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701669
한자 雙梧亭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종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한시
작가 박제형(朴齊珩)
창작연도/발표연도 조선 후기

[정의]

조선 후기 박제형이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 있는 쌍오정에 올라 주변의 경관을 읊은 칠언절구의 한시.

[개설]

쌍오정(雙梧亭)은 조선 후기 문신 회와(晦窩) 이인엽(李寅燁)[1656~1710]이 벼슬길을 버리고 초평으로 낙향하여 지은 정자로, 현재는 터만 남아 있다. 이인엽이시발(李時發)의 손자로, 숙종이 중전 민씨를 폐하려 하자 재야 서인 인사들과 더불어 반대소를 올리는 데 참여하였다. 그 뒤 정계에 복귀하여 양역변통(良役變通)을 주관하였으며, 강화유수로서 치적을 남겨 사당이 세워졌다. 벼슬이 행이조판서·홍문관대제학에 이르렀다.

[내용]

심신산의 대세가 이리로 와서[二水三山大勢來]

쌍오정이 되고 그 아래는 봉황대로다[雙梧亭下鳳凰臺]

이대에 금릉이 있는 것은 아니니[比臺未必金陵有]

흥을 돋운들 어찌 이백 배만 하리오[引興何如李白杯]

[의의와 평가]

「쌍오정」에서 작자는 봉황대가 반드시 금릉(金陵)에 있어야 할 까닭은 없지 않느냐며, 쌍오정 아래 봉황대에서 마시는 술이 이백(李白)이 마시던 술보다 맛이 더 좋다고 자족하고 있다. 쌍오정이 있는 초평면 용정리 양촌마을이 길지임을 예찬하며 삶의 만족과 자족을 그리고 있는 작품으로, 작가인 판교(板橋) 박제형(朴齊珩)의 호방한 기질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