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구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관개 시설. 하고척 제언은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위치와 크기가 자세하여 조선 후기 이전부터 사용하던 관개 시설임을 알 수 있다. 『여지도서』 진천현(鎭川縣) 제언(堤堰)에는 하고척제(下古尺堤)가, “현의 북쪽 15리에 있다. 둘레는 467척이고, 길이는 250척, 너비는 108척, 깊이는 4척 5촌이...
-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외구마을은 일명 효자촌(孝子村)이라고도 불린다. ‘효자촌’이란 이명(異名)에서 알 수 있듯이 외구마을은 예부터 어른을 공경할 줄 알고, 예의가 바르며, 부모님을 잘 섬기는 동네로 유명했다고 한다. 신중희 할아버지는 우리에게 최유경, 최사흥 부자 효자문에 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할아버지의 설명을 듣고 외구마을 오른쪽으로 나 있는...
-
삼덕리 상덕마을 대동계 날, 우리는 상덕노인회관에서 마을 어른들을 만나 상덕마을의 이모저모에 관해 재미있는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마을 어른들은 6·25전쟁 당시 다리를 다쳐 지금까지 불편함을 감수하고 살아가고 있는 최인환 할아버지와 그의 아내 조금년 할머니를 가리키며 삼덕리의 자랑거리라고 말하였다. 둘 다 삼덕리에서 태어나서 자랐고, 올해 결혼한 지 60주년이 되...
-
삼덕리 하덕마을에서 노인회장을 18년이나 역임했다는 김상근 할아버지는 88세지만 매우 정정한 모습이었다. 할아버지는 노인회장을 하기 전에는 이장도 오랫동안 했다면서 이장을 하면서 있었던 재밌는 이야기와 애로 사항을 들려주었다. 지금은 마을 이장들도 일정한 봉급을 받고 있지만, 할아버지가 이장을 맡아 보던 시절에는 그런 제도가 없었다고 한다. “그때는 이장 봉급도 없어....
-
진천은 원래 침수 피해가 없는 지역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병술년[1946년]에는 무슨 일인지 장마가 심하게 져서 진천 지역 주민들의 피해가 무척 심했다. 특히 진천읍 삼덕리 주변은 다른 지역에 비해 큰 피해를 입어서 마을 주민들이 집단으로 이주를 하기에 이르렀다. 당시 진천읍 중성리와 오감리, 삼덕리 하덕마을의 경우 “물을 퍼부었다”라고 표현할 만큼 많은 비가 왔다....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용몽리에 있던 조선시대 관개 시설. 하몽미동(下蒙未洞) 제언은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위치와 크기가 자세하여 조선 후기 이전부터 사용하던 관개 시설임을 알 수 있다. 하몽미동 제언을 달리 아래몽촌못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이곳의 지명은 몽촌(夢村)이라고도 하는데, 과거 시험을 준비하던 선비가 꿈에 잘못을 저질러 용왕의 미움을 산 용왕의...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지암리에 있는 건축 소재 제조업체. (주)하우솔은 건축 분야 중 외장재와 내장재에 집중하여 신소재를 개발·생산하기 위하여 2003년 1월 14일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1월 25일 진천읍 지암리에 공장을 준공하였다. 건축 내장재와 외장재, 산업용 자재의 제조·판매 및 수출을 주요사업으로 삼고 있다. 주요 업무는 구조용 금속판 제품 및 금...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육지 표면의 자연 수계를 따라 물이 흘러 형성된 물길과 계류. 하(河)는 원래 중국의 황허 강[黃河]을 일컫는 고유 명사였다가 나중에 보통 명사가 되었다. 천(川)은 유수가 흘러내리는 상태를 나타낸 상형 문자이다. 하와 천은 엄밀한 구별은 없으나 영국과 미국 등지에서는 가항 하천[河: river]과 보통의 강(江)[川: river, stream],...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에 있는 수령 200년의 보호수. 학당 느티나무는 높이 16m, 가슴높이 둘레 4m, 뿌리 부분 둘레 2.5m, 나무갓 너비 26m이다. 학당 느티나무는 1982년 11월 11일 노거수로서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관리면적은 4㎡이고, 유주영이 관리를 하고 있다. 나무 아래는 흙과 자갈로 되어 있으며, 사면이 개방되어 있다. 나무 안쪽으로 표지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에서 매년 9~10월 진천문화원 주관으로 개최되던 경시 대회. 학생예능경시대회는 진천군에 거주하는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리기·글짓기·서예 분야의 예능을 평가하는 대회였다. 예능적 재능을 지닌 학생들에게 발표의 장을 마련해 주어 문예적 소양을 발굴·육성하는 계기로 삼았으며, 청소년들이 미래를 향해 힘차게 도약하는 예능인으...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중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인성 교육 강화로 함께 사는 민주 시민의 태도를 기르는 민주인, 사물을 올바르게 관찰하고 처리하는 과학적인 태도를 기르는 과학인, 기초 학력을 신장하고 탐구하는 학구적인 학습 태도를 기르는 면학인, 건전하고 위생적인 생활 습관과 강인한 체력을 기르는 건강인, 자연을 사랑하고 주변 환경을 아름답게 가꾸는 정서적인 생활...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중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인성 교육 강화로 함께 사는 민주 시민의 태도를 기르는 민주인, 사물을 올바르게 관찰하고 처리하는 과학적인 태도를 기르는 과학인, 기초 학력을 신장하고 탐구하는 학구적인 학습 태도를 기르는 면학인, 건전하고 위생적인 생활 습관과 강인한 체력을 기르는 건강인, 자연을 사랑하고 주변 환경을 아름답게 가꾸는 정서적인 생활...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연일(延日). 본명은 정영택(鄭永澤), 호는 학주(學輈), 자는 성장(性長)이다. 1873년(고종 10) 12월 3일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태락리에서 출생하였다. 구한말 애국계몽운동을 하다 합방이 되자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하였다. 만주사변 뒤에는 상해에서 동아국제연맹을 조직, 활동하다 체포되었다. 광복후에도 남북통일기성회 회장으...
-
삼덕리 상덕마을 사람들은 농번기가 아니더라도 일손을 놓는 일이 거의 없다. 나이 든 분들도 관에서 주관하는 일일 근로 사업에 나가 적은 돈이라도 꼭 번다고 자부심이 대단하다. 어떤 분은 마을 뒤켠에 있는 하우스 시설 단지에서 딸기와 머위 그리고 부추 재배 등의 일손을 도와 하루 일당을 받아 오기도 한다. 주민들은 개인당 열서너 마지기의 쌀농사를 짓고 있는데, 요즘은 장정...
-
진천군 덕산읍 용몽리 산91-2번지에 위치한 채경언 효자문은 조선 인조 때인 1743년에 채경언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채경언 효자문은 목조 건축물로 비지정 문화재이다. 마을 가운데 약간 언덕진 곳 마을 우물 맞은편에 채경언 효자문이 있어서일까, 몽촌마을이 더 멋있어 보인다. 채경언이란 분에 대해 아느냐고 채건병 할아버지께 물었더니 자신의 12대조 할아버지...
