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300925 |
---|---|
한자 | 城內里觀察使不忘碑群 |
영어공식명칭 | Seongnaeri Memorial Stones for Good Gwanchalsa |
이칭/별칭 | 관찰사 공적비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 346-3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수경 |
건립 시기/일시 | 1711년 9월 - 성내리 관찰사불망비군 관찰사 이진수 비 건립 |
---|---|
건립 시기/일시 | 1817년 - 성내리 관찰사불망비군 관찰사 김계온 비 건립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1648년 - 성내리 관찰사불망비군 관찰사 이진수 출생 |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 1716년 - 성내리 관찰사불망비군 관찰사 이진수 사망 |
현 소재지 | 서림공원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 346-3 |
성격 | 비|불망비군 |
양식 | 석비 |
관련 인물 | 이진수|김계온 |
재질 | 석재 |
크기(높이, 너비, 두께) | 130㎝[이진수 비 높이]|59㎝[이진수 비 너비]|24㎝[이진수 비 두께]|77㎝[김계온 비 높이]|51㎝[김계온 비 너비]|13.5㎝[김계온 비 두께] |
소유자 | 해남군 |
관리자 | 해남군 |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 서림공원 내에 있는 조선 후기 관찰사 이진수와 김계온의 선정과 공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2기의 비.
[개설]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 서림공원 내에 있는 17기의 비 중 관찰사불망비(觀察使不忘碑群)는 2기가 있다. 관찰사(觀察使)는 조선시대 각 도에 파견되어 지방 통치의 책임을 맡았던 최고의 지방 장관으로 감사(監司)·도백(道伯)·방백(方伯)·외헌(外憲)·도선생(道先生)·영문선생(營門先生) 등으로도 불리었다. 관찰사의 기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외관(外官)의 규찰이라는 관찰사 고유의 기능이다. 즉, 왕의 특명을 받은 사신으로 끊임없이 도내를 순력하면서 1년에 두 차례 수령을 비롯한 모든 외관에 대한 성적을 평가하고, 보고하는 일이었다. 둘째는 지방 장관의 기능으로, 모든 외관의 상급 기관으로 도내의 모든 군사와 민사를 지휘·통제하였고, 독자적으로 일을 처리할 수 있도록 상당한 정도의 직단권(直斷權)이 주어졌다. 따라서 각 도의 병마절도사·수군절도사를 겸임하였다.
[건립 경위]
성내리 관찰사불망비군은 이진수, 김계온이 전라도관찰사로 재직하면서 베푼 공로를 기려 1711년, 1817년 각각 불망비를 건립하였다. 불망비를 건립한 주체는 확인할 수 없다.
[위치]
성내리 관찰사불망비군은 해남군 해남읍 구교리 346-3 서림공원 내에 있다.
[형태]
성내리 관찰사불망비군 중 관찰사 이진수 비는 좌대와 비몸을 갖추고 머리에는 용문을 장식하였으며, 비의 재질은 돌이다. 비의 크기는 높이 130㎝, 너비 59㎝, 두께 24㎝이다. 관찰사 김계온 비는 좌대와 비몸을 갖추고 머리에는 용문을 장식하였으며, 비의 재질은 돌이다. 비의 크기는 높이 77㎝, 너비 51㎝, 두께 13.5㎝이다.
[금석문]
성내리 관찰사불망비군 중 관찰사 이진수[재임 1709. 4~1711. 2] 비 앞면 가운데에 ‘관찰사이공진수(觀察使李公震壽)’라고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강희 오십년 구월 일 립(康熙 五十年 九月 日 立)[강희 오십년 구월 일에 세웠다]’이라고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강희 50년은 1711년(숙종 37)이므로 이진수 비는 1711년 9월 세웠음을 알 수 있다.
관찰사 김계온[재임 1814. 3~1815] 비 앞면 가운데에 ‘관찰사김공계온영세불망비(觀察使金公啓溫永世不忘碑)’라고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가경 이십이년(嘉慶 二十二年)’라고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가경 22년은 1817년(순조 17)이므로 김계온 비는 1817년 세웠음을 알 수 있다.
[현황]
성내리 관찰사불망비군은 서림공원 내에 있는 다른 비들과 더불어 비지정문화재이나 해남군이 관리하고 있으며, 관리 상태도 양호하다.
[의의와 평가]
성내리 관찰사불망비군은 조선 후기 관찰사불망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