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회안리와 백곡면 구수리에서 김을 매면서 부르던 노래. 작물의 생장을 방해하는 쓸데없는 잡초를 손이나 연장으로 뽑아버리거나 흙에 묻어 없애는 일을 ‘김매다’라고 하며, 매는 곳에 따라서 ‘논매다’ 또는 ‘밭매다’라고 한다. 「김매기 노래」에는 「논매기 소리」와 「밭매기 소리」의 두 가지가 있다. 광혜원면 회안리와 백곡면 구수리에서 전승되고 있는 「...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나무하러 다니거나 쉬면서 부르던 노래. 「나무꾼 소리」는 나무꾼들이 산을 오르내리면서 지게 목발로 지게를 두드리면서 부르는 벌채노동요이다. 나무를 하는 신세에 대한 한탄이 많이 나오므로 흔히 「나무꾼 신세타령」이라고도 한다. 그 외에도 지역에 따라 「나무꾼 신세한탄 소리」, 「나무꾼 신세한탄 노래」, 「꼴베는 소리」, 「나무하...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여자들이 나물을 캐거나 뜯으면서 부르던 노래. 「나물 캐는 소리」는 진천 지역에서 아직 혼인을 하지 않은 큰애기, 곧 처녀들이나 젊은 여인들이 나물을 캐면서 부르던 채취노동요이다. 사설에 각종 나물의 이름이 다양하게 열거되어 있어서 「나물 노래」, 「나물 뜯는 노래」, 「나물 뜯는 소리」라고도 한다. 1993년 백곡면 구수리에...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서 어린아이들이 모래를 가지고 놀면서 부르던 노래. 「두꺼비 노래」는 모래밭에서 모래를 가지고 두꺼비집짓기 놀이를 할 때에 부르던 아동유희요이다. 「두꺼비 노래」는 덕산읍 구산리에서 채집되었지만 인근 지역에서도 볼 수 있으며,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을 정도로 일반화되어 있다. 두꺼비집짓기 놀이는 혼자서 하는 경우는 드물고, 여러...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구수리에서 방아를 찧으면서 부르던 노래. 「방개 소리」는 백곡면 구수리에서 논을 김매기하면서 부르는 「논매기 소리」의 일종인 토속민요이다. 우리나라 전역에서는 논농사와 관련된 노동요가 많이 채집된다.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는 「논매기 소리」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며, 「방아 소리」가 그 중 하나인데, 「방개 소리」는 이것의 변형이다...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장월리에서 선비가 자연을 벗 삼아 인생사를 읊은 노래. 「백구가(白鷗歌)」는 벼슬에서 밀려난 선비가 자연을 벗 삼아 갈매기가 날아다니는 봄 경치를 즐기는 한가로움, 자연 속에서 느끼는 무소유의 자유로움,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 등을 표현하고 있다. 「백구가」는 사설 첫 머리의 ‘백구야 가지를 마라’에서 백구를 차용하여 명명한 것이다. 이...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시집살이의 고달픔을 읊은 노래. 「시집살이 노래」는 여성들이 부르던 부요(婦謠)로서, 봉건적 가족 관계 속에서 겪는 여성들의 한스러운 삶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다. 이를 「시어머니 노래」라고도 한다.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채록된 「시집살이 노래」의 사설은 출가한 여성이 힘들고 고된 시집살이를 겪고 난 후 좋은 시절이 온 것을...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와 백곡면 갈월리에서 아이를 재우면서 부르던 노래. 진천 지역에서 아이를 재울 때 부르던 육아노동요의 하나로, 지역에 따라 「자장가」, 「자장 노래」, 「아기 재우는 노래」 등으로 불린다. 대체로 아이의 어머니, 할머니가 아이를 재우면서 부르나 때로는 할아버지가 부르기도 한다. 「아이 재우는 소리」는 노래 구연의 목적이 동일하기 때문에 사설...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멀리 떠난 남편을 그리워하는 여성요. 「임 그리는 노래」는 진천군 초평면과 광혜원면에서 전승되는 소리로서 멀리 떠나서 소식이 없는 남편을 그리워하는 여성들의 가창유희요이다. 대부분 여성들이 혼자서 음영(吟詠)하며, 일반적으로 3분박 4박자의 리듬을 보이고 있다.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 수문마을의 주민 최권식[남, 60]...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구산리에서 어린아이들이 잠자리를 잡으면서 부르던 노래. 「잠자리 노래」는 덕산면 구산리에서 어린이들이 잠자리를 잡을 때 부르던 동요이다. 사설의 첫머리인 ‘나마리동동 싸리[파리]동동’에서 ‘나마리’를 차용하여 「나마리 노래」라고도 한다. 예전의 어린이들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여러 동물들을 놀이의 대상으로 삼았다. 낮게 날아다니면서 주위...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후렴에 ‘아리랑 아리랑’을 부르는 아리랑류의 민요. 「초평아리랑」은 광혜원면 실원리, 백곡면 구수리, 덕산면 구산리·석장리 등의 일원에서 채집되고 있는 토속민요이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라는 후렴구를 노래하면서 장절을 나누고 있다. 리듬 박자는 3분박 4박자로 되어 있다. 이종수와 이재복의 노래는 사설...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여인이 자신의 운명을 탄식하며 부르는 민요. 「팔자요」는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에서 전승되는 노래로 어려서부터 늙을 때까지 여인의 풍모와 심정을 형상화한 여자탄식요이다. 이를 「신세한탄 노래」·「세월한탄 노래」라고도 일컫는다. 혼자 부르는 경우가 많으며, 음영(吟詠)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사설은 3·4조 내지 4·4조로 되어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와 초평면 금곡리에서 화투놀이를 하면서 부르던 노래. 「화투뒤풀이」는 광혜원면 실원리와 초평면 금곡리에서 채집된 노래로서, 12종류의 그림으로 이루어진 화투 그림을 1년 열두 달에 비유하고 월별에 따라 해학적으로 풀이한 달거리식[月令體]의 토속민요이다. 이를 「화투 타령(花鬪打令)」, 「화투 노래」, 「화투푸리」라고도 한다. 「화...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환갑의 부모가 자식에 대한 마음을 담아 부르는 유희요. 「회갑 노래」는 진천군 문백면 장월리에서 회갑이 된 부모가 자식들에 대한 사랑과 소망을 사설로 엮어서 부르는 토속민요이다. 이를 「환갑 노래」라고도 일컫는다. 회갑 때에 회갑을 맞이한 사람이 부르던 소리로서,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민요는 찾아보기 어렵다. “하늘 같은 우리 가장 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