-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효자이자 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경행(景行), 호는 동우(東愚). 양절공(襄節公) 한확(韓確)의 15세손이다.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출생한 한경석(韓景錫)[1878~1945]은 부친상을 당하였을 때 묘소 아래에 여막을 짓고 지냈다. 농사를 짓고 산에서 나무를 하면서 모친 봉양에 온 정성을 기울였다. 언제나 유순한 마음으로 모친의...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지역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숙구(叔久), 호는 설봉(雪峰)·한계(閑溪)·청월헌(聽月軒). 증조할아버지는 강인(姜璘)이고, 할아버지는 강운상(姜雲祥)이다. 아버지는 강주이며, 어머니는 안동김씨로 김응서(金應瑞)의 딸이다. 부인은 김광수(金光燧)의 딸로 안동김씨이다. 아들은 강선(姜銑)과 강현(姜鋧)을 두었다. 강백년(姜栢年)[1603...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삼덕리에 있는 한국국악협회 산하 진천 지역 지부. 국악은 우리 민족만이 지닌 고유한 문화의 하나로서 우리 민족의 역사와 같이 하며 발전한 민족 예술이다. 한국국악협회 진천군지부(韓國國樂協會 鎭川郡支部)는 이러한 우리나라의 전통 문화는 물론 진천 지역의 다양한 국악 관련 문화를 지속적으로 보존 및 계승해 나가기 위해 설립되었다. 한국국악협...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충북지역본부 소속의 지사. 한국농어촌공사 진천지사는 농어촌 정비 사업과 농업 기반 시설의 종합 관리, 환경 친화적 농업 생산 기반 구축, 농업인의 영농 규모 적정화 촉진 등으로 생산성을 증진하고 농어촌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42년 설립된 한국농어촌공사 진천지사는 1961년 11...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에 있는 농민 단체. 한국농업경영인 진천군연합회는 과학 영농과 농촌 문화 창달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농업인의 권익 보호와 복리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1986년 2월 설립되었다. 농업 기술의 보급 및 실천을 통한 지역 농업 선도, 읍·면 농업경영인회 조직 활성화를 통한 친목과 정보 교류, 농업경영인의 발전과 향상을 위한 농업경영인...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에 있는 농민 단체. 한국농업경영인 진천군연합회는 과학 영농과 농촌 문화 창달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농업인의 권익 보호와 복리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1986년 2월 설립되었다. 농업 기술의 보급 및 실천을 통한 지역 농업 선도, 읍·면 농업경영인회 조직 활성화를 통한 친목과 정보 교류, 농업경영인의 발전과 향상을 위한 농업경영인...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송두리에 있는 한국도로공사 충청지역본부 소속 진천 지역 지사. 한국도로공사 충청지역본부 진천지사는 1987년 12월 1일 중부고속도로 하남IC~남이JCT 구간 개통과 더불어 고속도로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해 설립되었다. 고속도로 신설·확장 및 유지 관리, 부대 및 편의 시설의 설치와 관리, 고속도로 연접 지역 개발 사업 등과 관련된 사업과...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송두리에 있는 한국도로공사 충청지역본부 소속 진천 지역 지사. 한국도로공사 충청지역본부 진천지사는 1987년 12월 1일 중부고속도로 하남IC~남이JCT 구간 개통과 더불어 고속도로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해 설립되었다. 고속도로 신설·확장 및 유지 관리, 부대 및 편의 시설의 설치와 관리, 고속도로 연접 지역 개발 사업 등과 관련된 사업과...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 있는 한국문인협회 산하 진천지부. 한국문인협회 진천지부는 충청북도 진천군의 향토 문학 발전과 회원 상호 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문학인의 권익을 옹호하며 경향 각지의 문학인들과의 교류를 촉진하고자 설립되었다. 충청북도 진천군에서는 1962년 7월 일찍이 ‘박꽃동인’이라는 문학회가 조직된 바 있다. 이후 1980년 1월 2...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 있는 한국문인협회 산하 진천지부. 한국문인협회 진천지부는 충청북도 진천군의 향토 문학 발전과 회원 상호 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문학인의 권익을 옹호하며 경향 각지의 문학인들과의 교류를 촉진하고자 설립되었다. 충청북도 진천군에서는 1962년 7월 일찍이 ‘박꽃동인’이라는 문학회가 조직된 바 있다. 이후 1980년 1월 2...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광혜원리에 있는 초경합금 공구 전문 제조업체인 한국야금의 공장. 1966년 6월 11일 회사를 설립하고 1970년 주우전기공업(주)와 합작 투자 및 기술 제휴하였다. 1974년 6월 청주공장으로 이전하였고, 1987년에 생산기술연구소를 설립하였다. 1995년 진천공장을 준공하였으며 2000년에는 진천합금 제2공장을 준공하였다. 2007년에는 미국...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인산리에 있는 정밀 계측 장비 제조업체인 한국에이엔디의 공장. 한국에이엔디(주) 진천공장은 전기식 지시저울[전자저울] 분야의 상업용·산업용 제품을 생산, 판매, 수출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1986년 8월 1일 제이씨 계량기 SYSTEM으로 설립되었으며 1990년 12월 4일 일본 A&D와 합작하여 한국에이엔디(주)로 법인 전환하였다. 1...
-
충청북도 진천군에 있는 한국연예예술인협회 산하 진천 지역 지부. 한국연예예술인협회 진천군지부는 진천 지역 대중 예술의 중심에 서서 정서 함양에 밑거름이 되고 생활의 활력소가 됨으로써 군민들의 삶의 질을 더욱더 풍요롭게 만들어 주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8년 8월 16일 진천군의 대중문화와 예술을 지향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한국연예예술인협회 진천군지부가 설립되...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 있는 한국자유총연맹 진천군지회 소속 여성 단체. 한국자유총연맹 진천군지회여성회는 지역 발전을 위한 이념을 통해 각종 사회봉사를 실천하고 진천군 내 안보 의식 교육을 실천하고자 설립되었다. 1987년 설립하였고, 2004년 7월 어머니 포순이 봉사팀을 발족하였다. 자유 민주주의 신장 활동으로 자유 수호 웅변대회, 자유 수호 안보...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충북본부 소속 진천 지역 지점. 한국전력공사 충북본부 진천지점은 전원 개발의 촉진과 전기 사업의 합리적인 운영을 통하여 지역 전력 수급의 안정을 도모하고 나아가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42년 4월 남선전기(주) 대전지점 진천출장소로 처음 발족했으며, 1961년 7월 조선전업·경성전기·남...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충북본부 소속 진천 지역 지점. 한국전력공사 충북본부 진천지점은 전원 개발의 촉진과 전기 사업의 합리적인 운영을 통하여 지역 전력 수급의 안정을 도모하고 나아가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42년 4월 남선전기(주) 대전지점 진천출장소로 처음 발족했으며, 1961년 7월 조선전업·경성전기·남...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충북본부 소속 진천 지역 지점. 한국전력공사 충북본부 진천지점은 전원 개발의 촉진과 전기 사업의 합리적인 운영을 통하여 지역 전력 수급의 안정을 도모하고 나아가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42년 4월 남선전기(주) 대전지점 진천출장소로 처음 발족했으며, 1961년 7월 조선전업·경성전기·남...
-
1950년 발생한 남·북한 전쟁 시기에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전개된 7월 7일~10일의 싸움. 좌익과 좌우 합작파의 반발 속에서 출범한 대한민국의 이승만 정부는 경제난까지 겹쳐 국민의 신임을 얻지 못하였다. 게다가 1948년 제주 4·3사건, 여수순천 반란사건까지 일어나고 지리산과 태백산 일대에는 1950년 봄까지 좌익 게릴라 활동이 계속되어 내전에 가까운 상태로 치달았다. 19...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에 있는 한국충청가수협회 산하 진천 지부. 진천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가수 및 밴드 등을 발굴하고, 나아가 지역의 문화예술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9년 3월 13일 설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진천군 출신 또는 지역에서 활동하는 가수들을 발굴하여 실력을 가다듬을 수 있도록 하며, 밴드를 구성하여 지역 및...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장관리에 있었던 한국환경자원공사 충북지사 소속 진천 지역 사업소. 한국환경자원공사는 환경부에서 행하는 폐기물 정책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공공 기관으로 진천사업소는 청주사업소, 충주사업소와 함께 충북지사에 소속된 3개 사업소 중 하나였다. 한국환경자원공사 진천사업소는 진천 지역의 폐기물 발생 억제와 재활용 및 적정 처리로 순환형...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에서 버섯과 소고기로 만든 향토음식. 한약재를 곁들인 불고기 요리는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건강 요리이다. 특히 현대로 접어들면서 건강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참살이 바람이 불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참살이를 추구하는 경향이 늘어나게 되었다.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에 있는 길손식당에서도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다양한 효능을 지닌 버섯과 한방 육수...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화산리 초평저수지에서 붕어와 닭을 재료로 만드는 향토음식.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에 있는 초평저수지 인근에는 붕어를 비롯한 각종 민물 생선을 이용한 요리들이 매우 발달하였다. 그중에서도 한방붕어용봉탕은 약 30년 전에 생겨난 음식으로 현재 초평저수지와 두타산을 찾는 관광객들이 보양식으로 많이 찾는다. 초평저수지에는 예로부터 참...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에서 한방 육수와 오리로 만든 향토음식. 한방오리는 산 오리와 십전대보탕이 조화를 이룬 음식으로 먼저 오리고기의 맛을 느낀 다음 육수에 찹쌀 누룽지를 삶아 먹는 영양 만점의 향토음식이다. 특히 맛이 담백하고 깔끔하여 오리고기에 대한 거부감이 거의 들지 않으며, 고소한 누룽지를 곁들여 먹을 수 있어 더욱 감칠맛이 나는 보양식이다. 충...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용몽리에서 오리로 만든 향토음식.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에 위치한 대가의 대표음식은 한방오리백숙과 오리구이이다. 기존의 오리백숙과는 달리 오리의 기름기를 잡아주기 위해 다양한 한약재를 넣어 백숙을 끓인다. 오리고기 특유의 냄새를 없애기 위해 약재들을 연구하고 『동의보감(東醫寶鑑)』 등의 책을 참고하여 현재의 한방오리백숙을 완성하였다....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옥성리에 있는 의병장 한봉수의 의거를 기념하는 비. 한봉수(韓鳳洙)[1883~1972]는 충청북도 청원군 북일면 세교리에서 태어났다.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서 1910년까지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강원도에서 항일투쟁을 벌인 의병장이다. 그는 고향인 세교리에서 의병을 일으킨 후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유격전을 벌여 번개장군으로 명성을 드높였다....
