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700404 |
---|---|
한자 | 廣興寺石造如來坐像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월성리 산 2 |
시대 | 고려/고려 전기 |
집필자 | 정연승 |
성격 | 석조 불상 |
---|---|
제작시기/일시 | 고려 전기 |
제작지역 | 충청북도 진천군 |
재질 | 화강암 |
높이 | 97㎝ |
소장처 |
광흥사
![]() |
소장처 주소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월성리 산 2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월성리 광흥사에 있는 고려 전기의 석조 불상.
진천군 광혜원면 월성리 산 2번지 광흥사 경내에 있는 석조여래좌상은 고려 전기에 조성된 것이다. 본래 만승면 광혜원리 451번지 광혜원리 절터에 있었으나 1984년 지금의 광흥사로 이전되어 봉안된 것이다.
광흥사 석조여래좌상은 화강암 재질로, 파손과 마멸이 심하여 본래 모습을 추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높이 97㎝의 남아 있는 불상의 모습을 가늠하여 본래의 모습을 추출해 보면 파손되기 전에는 대좌와 광배를 갖춘 완전한 불상이었으나, 지금은 대좌의 일부분인 상대석과 불신, 광배의 일부분만 남아 있다. 불상은 발견 당시부터 목 위의 불두가 소실되었기 때문에 후에 다시 만들어 복원하였다. 반쯤 남아 있는 광배에는 두 줄의 양각선과 화염문(火炎文)이 보인다.
결가부좌한 다리는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두 손은 합장을 하고 있다. 법의는 통견으로 되어 있으며, 두꺼운 옷 주름이 양 어깨부터 무릎 아래까지 비교적 잘 남아 있다. 상대석은 8각으로 되어 있고, 연화문은 16개의 홑꽃잎으로 앙련(仰蓮)[연꽃이 위로 향한 것처럼 그린 모양]하였다. 광배는 불신과 하나의 석조로 되어 있으며, 절반가량이 파손된 상태이고, 당초 보주(寶珠)[위가 뾰족하고 좌우 양쪽과 위에 불꽃 모양의 장식을 단 구슬]형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광흥사 석조여래좌상은 현재 소실된 불두를 새로 석조하여 접합하였기 때문에 몸체와 불두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며, 불상의 옷 주름과 대좌, 광배의 양식이 옛 격식을 갖추고 있다.
광흥사 석조여래좌상은 전체적인 형태나 조각된 수법으로 보아 나말여초(羅襪麗初)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며, 특히 팔각의 부등변(不等邊) 대좌는 당시의 시대 전통을 잘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