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701338
한자 樓亭
이칭/별칭 누각,정자,누대,정루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진천군
집필자 장현석

[정의]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마룻바닥을 지면보다 높게 하여 멀리 볼 수 있도록 지어진 누각이나 정자.

[개설]

누정은 자연을 즐기는 공간인 동시에 자신을 정신 수양하는 장소이다. 이를 ‘누각’, ‘정자’, ‘누대’, ‘정루’ 등이라고도 한다. 누정은 자녀들과 후학을 가르치는 교육의 장이자 문인들의 토론의 장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의 누정은 경관이 좋은 곳에 세우거나 또는 누정을 세움으로써 경관이 좋아지는 곳에 많은 누각이나 정자를 건립하였다. 누각은 개인성보다는 공공시설로서 그리고 지역 단위의 특성을 반영하여 규모와 규범이 고급 건축구조와 의장을 요구하는 반면, 정자는 사생활의 일면을 담당하는 건축물로 구조·규모·의장의 융통성이 자연과 하나가 되는 공간을 형성하였다.

[누정의 특성]

누정은 삼국시대의 궁궐 건축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요소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궁궐만이 아니라 관아, 사찰, 서원 및 향교 그리고 일반 사대부의 주택에 이르기까지 즐겨 만든 건축물이 되었다. 특히 정자가 세워진 곳은 강한 장소성을 나타낸다. 그 건립된 장소를 보면 강이나 계곡, 연못, 산마루나 언덕, 주택의 안이나 마을 어귀 등에 세워지는 경우로 구분된다.

누정은 온돌방이 없고 마루만으로 구성된 경우와 방과 마루를 함께 갖춘 경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마루의 기능성이 강조된다. 즉 거주를 위한 장소가 아니라 휴식이나 오락, 또는 교육 등 자연을 배경으로 다양한 활동을 담아내는 공간이다. 따라서 누정에서 바라다 보이는 경관은 매우 중요하며, 누정 안에서 경관을 조망할 때 누정은 자연의 한 요소로서 작용하게 된다.

누정은 시단이나 강학소, 재실, 별서, 종회소, 향약 시행처, 종교 의식 등의 기능을 수행해 왔다. 그리고 누정을 세울 때에는 음양오행, 풍수지리, 배산임수의 입지관 등이 고려되는데, 자연 그 자체를 완상하는 기능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인성의 도야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점에 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진천의 누정]

충청북도 진천군에 있는 누정으로는 진천읍 건송리식파정(息波亭), 이월면 장관리의 백원정(百源亭), 문백면 장월리망북정(望北亭) 등이 있다. 한편 원래는 누정이 있었으나 현재 터만 남아 있는 곳은 백곡면 석현리절정(節亭) 터, 이월면 노원리노은정(老隱亭) 터, 초평면 용정리쌍오정(雙梧亭) 터, 진천읍 신정리소강정(小江亭) 터 등이 전해 오고 있다.

[현황]

충청북도 진천군의 경우 식파정, 백원정, 망북정 등 세 개의 누정과 절정 터, 노은정 터, 쌍오정 터, 소강정 터 등 네 군데의 터가 확인된다. 식파정의 경우 시단적 성격이 강하고, 그 밖의 것은 특정 가문과 깊은 관련 하에 건립된 면을 보여주고 있다. 즉 망북정과 절정은 경주김씨강릉김씨가 세거한 유허지적 성격이 강하고, 백원정노은정평산신씨와 연결되며, 쌍오정경주이씨와 관련이 있는 누정으로 밝혀졌다.

현존하는 식파정백원정, 그리고 망북정은 규모가 정면 2칸, 측면 2칸의 소규모로 동일하다. 건축적 구성 또한 온돌방이 없는 개방된 공간만으로 되어 있어 호남 지방의 누정 건축에서 나타나는 풍류나 휴식, 관망 등의 기능에 충실한 구성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