-
신라가 삼국통일 후 설치한 9개 주의 하나. 한산주(漢山州)라는 지명은 『삼국사기(三國史記)』「신라본기(新羅本紀)」와 「지리지(地理志)」, 『고려사(高麗史)』「지리지(地理志)」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與地勝覽)』 및 『여지도서(輿地圖書)』, 『대동지지(大東地志)』 등에 기록되어 있다. 한산주는 삼국통일 후 신라가 설치한 9개 주의 하나로 오늘날의...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한천리에 있는 LCD 부품 제조업체인 한솔테크닉스의 공장. 1995년 4월 한솔그룹이 인수하여 같은 해 10월 한솔전자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2001년 12월 액정 모니터 판매가 급성장하여 ‘2001년 10만 대 달성’을 이루어 냈다. 2003년 3월 한솔LCD로 상호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12월 10일 한솔테크닉스로 상호명을 변경하였다. 본...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한천리에 있는 LCD 부품 제조업체인 한솔테크닉스의 공장. 1995년 4월 한솔그룹이 인수하여 같은 해 10월 한솔전자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2001년 12월 액정 모니터 판매가 급성장하여 ‘2001년 10만 대 달성’을 이루어 냈다. 2003년 3월 한솔LCD로 상호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12월 10일 한솔테크닉스로 상호명을 변경하였다. 본...
-
신라가 삼국통일 후 설치한 9개 주의 하나. 한산주(漢山州)라는 지명은 『삼국사기(三國史記)』「신라본기(新羅本紀)」와 「지리지(地理志)」, 『고려사(高麗史)』「지리지(地理志)」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與地勝覽)』 및 『여지도서(輿地圖書)』, 『대동지지(大東地志)』 등에 기록되어 있다. 한산주는 삼국통일 후 신라가 설치한 9개 주의 하나로 오늘날의...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서 발원하여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에서 백곡천과 합류하여 미호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한천천(閑川川)의 본래 이름은 한내이다. 한은 ‘하-[大]’의 관형사형으로 한말·한우물·한뫼 등에 흔히 쓰이는 전부 요소이다. 따라서 한내는 ‘큰 내’로 풀이된다. 한천은 한내의 한을 음차(音借)하고 내를 훈차(訓借)한 이름인데, 한내의 뜻을 고려하면 대천...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덕산읍 중앙에서 남류하는 미호천(美湖川) 지류인 한천천(閑川川)[일명 한내]을 마을 이름으로 전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조선 말기 진천군 소답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목신리와 산정면 옥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한천리(閑川里)라 하고 덕산면에 편입하였다. 덕산면이 덕산읍으로 승격되어 현재는...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서 발원하여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에서 백곡천과 합류하여 미호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한천천(閑川川)의 본래 이름은 한내이다. 한은 ‘하-[大]’의 관형사형으로 한말·한우물·한뫼 등에 흔히 쓰이는 전부 요소이다. 따라서 한내는 ‘큰 내’로 풀이된다. 한천은 한내의 한을 음차(音借)하고 내를 훈차(訓借)한 이름인데, 한내의 뜻을 고려하면 대천...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용몽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이웃과 더불어 사는 도덕적인 어린이, 기초 학습 능력을 바탕으로 주도적인 학습을 하는 능력 있는 어린이, 지적 호기심이 풍부한 창의적인 어린이, 과학적인 생활을 하는 탐구적인 어린이, 튼튼한 몸과 강인한 의지를 지닌 건강한 어린이, 풍요롭고 아름다운 마음을 지닌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슬기롭게...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두촌리에 있던 공립 한천초등학교 두촌분교장. 1967년 2월 3일 옥동국민학교 두촌분교장 설립추진위원회가 조직이 되어 1968년 9월 1일 옥동국민학교 두촌분교장으로 인가받았다. 1970년 8월 28일 두촌국민학교 독립인가로 1971년 3월 1일 두촌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88년 3월 11일 두촌국민학교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으나 학생 수 감소로...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용몽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이웃과 더불어 사는 도덕적인 어린이, 기초 학습 능력을 바탕으로 주도적인 학습을 하는 능력 있는 어린이, 지적 호기심이 풍부한 창의적인 어린이, 과학적인 생활을 하는 탐구적인 어린이, 튼튼한 몸과 강인한 의지를 지닌 건강한 어린이, 풍요롭고 아름다운 마음을 지닌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슬기롭게...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두촌리에 있던 공립 한천초등학교 두촌분교장. 1967년 2월 3일 옥동국민학교 두촌분교장 설립추진위원회가 조직이 되어 1968년 9월 1일 옥동국민학교 두촌분교장으로 인가받았다. 1970년 8월 28일 두촌국민학교 독립인가로 1971년 3월 1일 두촌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88년 3월 11일 두촌국민학교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으나 학생 수 감소로...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태락리와 진천읍 원덕리 원동마을을 연결하는 고개. 한티고개는 한티와 고개로 나뉘고, 한티는 다시 한과 티로 나눌 수 있다. 중세 국어에서 ‘하다’는 ‘많다[多]’나 ‘크다[大]’를 뜻하는데, 지명에서는 관형형 ‘한’의 형태로 고개·들·우물·마을·나루 등에 폭넓게 연결된다. 티는 고개를 뜻한다. 따라서 한티는 ‘큰 고개’로 풀이할 수 있으...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계리에 있는 음식점. 할머니집은 원래 식당으로 운영하던 곳이 아니며, 고 박간란 할머니가 이월저수지를 찾는 관광객 및 낚시꾼들에게 당시 어렵던 살림에도 불구하고 오리 목살을 화롯불에 구워 대접하고 직접 담근 토속 된장인 빠개장과 보리밥을 베푼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할머니집은 당시 할머니가 베풀어 주었던 정을 잊지 못하는 사람들의 권유...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계리에 있는 음식점. 할머니집은 원래 식당으로 운영하던 곳이 아니며, 고 박간란 할머니가 이월저수지를 찾는 관광객 및 낚시꾼들에게 당시 어렵던 살림에도 불구하고 오리 목살을 화롯불에 구워 대접하고 직접 담근 토속 된장인 빠개장과 보리밥을 베푼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할머니집은 당시 할머니가 베풀어 주었던 정을 잊지 못하는 사람들의 권유...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성석리에 있는 삼국시대 토축 산성. 진천 대모산성은 616년(진평왕 38)에 백제의 공격을 받은 것으로 『삼국사기(三國史記)』에 기록된 모산성(母山城)으로 비정하려는 설이 있으나 대모산성이라는 명칭은 조선시대의 지리지에서 처음으로 나타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일제강점기의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 『상산지(常山...
