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700802 |
---|---|
한자 | 介德 |
영어음역 | Gaedeok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연정 |
성격 | 충비 |
---|---|
출신지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
성별 | 여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충비(忠婢).
개덕은 문백면 파재에 살던 유의직 집안의 종이었다. 유의직이 태어나기 5개월 전에 유의직의 아버지가 죽고, 또한 유의직이 태어난 지 3개월 만에 어머니 최씨마저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이에 개덕은 젖먹이 자식에게는 미음을 먹이고 유의직에게는 자신의 젖을 먹여 키웠다. 그 후 개덕은 유의직이 성장하자 채지홍(蔡之洪)에게 학문을 배워 집안을 온전히 이어가게 했으며, 유씨 집안의 모든 제사를 정성껏 받들어 모시고 살림을 잘 보전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개덕의 남편 말금(末金)은 아들을 데리고 충주 쪽으로 갔다고 한다.
묘소는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옥성리 39번지 무사골의 유씨 집안 선산에 있다.
개덕의 충의심에 감동한 진천 고을 유림들이 현감에게 글을 내어 충비로서 상을 받았다. 고산(鼓山) 임헌회(任憲晦)가 그 때의 일에 대해 쓴 것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