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상여바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1354
한자 想麗-
영어공식명칭 Sangyeo Bawi
이칭/별칭 상려암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진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지명 전월산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지도보기
성격 암석설화
주요 등장 인물 임난수
모티프 유형 충신|암석유래담

[정의]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전월산에서 상여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상여바위」는 고려가 망한 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전월산에 들어가 은둔 생활을 한 임난수가 고려를 그리워하다 앉아 죽은 바위를 상려암(想麗巖) 또는 상여(想麗)바위라고 불렀다는 암석 유래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2004년 조치원문화원에서 발행한 『남면향토지』에 실려 있다.

[내용]

고려가 망하고 이성계가 조선을 세우자 임난수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에 있는 전월산으로 들어가 은둔 생활을 하였다고 한다.

임난수전월산에 움막을 짓고 산초와 풀뿌리를 캐 먹으며 살았다. 그리고 아침이면 산을 한 바퀴 돌며 고려를 그리워하였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 날 임난수전월산 벼랑 위에서 평평한 커다란 바위를 발견하였고, 바위에서 북쪽을 바라보며 망국의 한을 달래다가 노환으로 죽었다.

그 후 사람들은 고려를 그리워하던 충신 임난수를 기억하기 위하여 바위를 상려암 또는 상여바위로 불렀다고 전한다.

[모티프 분석]

「상여바위」는 조선 전기에 이미 망한 고려를 그리워하던 충신 임난수의 죽음을 주요 모티프로 삼고 있는 암석 유래담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