-
조정을 시조로 하고, 조야호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진천군 세거 성씨. 함안조씨(咸安趙氏)의 시조 조정(趙鼎)은 후당(後唐) 사람으로 신라 말에 귀화하여 고려 개국공신 신숭겸(申崇謙)·배현경(裵玄慶)·복지겸(卜智謙)·김선평(金宣平) 등과 교유하였다. 왕건을 도와 합천에서 기의(起義)하여 931년(태조 14) 고창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워 개국벽상공신(開國壁上功...
-
삼덕리 하덕마을에는 유난히 조씨가 많이 살고 있었다. 그래서 논에서 일하고 돌아오는 할머니에게 이곳이 혹시 조씨 집성촌은 아닌지 물어 보았다. “내가 조씨요. 그렇지 여기가 함안조씨들이 많이 살고 있지.” 우리는 자신을 함안조씨라고 소개한 조숙자 할머니의 집으로 가서 하덕마을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을 수 있었다. 조숙자 할머니의 말에 따르면, 하덕마을은 원래 방죽이 있...
-
박언신을 시조로 하고, 박예생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진천군 세거성씨. 함양박씨(咸陽朴氏)는 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의 30세손으로 신라 제54대 경명왕의 셋째 아들인 박언신(朴彦信)의 정통 후손이다. 경명왕이 여덟 왕자에게 각기 분종할 때 셋째 박언신이 속함대군(速咸大君)에 봉해졌기 때문에 그를 중시조로 삼았다. 이후 세계(世系)가 실전(失傳)되어 고려조에...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상목리와 하목리를 병합하여 이루어진 마을이므로 합목리(合牧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진천군 소답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목리와 하목리를 병합하여 합목리라 하고 덕산면에 편입하였다. 덕산면이 덕산읍으로 승격됨에 따라 현재 덕산읍에 편입되어 있다. 합목리...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합목리에 있는 밀양박씨 동성 마을. 조선 초기에 통정대부(通政大夫)로 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와 병조참의(兵曹參議)를 역임하고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편찬에 참여한 박미(朴楣)의 여섯째 아들인 박우영(朴宇榮)이 연산군(燕山君)의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진천군 진천읍 읍내리로 이주한 이래 후손들이 500여 년간 세거하고 있으며, 규정공파의 후손...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에 있는 이중 바닥재 시스템 생산 전문 업체. 1987년 12월 법인을 설립하여 1990년 7월 충청북도 진천에 공장 등록을 하였다. 1996년 12월 해광빌딩을 준공하여 서울 사옥을 이전하였고, 2000년 12월 미국 현지 법인을 설립하였다. 2003년 9월 송석범 대표 이사가 취임했으며 2004년 총자본금을 50억 원으로 증자하였다. 20...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 금한이마을과 오갑리 말머리마을을 연결하는 고개. 해넘어고개는 회내미고개·회너머고개·회너미고개·희내미고개로도 불린다. 부근 산과 골짜기에 전나무가 많아서 회나무고개라 하였는데, 발음이 변하여 회내미고개·회너머고개·회너미고개·희내미고개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위의 여러 이름들은 전나무가 아니라 홰나무[일명 회화나무]와 관련되...
-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이거나 진천 지역에서 벌인 항일 민족 독립운동. 1894년 7월 청일전쟁 전후 일제의 군사적 침략으로 조선이 반식민지가 되자 한민족의 국권 회복 운동은 항일 의병전으로 시작되었고, 1904~1905년 러일전쟁과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실력 양성을 위한 구국 계몽 운동이 전개되었다. 진천의 의병전쟁은 전기 의병기[1894~1896]에는 소극적인 항일...
-
충청북도 진천군에 있는 여성 합창단. 해오름합창단은 건전한 여가 문화 보급과 지역 예술 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9년 당시 진천농업고등학교의 음악 교사였던 전해달에 의해 어머니합창단으로 설립되었다. 1990년대 중반 해오름합창단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해오름합창단은 진천군에서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도 유명하여 크고 작은 무대에서...
-
오현보를 시조로 하고, 오유종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진천군 세거성씨. 해주오씨(海州吳氏)의 시조 오현보(吳賢輔)는 모든 오씨의 도시조인 오첨(吳瞻)의 24세손이며, 중시조인 문양공(文襄公) 오연총(吳延寵)의 6세손이다. 그는 1216년(고종 3) 두 형제 오현좌(吳賢佐)·오현필(吳賢弼)과 함께 거란군 토평에 공을 세워 해주군(海州君)에 봉해지고 해주오씨의...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아름답고 살기 좋은 진천 건설을 위해 전개하는 사회운동. Happy 진천운동은 행복은 먼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가까이에 있다는 점을 공유하고, 누구나 쉽게 행복한 진천 건설을 실천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시켜 2015년 아름답고 살기 좋은 Happy진천시를 만드는 데 역점을 두고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전개되는 사회운동이다. Happy 진천운동은 Ha...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자릉(子陵), 호는 행원(杏園, 杏院). 증조할아버지는 부정(副正) 이신(李晨)이고, 아버지는 사과(司果) 이금(李嶔)이며, 어머니는 사맹(司猛) 최윤태(崔允泰)의 딸이다. 이부(李阜)[1482~1555]는 지금의 진천군 진천읍 송두리에서 유복자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어머니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
-
충청북도 진천군을 상징하는 군목(郡木). 공손수(公孫樹)·행자목(杏子木)이라 하며 잎의 모양이 오리발을 닮았다 하여 압각수(鴨脚樹)라고도 한다. 연관종이 없는 특별한 종으로 은행나무문에 속하는 유일한 종이다. 열매가 살구와 비슷하게 생겼다고 하여 살구 행(杏)자와 중과피가 희다 하여 은빛의 은(銀)자를 합하여 은행이라는 이름이 생겨났다. 진천군은 군을 상징하는...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이루어지는 정치권력, 즉 공권력을 배경으로 공공 정책의 합리적인 형성과 집행을 구체화하는 과정. 과거와는 달리 현대의 행정은 국민 또는 주민의 일상생활 전반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는 방향으로 그 역할과 범위가 크게 확대되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질서 유지 기능 외에도 수도·전기·교통·통신 등 사회 간접 시설의 제공, 학교·도서관·공원 등 문화 시설의 확충...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에 속하는 법정리. 내동에서 동북쪽으로 300m 지점에 있는 살구우물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살구우물은 ‘살구나무가 있는 우물’로 풀이할 수 있고, 행정(杏井)은 살구우물의 한자 표기이다. 조선 말기 진천군 행정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내동·하내동·중리·상리·하리·취적리·괴형리·장관리 일부, 북변면 사...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행정리에 있는 수령 377년의 보호수. 행정리 느티나무는 높이 11m, 가슴높이 둘레 5.9m, 뿌리 부분 둘레 7.7m, 나무갓 너비 22m이다. 행정리 느티나무는 1982년 11월 11일 노거수로서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나무 아래는 흙으로 되어 있고, 주위의 사면이 개방되어 있다. 안쪽으로 작은 도랑과 논이 있고, 아래는...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행정리에 있는 자연마을. 살구나무 밑에 있는 우물을 ‘살구우물’ 또는 ‘살구물’로 부르던 것이 마을 이름이 되었다. 한자로는 행정(杏井)으로 표기한다. 살구우물 지명 유래에서 보듯이 법정리인 행정리 전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마을의 지명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 온다. 옛날 마을 입구에 큰 살구나무가 있고 살구나무 아래에는 우물이 있었다....
