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강영당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900
한자 芙江影堂
영어공식명칭 Bugangyeongdang
이칭/별칭 이강영당
분야 역사/전통 시대,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완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711년연표보기 - 부강영당 건립
건립 시기/일시 1930년연표보기 - 부강영당 이강영당으로 복설
이전 시기/일시 1980년 - 이강영당 후곡리 탄현마을로 이건
훼철|철거 시기/일시 1800년대 후반 - 부강영당 훼철
원소재지 부강영당 - 문의현[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성격 건물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3칸

[정의]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있던 이만원의 영정을 모시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웠던 사당.

[개설]

이만원(李萬元)[1651~1708]은 연안이씨 태자첨사공파로,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후곡리에서 출생하였다.

이만원의 고조부 이광정(李光庭)은 호성공신에 녹훈(錄勳)[훈공을 장부나 문서에 기록함]되고 연원부원군에 봉해진 인물이며, 이광정의 딸은 숙종 계비인 인현왕후의 할머니이다.

이만원은 1693년(숙종 19) 평안도 관찰사로 임명될 때 연릉군(延陵君)에 봉해졌다.

이만원은 1695년 갑술환국(甲戌換局)[1694년(숙종 20)에 당시 집권층 남인(南人)이 폐비 민씨의 복위 운동을 꾀하던 일파를 제거하려다 도리어 화를 입은 사건] 이후 부강 지역으로 은거해서 본인의 호를 딴 이우당(二憂堂)을 짓고 육영서실(育英書室)을 운영하며 후학을 양성하였다.

[위치]

부강영당부강포구 부근에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변천]

이만원이 사망한 지 3년 후인 1711년 문의현에 살던 오두칠(吳斗七)[1646~?]이 주도하여 부강영당을 건립하였으며, 채팽윤(蔡彭胤)[1669~1731]이 상량문을 지었다.

상량문은 채팽윤의 문집 『희암집(希菴集)』 권25에 「이우당이연릉군만원영당상량문(二憂堂李延陵君萬元影堂上樑文)」으로 전한다.

부강영당은 1800년대 초까지 존속하였으나 서원훼철령이 내려진 고종 대 또는 그 이전에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1930년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후곡리에 이강영당(理江影堂)이라는 명칭으로 복설하였다는 기록이 『연안이씨 첨사공파 대보』에서 확인된다.

[현황]

부강영당은 현재 부강면에 남아 있지 않다. 이강영당은 1930년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후곡리 후곡마을에 건립되었다가 1980년 대청댐 공사로 마을이 수몰되면서 후곡리 탄현마을로 옮겨졌다.

이만원의 영정은 1792년 이만원의 외종손 채제공(蔡濟恭)[1720~1799]이 서울의 매선당(每善堂)으로 옮겨 이모본(移模本)[원 그림을 본떠서 그린 그림]을 제작하고 부강영당으로 다시 옮겨 봉안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채제공이 사망한 후 채제공의 영정을 부강영당에 함께 모셨다고 한다.

이만원의 영정은 이광정의 영정과 함께 현재 서울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