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300430 |
---|---|
한자 | 縣山斗毛里貝塚 |
영어공식명칭 | Hyunsan Dumori Shell Mound |
이칭/별칭 | 백포리 두모 패총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터 |
지역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두모길 23-30[백포리 산63-1] |
시대 | 고대/선사 시대 |
집필자 | 정영희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6년 - 해남 현산 두모리 패총 목포대학교박물관에서 지표 조사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2년 - 해남 현산 두모리 패총 지표 재조사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1년 11월 7일 - 현산 두모리 패총 해남군 향토문화유산 제5호로 지정 |
소재지 | 현산 두모리 패총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두모길 23-30[백포리 산63-1] |
성격 | 패총 |
지정 면적 | 20,000㎡ |
문화재 지정 번호 | 해남군 향토문화유산 제5호 |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백포리 두모마을에 있는 신석기시대부터 철기시대까지의 조개더미.
[개설]
현산 두모리 패총(縣山斗毛里貝塚)은 해남군 현산면 백포리 두모마을에 있다. 2001년 11월 7일 해남군 향토문화유산 제5호로 지정되었다.
[변천]
1986년 목포대학교박물관의 『해남군의 문화유적』 보고서에서는 ‘백포리 패총’으로 보고하였는데, 이후 2002년 『문화유적 분포지도』 보고서에서는 ‘백포리 두모 패총③’으로 정정하였다. 더불어 유적 주변으로 지점을 달리하여 ‘백포리 두모 패총①’, ‘백포리 두모 패총③’ 2개소가 추가로 조사되었다.
[위치]
해남 현산 두모리 패총은 백포만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두모마을 일대에 있다. 두모마을 일대는 본래 섬이었으나 간척으로 연륙된 곳이다. 백포리 두모 패총①은 장등마을에서 두모마을로 가는 도로 왼쪽의 장등들이라 불리는 곳에 있다. 백포리 두모 패총②는 두모마을 뒷산[해발고도 60m]의 남동쪽 경사면에 있다. 유적은 마을 뒤 대나무밭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현재 해수면으로부터 해발고도 30m에 이르는 곳까지 경사를 이루며 조개더미가 형성되어 있다. 백포리 두모 패총③은 두모마을 뒷산의 남서쪽 경사면에 있다. 현재 해수면으로부터 해발고도 30m에 이르는 곳까지 경사를 이루며 패총이 형성되어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해남 현산 두모리 패총은 지표조사만 이루어졌다. 1986년 목포대학교 박물관이 처음으로 지표조사를 하였고, 2001년 11월 7일 해남군 향토문화유산 제5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이후 2002년 『문화유적 분포지도』 제작 시 다시 지표조사가 되었다. 해남 현산 두모리 패총은 간척 공사가 이루어지기 전에는 하나의 섬이었으며, 섬 전체에서 조개껍데기가 확인되었다. 백포리 두모 패총①의 조개껍데기층은 주로 굴과 꼬막 껍데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2002년 『문화유적 분포지도』 제작과 관련한 지표조사 보고에 따르면 경지정리 작업으로 인해 삭평되어 경작지로 활용되고 있으며 바닥에서는 소량의 유물이 확인되었다. 출토 유물은 빗살무늬토기편과 민무늬토기편, 타날문토기편 등이다. 백포리 두모 패총②는 두모마을 뒷산의 남동쪽 경사면에 조개껍데기층 단면이 노출되어 있다. 조개껍데기층은 대부분 굴과 꼬막 껍질로 형성되어 있다. 출토 유물은 빗살무늬토기편과 경질무문토기편, 타날문토기편 등이다. 백포리 두모 패총③은 두모마을 뒷산의 남서쪽 경사면에 층 단면이 노출되어 있다. 조개껍데기층의 두께는 50~200㎝이고 범위는 길이가 100m, 너비가 100m 정도이다. 유물은 조개껍데기층에서 확인되었다. 출토 유물은 빗살무늬토기 구연부편과 민무늬토기 저부편, 타날문토기 저부편 등이다.
[현황]
백포리 두모 패총①은 경지정리 작업으로 삭평되어 경작지로 활용되고 있으며 백포리 두모 패총②는 마을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일부가 훼손되었다. 백포리 두모 패총③은 해태 가공 공장이 들어서면서 조개껍데기층의 상당 부분이 유실된 상태이다.
[의의와 평가]
해남 현산 두모리 패총이 있는 해남군 현산면 백포리 백포만 연안은 지석묘군과 패총, 유물산포지, 고분 성지 및 봉수 등 다양한 유적이 분포하고 있어 선사시대부터 지속적으로 주민이 살았음을 말해 주고 있다. 특히 해남 현산 두모리 패총은 출토 유물과 규모로 보아 신석기시대부터 철기시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인근의 송지면 해남 군곡리 패총과 함께 패총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며 전라남도 지역의 대표적인 조개더미 유적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