-
개항기 충청북도 진천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중원(中元), 호는 향농(香農). 아버지는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신헌(申櫶)으로, 1833년(순조 33) 지금의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 논실마을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부친의 영향으로 정약용(丁若鏞)의 실학사상을 접하였으며, 초기적 개화론자에 속한다. 1895년(고종 32) 세상을 떠났으며 묘는 강원도 춘천의 선영 아래...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송림리에 있는 고려시대 특수 행정구역 터. 부곡(部曲)은 신라 때부터 고려 말까지 있던 특수한 말단 지방 행정구역이다. 신라는 삼국을 통일한 뒤 지방 행정구역을 정비할 때 인구가 적어서 군현에 미치지 못한 지역을 ‘향(鄕)’ 또는 ‘부곡(部曲)’이라 하여 군현에 딸리게 하였다.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향이나 부곡의 주민을 특수 천민 집단으로 단정하지...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에 있는 조선시대 선정비군. 총 17개 비석으로 가장 오래된 것은 현감 신현(申俔)의 선정비로 임진왜란 직후인 1589년에 건립되었다.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 산41-100번지 진천향토민속자료전시관 앞 화단에 전시되어 있다. 향토민속자료전시관 앞 선정비군은 총 17개이다. 9번째 비석은 가첨석[지붕돌]을 얹은 형태...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재료를 이용하여 지역 특유의 조리법으로 만든 음식. 충청북도 진천 지역의 향토음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진천 지역에서 생산되는 산물들을 주로 활용하여 만든 것으로 진천 지역의 특색을 담은 음식이다. 둘째, 진천 지역의 사람들이 만들긴 하였지만, 진천군에서 생산되는 산물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 생산되는 다양...
-
충청북도 진천 지역 사람들이 영위해 온 삶의 내력을 기록한 책. 향토지는 지역사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전근대 시기 중앙 집권적 수취(收取) 체제의 기초로부터 시작하여 최근의 도지·시지·군지, 마을지에 이르기까지 지역의 사정을 다양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지역 연구자의 애향심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문화와 역사를 조사·연구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충청북도 진천 지역 관...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명암리에서 정월 대보름에 행하는 액막이 풍속. 허수아비 버리기는 정초에 액운(厄運)이 있을 때 그 액을 쫓아 버리기 위해 허수아비[處容]를 만들어서 그 속에 사주(四柱)나 동전을 꽂아 넣어 버린 후, 아이들이 그 동전을 가지고 가면 액을 면한다고 하는 세시풍속이다. 이를 제웅치기, 허재비 버리기라고도 부른다. 특히 진천군 백곡면 명암리에서는 명암마...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명암리에서 정월 대보름에 행하는 액막이 풍속. 허수아비 버리기는 정초에 액운(厄運)이 있을 때 그 액을 쫓아 버리기 위해 허수아비[處容]를 만들어서 그 속에 사주(四柱)나 동전을 꽂아 넣어 버린 후, 아이들이 그 동전을 가지고 가면 액을 면한다고 하는 세시풍속이다. 이를 제웅치기, 허재비 버리기라고도 부른다. 특히 진천군 백곡면 명암리에서는 명암마...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에 활동 흔적이 남아 있는 조선 후기의 고위 문신. 조선후기 현종·숙종 대 온건파 남인세력인 탁남(濁南)의 영수로 활약한 고위 문신이다. 본관은 양천(陽川)이며, 자는 여차(汝車)이고, 호는 묵재(默齋)·휴옹(休翁)이다. 허초(許礎)의 증손으로 조부는 허잠(許潛)이고, 아버지는 부사 허한(許僩)이다. 24세인 1633년(인조 11) 생원·진사시의...
-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서화가.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광지(光之), 호는 첨재(添齋)·표옹(豹翁)·노죽(路竹)·산향재(山響齋)·표암(豹菴), 시호는 헌정(憲靖). 1713년(숙종 39) 한양에서 태어나 1791년(정조 15) 세상을 떠났다. 시(詩)·서(書)·화(畵)의 삼절로 불렸으며, 식견과 안목이 뛰어난 사대부 화가였다. 진경산수화를 발전시켰고 풍속화와 인물화를 유행시켰으며...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생산되는 파프리카. 2000년대 들어 우리나라 파프리카 생산량은 2000년 1,100,000㎡에서 7,500톤, 2004년 2,600,000㎡에서 20,600톤, 2005년 2,500,000㎡에서 21,600톤, 2006년 3,350,000㎡에서 28,160톤을 기록하였다. 2007년 채소 총 수출액 1억 2110만 달러 가운데 파프리카가 차지하는 비...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과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일원에 조성되는 미래형 도시. 혁신도시는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계기로 지역의 성장 거점 지역에 조성되는 미래형 도시이다. 이전된 공공기관과 지역의 대학·연구소·산업체·지방 자치 단체가 협력하여 지역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혁신도시는 모두 4가지 유형으로 건설되며 시도별 지역 산업과 연계된 도시별...
-
충청북도 진천으로 낙향한 후 도학을 연마한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본관은 풍천(豊川)이며, 자는 치은(稚殷), 호는 현계(玄溪) 또는 청서(靑墅)이다. 녹문 임성주(任聖周)의 문인인 영서(穎西) 임로(任魯)의 아들이다. 1789년[정조 13]에 태어났으며, 1835년[헌종 원년] 음사(蔭仕)로 가감역(假監役)을 시작으로 벼슬에 나가 전라도 창평(昌平)현령·금천(金...
-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충청북도 진천 지역의 역사. 1945년 8월 15일 우리민족은 일제의 무조건 항복과 패망으로 35년간의 일제 사슬에서 벗어나 해방을 맞이하였다. 그런데 해방 후 국제정세는 우리민족의 자유로운 국가건설을 어렵게 만들어갔다. 일본을 패망시키는 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의 남북을 분할 점령하고, 미국식 자본주의 국가와 소련식 사회주의 국가를 세...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문덕리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인 현대모비스의 공장. 1977년 7월 1일 현대정공이라는 이름으로 출발하였다. 2000년 11월 현대정공에서 현대모비스로 상호명을 변경하였다. 국내 사업장과 국내 판매장·해외 사업장을 두고 있으며, 현재 6,000명 이상의 근로자가 근무하고 있다. 본사와 기술 연구소를 비롯하여 울산·천안·포승·이화·아산·서산·광...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광혜원리에 있는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체인 HDC현대EP(주)의 공장. HDC현대EP(주)는 1988년 현대산업개발(주) 유화사업부의 발족으로 사업을 개시하게 되었다. 1994년 충청남도 당진에 유화공장을 준공하였으며, 2000년 1월 5일 현대엔지니어링플라스틱(주)이라는 독립 법인을 설립하였다. 2001년 일본 자동차...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광혜원리에 있는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체인 HDC현대EP(주)의 공장. HDC현대EP(주)는 1988년 현대산업개발(주) 유화사업부의 발족으로 사업을 개시하게 되었다. 1994년 충청남도 당진에 유화공장을 준공하였으며, 2000년 1월 5일 현대엔지니어링플라스틱(주)이라는 독립 법인을 설립하였다. 2001년 일본 자동차...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갈월리에 있는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 원 터.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협탄원(脇呑院)은 고려시대에 처음 설치되었던 원이라고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진천현 역원조에, 진천현 서쪽 36리에 협탄원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원 제도가 점차 쇠퇴하면서 협탄원 역시 폐지되고 대신 이곳에 개인이 운영하는 서수원(西水院)...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풍산(豊山). 1889년(고종 26) 8월 3일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사양리 범바위마을에서 출생하였다. 만주에서 한족회 간부로 독립운동을 하다, 서울에 대한통의부 지부를 설치해 독립운동을 하였다. 홍경식(洪景植)[1889~1961]은 1910년 일제가 나라를 강점하자 부친인 전 참판 홍승헌(洪承憲), 전 참판 정원하(...
