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향사소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701651
한자 鄕射小琴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권희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한시
작가 채지홍(蔡之洪)[1683~1741]
창작연도/발표연도 조선 후기

[정의]

조선 후기 채지홍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에 있는 어은동의 풍광을 읊은 칠언율시의 한시.

[개설]

「향사소금(鄕射小琴)」채지홍(蔡之洪)[1683~1741]이 어은동의 경치를 노래한 어은팔경시(魚隱八景詩)의 하나이다.

[내용]

해마다 가을 때면 사정(射亭)에 나아가니[年年飮射趁秋成]

군자는 다툼이 없지만 여기 다툼이 있지[君子無爭亦有爭]

세상이 태평한데 왜 과녁을 뚫으려 하는가[世泰何勞箭貫革]

덕은 취할 수 없어 술을 기울이기를 경계함이라[德將須戒酒傾罌]

세 번 연거푸 맞추는 묘한 기예는 이보(狸步)처럼 정연하고[三連妙藝循狸步]

온 자리에 맑은 노랫소리는 녹명(鹿鳴)의 잔치로다[一座淸歌和鹿鳴]

시골 노인들이 여기서 임금의 권력을 느끼겠는가[野老豈知皆帝力]

석양녘 취하여 거리에 가득 돌아가네[夕陽扶醉滿街行]

[특징]

활쏘기를 통해 수양을 하고 덕을 기르며, 권력도 통치가 없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모두 술에 취하여도 다들 자신이 돌아갈 곳으로 돌아간다는 무위지치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