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700611
한자 姜世晃
영어음역 Kang, se hwang
이칭/별칭 광지,첨재,표옹,노죽,산향재,표암,헌정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도하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낙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서화가|문인
성별
생년 1713년(숙종 39)연표보기
몰년 1791년(정조 15)연표보기
본관 진주
대표관직 한성부판윤

[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서화가.

[개설]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광지(光之), 호는 첨재(添齋)·표옹(豹翁)·노죽(路竹)·산향재(山響齋)·표암(豹菴), 시호는 헌정(憲靖). 1713년(숙종 39) 한양에서 태어나 1791년(정조 15) 세상을 떠났다. 시(詩)·서(書)·화(畵)의 삼절로 불렸으며, 식견과 안목이 뛰어난 사대부 화가였다. 진경산수화를 발전시켰고 풍속화와 인물화를 유행시켰으며 새로운 서양화법을 수용하는 데도 기여하였다.

[가계]

할아버지는 판중추부사를 지낸 강백년(姜栢年)이고, 아버지는 예조판서를 지낸 강현(姜鋧)이며 어머니는 광주이씨 이익만(李翊晩)의 딸이다. 할아버지, 아버지에 이어 강세황 자신까지 71세에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감으로써 이른바 삼세기영지가(三世耆英之家)로 칭송받았다.

[활동사항]

강세황(姜世晃)은 1744년(영조 20)에 처가인 안산의 청문당(淸聞堂) 근처로 이주하여 30여 년간 학문과 서화에 몰두하며 지냈다. 1773년(영조 49) 영조의 배려로 처음 영릉참봉으로 벼슬길에 올랐으며, 1775년(영조 51) 한성부판관이 되었다. 1776년(영조 52)의 기로과(耆老科)와 1778년(정조 2) 문과정시에 장원한 후 한성부우윤과 한성부좌윤, 호조참판과 병조참판을 거쳐 1783년(정조7) 한성부판윤이 되었고, 1785년(정조 9)과 1789년(정조 13)에 다시 한성부판윤에 임명되었다.

강세황은 화보를 통해 중국의 남종화를 익히긴 했지만, 조선의 미감에 맞는 남종화를 성립시켰다. 강세황의 화풍은 후에 심사정(沈師正)·김홍도(金弘道)·김윤겸(金允謙)을 비롯한 여러 화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림을 그리지 않았던 10년 동안 작가로서의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다른 화가의 그림에 평론을 많이 남겼고, 특히 김홍도의 그림에 많은 평을 남겨 그의 그림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그는 예림(藝林)의 총수라 불리며 당시 거의 모든 화가들의 그림을 보고 평론을 남김으로써 남종화가 유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청나라 건륭제(乾隆帝)의 80세 생일잔치에 사신으로 다녀온 뒤로 그의 사군자(四君子) 작품이 더욱 품격이 높아졌다고 한다.

[저술 및 작품]

대표적인 작품으로 「결성범주도」, 「벽오청서도(碧梧淸暑圖)」, 「산수대련」, 「연강제색도(烟江霽色圖)」, 「녹죽(綠竹)」, 「백석담도 (白石潭圖 )」, 「영통동구도(靈通洞口圖)」, 「청석담(靑石潭)」, 「풍설과교도」, 1784년 중국사행 중 중국의 실경을 담고 시를 함께 실은 『중국기행첩』, 그리고 자신의 70세 때 모습을 그린 「자화상」 등이 있다. 문집으로 『표암유고(豹菴遺稿)』가 있다.

[묘소]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도하리에 묘가 있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8.04.10 출생지 정보 수정 출생지 수정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도하리 한계마을 -> 한양
이용자 의견
남** ㅇ 묘소는 진천군 문백면 도하리에 있는게 맞고
ㅇ 디지털문화대전 (진천)에 정의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출신의 문인이자 서화가를 "조선 후기 문인이자 서화가"로 수정
ㅇ 개설 중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도하리 한계마을에서 태어나"를 수정하여야 할것임.
ㅇ 디지털문화대전에 기록 (진천,진주, 안산)
진주는 본관이 진주여서 관계가 있는지?
  • 답변
  • 디지털진천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소중한 의견을 수렴하여 출생지와 관련된 서술을 수정하였습니다.
    아울러 디지털진주문화대전에서는 본관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항목으로 선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이용 부탁드립니다.
2018.04.09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