-
개항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이자 독립운동가. 개항기 소론 양명학 계열의 문신으로 일제의 강점 이후에는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기지 건설에 참여한 우국지사이다. 본관은 풍산(豐山). 자는 문일(文一), 호는 문원(文源). 정조 때 이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낸 이계(耳溪) 홍양호(洪良浩)의 5세 종손으로, 고조할아버지 홍낙원(洪樂源)과 증조할아버지 홍경모(洪敬謨)가 모두 이조판서를...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중산리에 있는 아이스크림 및 기타 식용 빙과류 제조업체. 1999년 1월 홍영산업(주)로 설립되었으며, 2000년 9월 홍영식품(주)로 상호를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홍영식품(주)에서는 아이스크림 및 기타 식용 빙과류 제조와 관련된 사업을 주 업종으로 하고 있다. 홍영식품(주)는 병역특례 지정업체로 2009년 기준 자본금 18억...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에 있는 조선 후기 홍우경과 정인옹주 부부의 묘소. 홍우경(洪友敬)[1590~1625]의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경부(敬夫)이다. 1603년(선조 36) 선조와 정빈 민씨 사이에서 태어난 정인옹주(貞仁翁主)와 혼인하여 당원위(唐原尉)에 봉해졌다. 1618년(광해군 10)에 폐모론이 일어나자 이이첨(李爾瞻)의 음모를 성토하다 유...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홍정명의 묘에 묻은 판석. 홍정명(洪正明) 지석(誌石)의 주인공인 홍정명[1692~1748]은 선조의 부마(駙馬)인 당원위(唐原尉) 홍우경(洪友敬)의 4대손으로 1692년(숙종 18)에 출생하여 1715년(숙종 41)에 성균관에 들어가고 1725년(영조 원년)에 정시 병과(庭試丙科)에 급제하였다. 1733...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1월 14일 공터에 볏가릿대를 세우고 풍요를 비는 풍속. 볏가릿대 세우기는 문백면 문덕리 미래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마을의 단합과 풍농을 기원할 목적으로 마을 공터에 볏가릿대를 높이 세우는 세시풍속이다. 이를 볏가리, 노적가리, 볏가리장대, 화간(禾竿), 화적(禾積), 도간(稻竿) 등이라고도 일컫는다. 볏가릿대는 기둥을 만드는 재료와 명칭...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에 있는 근린공원. 충청북도 진천군은 진천읍 교성리에 군민을 위한 체력 단련 기구와 벤치·파고라·야외 공연장 등을 갖춘 근린 생활 체육 공원을 조성하여 군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자 화랑공원을 조성하게 되었다. 2001년 2월부터 지방재정투자·융자 심사를 하고, 2003년 2월 문화재 시굴 허가신청서를 제출하여 같은 해 5월 실...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에 있는 문화 체육 시설. 화랑관(花郞館)은 전국 최초로 문화관광부의 지원을 받아 체육과 문예 활동을 겸할 수 있도록 설계된 다용도 문화 체육 시설로 진천화랑체육관으로도 불린다. 화랑관은 문화, 체육에 대한 지역 주민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진천군의 다양한 행사 개최에 활용하기 위해 2000년 10월 20일 착공하여 2003...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광혜원리에 위치한 벌판. 광혜원중학교·광혜원고등학교 옆의 넓은 들을 화랑벌이라고 한다. 화랑벌은 신라 26대 진평왕 17년에 만노현에서 출생한 김유신(金庾信)[595~673] 장군이 화랑도를 거느리고 맹훈련을 시켰던 곳이다. 이를 ‘화랑들’이라고도 한다. 화랑도는 나라를 위해 무술과 학문을 익히던 젊은이들로 최고의 무술과 최고의 학문을...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에 있는 문화 체험 공간. 화랑문화학교(花郞文化學校)는 어린이 및 청소년들을 위한 전통문화·생태 체험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올바른 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고자 설립되었다. 또한 지역 사회의 문화를 이해하고 습득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진천군에서 할 수 있는 갖가지 생태·농촌 체험 등을 해보며 환경과 건강을 생각하는 자...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광혜원리에 위치한 벌판. 광혜원중학교·광혜원고등학교 옆의 넓은 들을 화랑벌이라고 한다. 화랑벌은 신라 26대 진평왕 17년에 만노현에서 출생한 김유신(金庾信)[595~673] 장군이 화랑도를 거느리고 맹훈련을 시켰던 곳이다. 이를 ‘화랑들’이라고도 한다. 화랑도는 나라를 위해 무술과 학문을 익히던 젊은이들로 최고의 무술과 최고의 학문을...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에 있는 근린공원. 충청북도 진천군은 진천읍 교성리에 군민을 위한 체력 단련 기구와 벤치·파고라·야외 공연장 등을 갖춘 근린 생활 체육 공원을 조성하여 군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자 화랑공원을 조성하게 되었다. 2001년 2월부터 지방재정투자·융자 심사를 하고, 2003년 2월 문화재 시굴 허가신청서를 제출하여 같은 해 5월 실...
-
진천은 예로부터 들이 넓고 수리 시설이 잘 갖추어져 농업이 발달하고 산물이 풍부하여 ‘생거진천(生居鎭川)’이라 불리어 왔다. 이에 따라 역사 깊은 다양한 향토 문화가 전해져 오고 있다. 생거진천의 향토 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고, 문화·예술을 통해 군민의 삶을 더욱 풍요롭고 알차게 하며, 국내외 관광객에게 진천군의 향토 문화를 널리 알리고 함께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밝고 건전...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에 있는 궁도장. 화랑정(花郞亭)은 신라시대 김유신의 탄생지이자 장군의 태를 묻은 태령산 자락에 위치해 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활과 화살을 이용한 경기인 국궁을 행해 왔으며, 현대에 이르러 스포츠로 발전하여 양궁과는 다른 경기 방식으로 전국체육대회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일반인들의 신체적·정신적 수련을 위해 생활체육으로 많이...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에 있는 근린공원. 충청북도 진천군은 진천읍 교성리에 군민을 위한 체력 단련 기구와 벤치·파고라·야외 공연장 등을 갖춘 근린 생활 체육 공원을 조성하여 군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자 화랑공원을 조성하게 되었다. 2001년 2월부터 지방재정투자·융자 심사를 하고, 2003년 2월 문화재 시굴 허가신청서를 제출하여 같은 해 5월 실...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생긴 이름으로, 화산리(畵山里)는 화암(畵岩)과 사산(斜山)에서 한 자씩 따서 생긴 지명이다. 화암은 ‘빗길미’ 서남쪽에 있던 마을이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는 ‘두물둔지’로 나오고, ‘화암’이라는 한자 지명이 대응되어 있다. ‘사산’은 본래 ‘서남골’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화성리(花城里)의 ‘화(花)’자와 상고리(上古里)의 ‘상(上)’자를 따서 화상리(花上里)라 하였다. 화성은 습지 남쪽에 있는 마을로, 원래 이름인 곶재[일명 고재]의 ‘곶’을 화(花)로, ‘재’를 성(城)으로 훈차한 한자 지명이다. 1914년 이전에 발간된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는 ‘고’로...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광혜원리에 걸쳐 있는 도로. 국가지원지방도 82호선[화성~평창]은 전용도로 총연장 141.362㎞로서 1차선 2.04㎞, 2차선 82.252㎞, 4차선 53.47㎞, 6차선 3.60㎞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노선포장은 좌우 각각 10.94㎞이다. 충청북도 구간은 진천군 광혜원면 광혜원리와 제천시 송학면 송한리 간 전용연장 82.06㎞로서...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음력 1월 14일 공터에 볏가릿대를 세우고 풍요를 비는 풍속. 볏가릿대 세우기는 문백면 문덕리 미래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마을의 단합과 풍농을 기원할 목적으로 마을 공터에 볏가릿대를 높이 세우는 세시풍속이다. 이를 볏가리, 노적가리, 볏가리장대, 화간(禾竿), 화적(禾積), 도간(稻竿) 등이라고도 일컫는다. 볏가릿대는 기둥을 만드는 재료와 명칭...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옥동리에 있었던 친환경수박작목반. 화천친환경작목반은 화학비료 및 농약 과다 사용으로 인한 염류 집적 등의 연작 피해를 줄여 친환경 농업을 실천하고, 고품질 안전한 먹을거리를 생산하여 수입 농산물 개방에 대한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화천친환경수박작목반은 수박뿐만 아니라 친환경 인삼 재배로 인삼 농가에 기술을 보...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삼용리에 있는 대한적십자봉사회 진천지구협의회에 속한 남성 봉사 단체. 사회 복지 사업과 지역 봉사, 재난 구호 봉사 등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봉사를 펼침으로써 인간의 생명을 존중하고 보호하며 따뜻한 지역 사회를 만드는 데 공헌하고자 설립되었다. 2008년 12월 이월면 주민들이 모여 몇 차례의 모임을 가졌고, 2009년 3월 1일 발기인 총회를 하였...