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피서대 전설」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701569
영어의미역 Legend of Piseodae
이칭/별칭 「피서대」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집필자 박명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설|지명 유래담|풍수담
주요 등장인물 중[스님]|부자 마을 사람들
관련지명 농다리|피서대지도보기
모티프 유형 마을 사람들의 시주 거부|용날 허리를 잘라 망한 마을

[정의]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에서 피서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문백면에 있는 피서대는 산의 용허리를 자르자 피와 살이 튀어 나왔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피서대 전설」은 베풀 줄 모르는 인심이 야박한 부자 마을 사람들이 탁발승에게 쇠똥을 주었기 때문에 재앙을 불러왔다는 지명유래담이다. 또한 용의 허리에 해당하는 산허리를 잘라서 마을이 망했다고 하는 풍수담이기도 한다.

[채록/수집상황]

1994년 진천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진천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문백면 농다리 건너에는 용날 같이 생긴 산이 하나 있었으며, 그 밑의 넓은 벌판에는 부자 마을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하루는 이 부자 마을에 한 중이 시주를 청하러 왔는데, 부자 마을 사람들은 아무도 시주를 하지 않았다. 중이 다시 찾아갔더니 귀찮다고 하면서 쇠똥을 주어 쫓아 보냈다. 이를 괘씸히 여긴 중은 부자 마을 사람들을 고생시켜야겠다고 생각하고 용날 같은 산을 깎으면 더욱 큰 부자가 될 거라고 말해 주었다.

마을 사람들은 이에 혹하여 용날 허리를 잘라 산을 뚫어 길을 닦았다. 그러자 용허리에서 피가 솟아나고 이후 그 부자 마을은 망했다고 한다. 용허리에서 피가 나왔다 하여 피서대라 했는데 지금은 절벽 아래 물이 도도히 흐르고 피서대 밑에는 마을의 터가 남아 있다. 현재도 주춧돌이나 기와장이 이 벌판에서 나오며, 옥비녀도 캐냈다 한다. 물을 따라 위로 올라가면 용코라는 곳이 있는데, 그 곳은 아무리 추워도 용의 더운 코 입김으로 물이 얼지 않는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피서대 전설」의 주요 모티프는 ‘마을 사람들의 시주 거부’, ‘용날 허리를 잘라 망한 마을’ 등으로 장자못전설 유형과 절맥형 풍수전설 유형이 결합되어 있다. 사람은 자고로 베풀면서 살아야 한다. 「피서대 전설」의 배경이 되는 시대에는 더더욱 필요한 덕목이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자 마을 사람들은 시주를 청하러 온 중에게 시주는커녕 쇠똥을 쥐어 주며 쫓아내었다.

특히 「피서대 전설」은 지명유래에 대한 전설을 통해 ‘덕’이라는 덕목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학승(虐僧) 모티프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모티프는 지금의 시대에서는 흔하지 않은 모티프지만 국교가 불교였을 당시에는 천벌을 받아도 마땅한 금기였다고 할 수 있다. 스님에 대한 학대는 곧 불교에 대한 불신과 천대함이었기 때문에 학승 모티프를 통해 일차적인 불교에 대한 숭배가 아닌 ‘덕’의 중요성을 기억하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