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주두광야」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701655
한자 舟頭曠野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충청북도 진천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권희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한시
작가 유수응(柳秀應)
창작연도/발표연도 조선 후기

[정의]

조선 후기 유수응(柳秀應)이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뱃머리의 넓은 들을 노래한 칠언절구의 한시.

[개설]

예부터 산수가 수려한 곳에는 ‘팔경’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주두광야(舟頭曠野)」 역시 진천 지역의 아름다운 풍광을 그린 벽오팔경(碧梧八景)의 하나이다. 현재 벽오팔경(碧梧八景)은 4편만 전해지는데, 제1경은 「상산모운(常山暮雲)」, 제2경은 「관촌석연(管村夕烟)」, 제3경은 「두타효무(頭陀嘵霧)」, 제4경은 「주두광야(舟頭曠野)」이다.

[내용]

우뚝 솟은 뭇 산은 아늑하지 않으나[族立群山不敢幽]

한가한 갈매기는 오락가락 하누나[等閒飛下去来鴎]

드문드문 외따로 서있는 나무들이 돛대같이 높은데[間間独樹高如棹]

의연히 나무머리에 앉아 보네[坐看依然泛渡頭]

[특징]

뱃머리의 넓은 들을 탁월한 비유를 통해 생동감 있게 묘사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