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에서 매년 4월경 민족통일이월면협의회 주관으로 개최되는 걷기 대회.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에서는 면민의 건강 증진과 화합을 통한 지역 발전 및 통일 운동의 자발적인 참여 의식과 동기 부여를 위해 2008년 4월 12일 제1회 화풍이월통일한마음걷기대회를 개최하였다. 화풍이월통일한마음걷기대회는 이월초등학교를 출발점으로 하여 왕복 8㎞ 구간을...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에서 매년 4월경 민족통일이월면협의회 주관으로 개최되는 걷기 대회.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에서는 면민의 건강 증진과 화합을 통한 지역 발전 및 통일 운동의 자발적인 참여 의식과 동기 부여를 위해 2008년 4월 12일 제1회 화풍이월통일한마음걷기대회를 개최하였다. 화풍이월통일한마음걷기대회는 이월초등학교를 출발점으로 하여 왕복 8㎞ 구간을...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삼덕리를 구성하는 마을 중 상덕마을은 단연 화합이 잘 되기로 유명한 곳이다. 2009년을 마무리하는 대동계가 열린다는 소문을 듣고 상덕노인회관으로 찾아가 보았다. 지숙현 할머니가 마을 사람들의 화합을 다지는 대동계와 연반계에 대해 카랑카랑한 목소리로 자세하게 알려주었다. 지숙현 할머니 남편인 이상일 할아버지도 옆에서 자세하게 설명해 주었다....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광혜원리에서 매년 하반기 한국다우코닝 주관으로 개최되는 행사. 실리콘 및 솔루션 제공업체인 한국다우코닝(주)은 세계적으로 ‘과학’, ‘수학’, ‘어린이 교육’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가지고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예를 들어 인도에서는 과학 실험을 위한 설비가 전무한 인도 푸네 지역 학생을 위해 실험실을 만들어 주고, 미국에서는 화학 박사인...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에 있는 산. 환희산(歡喜山)[402m]은 한자 뜻대로라면 ‘기쁨을 안겨주는 산’이라는 뜻이지만, 한편으로 하늘산이 한으산을 거쳐 환희산으로 변화했을 가능성이 있다. 지역에 따라 지명의 선행 요소 ‘환희’가 ‘하느〈하늘’ 또는 ‘하누’와 대응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하늘산은 ‘높은 산’이라는 뜻으로 볼 수 있으며, 실제로 환희...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와 계산리 환희산에 있는 삼국시대 보루. 환희산 보루는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와 충청남도 천안시 동면 장송리 사이의 환희산 남쪽 해발 384.7m의 봉우리에 위치한다. 환희산성(歡喜山城)의 남쪽 끝에서 400m의 남쪽으로 산의 능선이 이어진 곳이다. 봉우리 외곽을 삭토하여 테를 두르듯 감돌고 있어서 둘레가 약 200m에 이른...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와 진천읍 지암리에 걸쳐 있는 삼국시대 토축 산성. 고문헌 기록에 환희산성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어 축조 경위 등의 연혁은 알 수 없으나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1932년에 간행된 『상산지(常山誌)』에 환희산(歡喜山)에 대한 기록이 있지만 산성의 존재는 기록되지 않았고, 그 후 조선총독부에서 간행한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산성의...
-
덕산꿀수박은 일교차가 크고 일조량이 풍부하며 황토질의 토양을 갖춘 지역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당도가 높고 육질이 단단하다. 이 때문에 이제는 서울 등 대도시에서도 덕산꿀수박 하면 알아준다. 올해로 12회째를 맞고 있는 ‘생거진천 꿀수박축제’는 1998년부터 열리기 시작했다. 생거진천 꿀수박축제는 덕산꿀수박의 우수한 상품성을 널리 홍보하고, 판매자와 소비자를 초청하여 덕산꿀수박을 맛...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금암리 등지에 서식하는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포유류. 몸털은 양털과 비슷하지만 광택이 없다. 등 쪽과 몸 아랫부분, 이개(耳介)[귓바퀴]·비막·퇴간막은 오렌지색이고, 가슴과 복부는 색이 짙다. 귓바퀴는 가늘고 길며 약간 굽어 있다. 날개막은 다리의 바깥쪽으로 약간 튀어나와 있다. 박쥐는 야행성으로 낮에는 나뭇가지나 동굴 속에서 쉬고 밤에는 곤충 등을...
-
고구려 때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 설치된 행정구역.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地理志)」에 고구려의 금물노군(今勿奴郡)을 황양군(黃壤郡)이라고도 한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고려사(高麗史)』「지리지(地理志)」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및 『여지도서(輿地圖書)』「충청도(忠淸道) 진천현(鎭川縣)」 조에는 금물노군은 고구려 지명으로 만노군(萬弩郡),...
-
신라 때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 설치된 행정 구역. 만노군(萬弩郡)이라는 지명은 『삼국사기(三國史記)』「김유신열전(金庾信列傳)」에 처음 나타난다. 진평왕 때 김서현(金舒玄)을 고구려와의 접경 지역인 만노군 태수로 파견하였는데 여기서 김유신(金庾信)이 태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高麗史)』「지리지(地理志)」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및 『여지도서(輿地圖...
-
통일신라 때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 설치된 행정 구역. 흑양군(黑壤郡)이라는 지명은 『삼국사기(三國史記)』「지리지(地理志)」에 신라의 한주(漢州)에 속한 지역으로 처음 나온다. 고구려의 금물노군(今勿奴郡)을 개칭한 것이며 황양군(黃壤郡)이라고도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고려사(高麗史)』「지리지(地理志)」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및 『여지도서(輿地圖書)...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생산되는 우렁이. 우렁이는 한자로는 귀안정(鬼眼精)이라고 한다. 우렁이를 많이 먹으면 귀신과 같이 눈이 밝아진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다. 일명 논우렁이, 논고둥, 강우렁이라고도 한다. 우렁이는 우렁이과의 고둥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 한국·일본·대만·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무논이나 웅덩이 등지에 살며, 껍데기의 높이는 40㎜, 너비는 약 30㎜이다....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 금한이마을과 오갑리 말머리마을을 연결하는 고개. 해넘어고개는 회내미고개·회너머고개·회너미고개·희내미고개로도 불린다. 부근 산과 골짜기에 전나무가 많아서 회나무고개라 하였는데, 발음이 변하여 회내미고개·회너머고개·회너미고개·희내미고개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위의 여러 이름들은 전나무가 아니라 홰나무[일명 회화나무]와 관련되...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 금한이마을과 오갑리 말머리마을을 연결하는 고개. 해넘어고개는 회내미고개·회너머고개·회너미고개·희내미고개로도 불린다. 부근 산과 골짜기에 전나무가 많아서 회나무고개라 하였는데, 발음이 변하여 회내미고개·회너머고개·회너미고개·희내미고개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위의 여러 이름들은 전나무가 아니라 홰나무[일명 회화나무]와 관련되...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 금한이마을과 오갑리 말머리마을을 연결하는 고개. 해넘어고개는 회내미고개·회너머고개·회너미고개·희내미고개로도 불린다. 부근 산과 골짜기에 전나무가 많아서 회나무고개라 하였는데, 발음이 변하여 회내미고개·회너머고개·회너미고개·희내미고개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위의 여러 이름들은 전나무가 아니라 홰나무[일명 회화나무]와 관련되...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회안리(會安里)의 ‘회(會)’자와 죽동(竹洞)의 ‘죽(竹)’자를 따서 회죽리(會竹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진천군 만승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이목리·죽동·회안리·중암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회죽리라 하고 만승면에 편입하였다. 2000년 1월 1일 만승면이 광혜...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회죽리에 있는 수령 약 200년의 보호수. 은행나무는 은행과의 낙엽 교목으로 높이 18m, 지름 4m 정도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모여 난 것처럼 보이기도 하며 부채 모양으로 맥이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4~5월에 잎과 같이 꽃이 피는데 2가화로 연한 노란색이이며, 수꽃은 1~5개의 꼬리 같은 꽃차례에 달리고 암꽃은 한 가지...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회촌(晦村). 조선의 개국공신 양경공(良景公) 정희계(鄭熙啓)의 7세손이며, 남대(南臺) 집의(執義) 정흠(鄭欽)의 현손이며, 입향조인 정방광(鄭邦絖)의 증손이다. 형은 정봉남(鄭鳳男)이다. 정황남(鄭凰男)은 백원서원(百源書院)에서 수학하였으며, 학문이 뛰어났다. 임진왜란 때 형 정봉남과 함께 어머니를...
