도 남서부 지역에서는 북서쪽으로 물길을 바꾸고 지류들과 합쳐져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이르러서는 남서 방향으로 물길이 바뀐...
-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덕학리에서 발원하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을 거쳐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대교천은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덕학리에서 발원하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금암리의 금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천이다.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도계리의 경계에 있는 다리의 이름을 따 ‘대교(大橋)’라고 명명한 장군면 대교리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에서 발원하여 백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문곡천은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을 흐르는 소하천에 해당하며, 조금만 가물어도 이내 물이 마르는 건천형 하천이다. 문곡천 주변의 지질은 흑운모편암과 중생대 쥐라기 반상화강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곡리 동쪽에 복두산이 있다. 문곡천의 주변에는 구릉지가 형성되어 있고, 곡저평야인 문곡...
-
충청북도 음성군 부용산에서 발원하여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의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미호천은 보강천과 합류하여 흐르다가 충청북도 청주시의 무심천(無心川)과 합류한 후 병천천과 만난다. 이후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으로 흘러 조천 등과 합류하여 금강으로 흘러드는 하천이다. 미호천은 아름다운 호수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지만 문헌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에서 발원하여 제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방축(方丑)’은 조선 후기 ‘도선’이 마을을 보고 방에 든 소같이 생겼다 하여 ‘방축골’이라 불렀으며, 방죽이 있어 ‘방축’이라고도 한다. 방축마을 이름을 본떠 방축천이 되었다. 방축천 주변의 지질은 중생대 쥐라기 흑운모화강암, 반상화강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류는 신생대 제4기 충적층으로 이루어...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와촌리에서 발원하여 미호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봉암(鳳岩)’은 주막거리 앞에 있는 마을이며, 주막거리는 예전부터 주막과 가게가 많아 사람들이 서성대는 거리라 하여 명명하게 되었다. 따라서 연서면 봉암리 동쪽의 봉황산에 봉황[鳳]바위가 있어서 봉암이라고 불리었으며, 봉암천의 명칭은 마을 이름 ‘봉암’에서 유래하였다. 봉암천 주변의 지질은...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행산리에서 발원하여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백천은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행산리에서 발원하여 부강리의 금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금강의 제1 지류이다. 백천 주변의 지질은 중생대 쥐라기 반상화강암, 흑운모화강암, 흑운모편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백천의 하도 양안에는 초본류 등이 덮여 있으며, 하천 주변에 넓은 충적지를 형성하여 주...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에서 발원하여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삼성천 주변의 지질은 중생대 쥐라기 흑운모화강암·반상편마상화강암과 선캄브라아시대 흑운모편마암·호상편마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삼성천은 상류에서 산지 사이를 곡류하며 흐르고 하천 양안은 퇴적물로 이루어진 모래톱과 수변식생이 어우러져 하천습지가 발달하였다. 삼성천 주변에는 평야와 낮은...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수산리에서 발원하여 미호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연기천은 금강의 제2 지류이며,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수산리에서 발원하여 세종리에서 미호천으로 흘러 들어간다. ‘연기(燕岐)’라는 지명은 옛 고을 이름인 ‘연기현(燕岐縣)’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연기천이라고 명명된 것으로 추정된다. 연기천 주변의 지질은 중생대 쥐라기 흑...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성강리에서 발원하여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용수천은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의 중부 및 남부를 곡류하여 금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금강의 제1 지류이다. ‘용수(龍水)’는 계룡산(鷄龍山)을 닮은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용수천이 계룡산에서 발원하여 금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천이다. 용수천 주변의 지질은 반상편마상화강암과 중생대...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에서 발원하여 미호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월하천은 연서면에서 금강의 제1 지류인 미호천으로 합류하여 금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조선 후기 세도가(勢道家)[정치 권력을 쥐고 휘두르는 사람 또는 집안] 민후건(閔後蹇)이 한양을 버리고 초야에 묻히기 위하여 마을을 만들고 풍류를 벗 삼아 살았다고 하여 세월 좋은 마을이라는 뜻에서 ‘월동(月洞)’이라...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서 발원하여 미호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조천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에서 발원하며 금강을 본류로 하고, 금강의 제1 지류인 미호천으로 합류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중심 하천이다. 조천은 갈대와 억새풀이 무성하게 우거져 있어 새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라는 의미로 ‘새내’라고 불리었으며, 한자로 ‘조천(鳥川)’이라 하여 명칭이 붙게...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발원하여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제천은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발원하여 나성동의 금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천이다. 제천(濟川) 주변의 지질은 중생대 쥐라기 반상화강암·흑운모화강암과 중생대 백악기 염기성암·산성암·충적층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천의 하도(河道)[물길] 양안에는 초본류(草本類)[초본 식물]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