-
임진왜란시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호는 회헌(晦軒). 이정영(李廷英)[?~1592]은 1592년(선조 25) 음죽현감으로 재직 중에 임진왜란을 맞았다. 4월 일본이 15만 8000명에 달하는 대군을 동원하여 침범해 왔다. 왜군은 조총을 가지고 북상하며 4월 24일 상주에서 이일의 군을 격파하고, 16일에는 조령을 넘어 이튿날 충주로 쳐...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군 출신의 학자이자 효자.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효백(孝伯), 호는 서암처사(西巖處士). 청허당(淸虛當) 이거이(李居易)의 8세손이다. 『청주이씨족보(淸州李氏族譜)』에 따르면 태사공 이능희(李能希) 이후에 본관을 청주로 정하였다고 한다. 이승종(李承宗)[1574~?]은 지금의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학행과 문장이 탁월하...
-
개항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치중(致中), 호는 효운(曉雲). 상촌 김자수(金自守)의 17세손이다. 김윤제(金潤濟)는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총명하여 경사(經史)에 두루 능통하였다. 고종 때 궁내부에 들어가서 벼슬을 하였다. 하지만 서양 열강들의 이권 침탈이 격화되고 일제의 침략 의도가 노골화되자 사직한 뒤 고향인 진천군 문백면 사양...
-
충청북도 진천 지역 출신이거나 진천에 연고가 있는 사람으로서 부모를 효성으로 극진하게 봉양한 자녀. 삼국시대부터 내려온 우리나라의 효 사상은 뿌리가 깊다. 특히 유가(儒家)에서는 ‘효백행지본(孝百行之本)’이라 하여 효를 모든 행실의 근본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전통적인 우리나라의 가족제도 아래서는 가장 우선시되며 근원적인 것이 효 사상이었다.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를 지배...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산수리에 있는 김종렬의 효행을 기리는 비. 김종렬(金鍾烈)의 본관은 김해(金海)이고, 호는 방은(芳隱)이다. 부모에게 효행이 지극하였을 뿐 아니라, 동네 노인들에게 여러 차례 주연을 베풀어 위로하였다. 이러한 행적을 기려 효행비를 세웠다. 1988년에 세워진 김종렬 효행사적비는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산수리 고수말에서 골방골로 이어지는...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양구(養久), 호는 벽오(碧梧)·후영어은(後潁漁隱). 고조할아버지는 이원(李黿)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이발(李渤)이며, 할아버지는 이경윤(李憬胤), 아버지는 진사 오촌(梧村) 이대건(李大建)이다. 어머니는 안동김씨로 김도(金燾)의 딸이다. 부인은 여흥민씨이고, 아들로 이분이 있다. 이...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신통리에 있는 도예 연구소. 훈보도예 대표 이장수는 1980년대부터 도예의 길에 들어 국립도자기시험소를 거쳐 해강 고려청자연구소에 입문하여 사사하였다.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4회 입상, 충북공예대전 금상, 신미술대전 대상, 충북미술대전 특선 등 여러 차례 상을 받았다. 훈보도예(訓補圖藝)는 전통적인 도예 기법을 현대화하여 생활...
-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에 이웃마을과의 경계에서 횃불을 밝히거나 깡통을 던지며 승부를 벌이는 편싸움. 쥐불싸움은 진천군 백곡면 명암리와 문백면 사양리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날 밤에 논둑이나 밭둑의 쥐를 쫓고 병충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쥐불을 놓다가 이웃마을과 마주치는 곳에서 쥐불을 놓던 횃불 또는 쥐불놀이 깡통을 던지며 싸움을 하던 민속놀이이다. 이를 ‘쥐불’,...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에 활동 흔적이 남아 있는 조선 후기의 고위 문신. 조선후기 현종·숙종 대 온건파 남인세력인 탁남(濁南)의 영수로 활약한 고위 문신이다. 본관은 양천(陽川)이며, 자는 여차(汝車)이고, 호는 묵재(默齋)·휴옹(休翁)이다. 허초(許礎)의 증손으로 조부는 허잠(許潛)이고, 아버지는 부사 허한(許僩)이다. 24세인 1633년(인조 11) 생원·진사시의...
-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생산되는 전통술. 진천군 덕산읍 용몽리 572-16번지[초금로 712]에 있는 영농조합법인 세왕[일명 세왕주조]은 2003년 문화재청으로부터 대한민국 근대 문화유산 제58호로 지정된 데 이어 2005년 대전지방국세청으로부터 3대째 전통 가업을 잇는 전통 향토 기업체로 지정되었다. 영농조합법인 세왕의 이규행 대표는 ‘정직’을 사훈으로 삼고 정...
-
고구려 때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 설치된 행정구역.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地理志)」에 고구려의 금물노군(今勿奴郡)을 황양군(黃壤郡)이라고도 한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고려사(高麗史)』「지리지(地理志)」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및 『여지도서(輿地圖書)』「충청도(忠淸道) 진천현(鎭川縣)」 조에는 금물노군은 고구려 지명으로 만노군(萬弩郡),...
-
신라 때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 설치된 행정 구역. 만노군(萬弩郡)이라는 지명은 『삼국사기(三國史記)』「김유신열전(金庾信列傳)」에 처음 나타난다. 진평왕 때 김서현(金舒玄)을 고구려와의 접경 지역인 만노군 태수로 파견하였는데 여기서 김유신(金庾信)이 태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高麗史)』「지리지(地理志)」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및 『여지도서(輿地圖...
-
통일신라 때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 설치된 행정 구역. 흑양군(黑壤郡)이라는 지명은 『삼국사기(三國史記)』「지리지(地理志)」에 신라의 한주(漢州)에 속한 지역으로 처음 나온다. 고구려의 금물노군(今勿奴郡)을 개칭한 것이며 황양군(黃壤郡)이라고도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고려사(高麗史)』「지리지(地理志)」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및 『여지도서(輿地圖書)...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 금한이마을과 오갑리 말머리마을을 연결하는 고개. 해넘어고개는 회내미고개·회너머고개·회너미고개·희내미고개로도 불린다. 부근 산과 골짜기에 전나무가 많아서 회나무고개라 하였는데, 발음이 변하여 회내미고개·회너머고개·회너미고개·희내미고개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위의 여러 이름들은 전나무가 아니라 홰나무[일명 회화나무]와 관련되...
-
충청북도 진천군에 서식하는 까마귀과에 속하는 조류. 흰까치는 100만 마리에 한 마리 꼴로 나타나는 돌연변이로 알려져 있다. 몸길이 45㎝, 날개길이 19~22㎝ 정도로 까치와 비슷한 형태인데, 온몸의 털이 흰색인 점이 다르다. 아직 털이 희게 된 원인은 알 수 없다. 흰까치는 아주 드물게 나타나는데, 예로부터 흰까치가 나타나면 길한 일이 생긴다고 하였다. 흰까치는 20...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갈월리에 있는 골프장. 히든밸리골프장은 2008년 2월 모든 시설물의 준공 절차를 완료하여 정식 개장한 18홀 규모의 대중골프장으로, 친환경적 코스 설계와 자연친화적 운영을 목표로 한다. 전체 984,915㎡의 부지에 히든코스 9홀과 밸리코스 9홀 등 총 18홀 규모를 갖추고 있다. 전장 7,211야드의 국내 최장 수준의 코스 길이와 매...
-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갈월리에 있는 골프장. 히든밸리골프장은 2008년 2월 모든 시설물의 준공 절차를 완료하여 정식 개장한 18홀 규모의 대중골프장으로, 친환경적 코스 설계와 자연친화적 운영을 목표로 한다. 전체 984,915㎡의 부지에 히든코스 9홀과 밸리코스 9홀 등 총 18홀 규모를 갖추고 있다. 전장 7,211야드의 국내 최장 수준의 코스 길이와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